2.7 내란: 두 판 사이의 차이

26번째 줄: 26번째 줄:
[[텐]]과 [[이혁]] 등이 이끄는 익스테딕 정통정부와 [[낙지]]와 [[세르겔]], [[이스라엘]] 등이 이끄는 익스테딕 내란세력 사이의 분쟁은 [[1.21 평천 조약]]으로 인해 일단 봉합되었다. 하지만, 불과 조약 몇 시간 뒤, [[텐]]에게는 '''[[낙지]]를 비롯한 [[1.19 내란]] 가담 세력들 상당수가 익스테딕 공화국의 공식적인 전신이자 후신이기도 한 [[그리시에 공화국]]을 마음대로 건국하고 그곳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제보가 들려왔다. 확인 결과, 그것은 '''사실'''이었으며, 이는 명백한 조약 위반이었기에 바로 조약이 파기되었음은 물론 [[텐]] 운영자는 [[1.21 내란]]에 대해 강경 대응의 뜻을 밝혔고, 또다시 조약에 따라 '''낙지의 그리시에 내란 세력은 자진 해산했다.'''  
[[텐]]과 [[이혁]] 등이 이끄는 익스테딕 정통정부와 [[낙지]]와 [[세르겔]], [[이스라엘]] 등이 이끄는 익스테딕 내란세력 사이의 분쟁은 [[1.21 평천 조약]]으로 인해 일단 봉합되었다. 하지만, 불과 조약 몇 시간 뒤, [[텐]]에게는 '''[[낙지]]를 비롯한 [[1.19 내란]] 가담 세력들 상당수가 익스테딕 공화국의 공식적인 전신이자 후신이기도 한 [[그리시에 공화국]]을 마음대로 건국하고 그곳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제보가 들려왔다. 확인 결과, 그것은 '''사실'''이었으며, 이는 명백한 조약 위반이었기에 바로 조약이 파기되었음은 물론 [[텐]] 운영자는 [[1.21 내란]]에 대해 강경 대응의 뜻을 밝혔고, 또다시 조약에 따라 '''낙지의 그리시에 내란 세력은 자진 해산했다.'''  


== [[1.21 내란]] 이후부터 [[2.7 내란]] 이전까지의 상황 ==
== [[1.21 내란]] 직후 조치 ==
[[1.21 내란]]은 [[낙지 내란 세력]]이 [[1.21 평천 조약|조약]] 까지 파기하고 벌였던 일이기에,
[[1.21 내란]]은 [[낙지 내란 세력]]이 [[1.21 평천 조약|조약]] 까지 파기하고 벌였던 일이기에, [[낙지 내란 세력]]은 대가를 치뤄야 했다. 그 결과, [[낙지]], [[세르겔]], [[이스라엘]] 3인은 '''영구 입국금지''' 조치가 내려졌다. 가담자였던 [[줄]], [[제이미 안철수]]는 [[교차로]]의 선처 요청으로 익스테딕에 복귀를 하는 데에 성공했다. 하지만 [[은하예]]는 자숙을 하겠다며 당분간 오지 않기로 했으며, [[제이미 안철수]] 역시 당분간은 활동을 축소하고 정계에 진출하지 않을 것으로 보였다.
 
== 조치 이후부터 [[2.7 내란]] 발생 직전까지 ==
하지만, 그것은 전부 '''거짓'''이었다. 그들은 이후에도 강태공의 [[자유민주당]]에 들어가 정치 활동을 이어나갔으며, 계속해서 대통령이 된 [[이혁]], 여당이 된 [[새나라공화당]]과 매일 충돌했다. 이러한 양상이 지속되면서 어느새 28대 총선이 다가오게 되었으나, 2월 7일 오전 1시 결국 [[2.7 내란|재앙]]이 발생하고 만다.
 
== [[2.7 내란]]의 발생 ==


== [[2.7 내란]] 발생 ==
== [[2.7 내란]] 발생 ==

2025년 2월 12일 (수) 10:27 판

링크= 익스테딕 4공화국의 공식 문서입니다.
본 문서를 관계자의 허용 없이 무단 편집할 시, 처벌 받을 수 있으니 편집 요청은 관계자에게 문의하십시오.
낙지 내란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테러범 텐.svg
12.3 사태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전개 슈티르너 정부(2・3기) 제17대 대통령 선거이스라엘 부정 선거 사건12.3 테러12.3 내란12.23 테러1.2 합의
레히트 정부 제18대 대통령 선거하나의 익스테딕
발전 정부 제19대 대통령 선거스칼란드 사태네프티스 인류 제국 전쟁카모전계 인류 제국 전쟁
슈티르너 정부(4・5기) 제20대 대통령 선거3.24 내란3.30 크로스 모의전 공격제21대 대통령 선거4.20 세레나데 테러4.20 아러민국 공격4.28 곡례 테러
데카르트 정부 제22대 대통령 선거스페인 남극 전쟁트로이 목마 작전5.19 스칼란드 테러조선 권한대행 체제이지은 권한대행 체제이들 권한대행 체제교차로 간첩 몰이 사건
꿈의 정부(1기) 제23대 대통령 선거6.11 비상사태6.16 홍콩 공격
슈티르너 정부(6・7기) 제24대 대통령 선거카국계 인류 제국 전쟁7.21 오하이오국 공격제25대 대통령 선거예술 권한대행 체제8.9 남극민주공화국 공격9.20 스웨덴 왕국 공격컨트리볼계 인류 제국 전쟁도미노 작전
꿈의 정부(2기) 제26대 대통령 선거11.1 신성로마제국 공격김낙지 권한대행 체제11.16 사태
미래의 정부 제27대 대통령 선거12.3 독일제국 수복
통합의 정부(2기) 제28대 대통령 선거12.29 가천 상륙 작전119121 사태
꿈의 정부(3기) 제29대 대통령 선거2.7 테러2.9 대외정책부 공격2.10 회의
관련 인물 유익스
(정부)
세르히 카르야킨노진구월드크윈밀량
짭익스
(반군)
낙지교차로이스라엘
인류
(테러리스트)
사과에리히
기타 유사 사건사고 2.16 군사정변
짭익스 선거 제17대 대통령 선거제18대 대통령 선거
제19대 대통령 선거제20대 대통령 선거
제21대 대통령 선거제22대 대통령 선거
제23대 대통령 선거제24대 대통령 선거
제25대 대통령 선거제26대 대통령 선거
제27대 대통령 선거제28대 대통령 선거
제29대 대통령 선거제30대 대통령 선거
제31대 대통령 선거
전범국 인류.svg
3년 전쟁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2.7 내란
二七 內亂
2.7 Internal Disturbance
이미지준비중.png 이미지준비중.png ▲ 2월 12일, 익스테딕 운영부 성명문
일시2025년 02월 07일 ~ 현재
장소익스테딕 5공화국 전역
원인1.19 내란, 1.21 내란 이후 낙지의 심화된 권력 장악 의도와 이에 동조한 친인류 세력
결과낙지 포함 총 26인 익스테딕 블랙리스트 지정
영향익스테딕 공화국 본부 밴드로 이전
피해150명 이상

개요

2.7 내란1.19 내란, 1.21 내란에 이어 3번째로 일어난 낙지 내란이다. 이번에는 텐, 이혁, 믹스를 교차로가 인류제국을 이용해 카국에서 물러나게 하고, 그 틈을 타 낙지의 주도로 여러 인물들이 가담하며 낙익스(불법점거단체)를 만드는 식으로 내란이 2025년 2월 9일 현재도 진행중이다.

배경

쿠데타 모의와 부정선거론, 그리고 1.19 내란

2025년 1월, 낙지는 익스테딕 비대위에서 내가 대통령은 꼭 해봐야 한다는 식의 주장을 하며 계속해서 자신이 어떻게 해서든 대통령을 해야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곤 했다. 그러나 은 이에 부정적으로 생각했으며, 정정당당하게 선거를 통해 당선되면 된다고 했으나 계속해서 낙지쿠데타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면서 조용히만 있으라는 식의 말을 했다. 텐은 계속해서 그것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그 이전 익스테딕에서는 27대 총선이 열려 당시 야당인 새나라공화당의 대승, 여당인 바른정당의 대패이스라엘을 필두로 한 증거없는 부정선거론이 들끓기 시작했다. 이 세력들은 운영부가 부정선거를 했기에 선거에서 참패했다는 주장을 증거도 없이 주장하고 다녔다. 낙지는 2025년 1월 19일, 부정선거론 주장 세력과 함께 이 자리를 비운 사이 1.19 내란을 일으켰다.

1.21 평천 조약으로 인한 사태 해결, 그러나 몇 시간만에 발생한 1.21 내란

이혁 등이 이끄는 익스테딕 정통정부와 낙지세르겔, 이스라엘 등이 이끄는 익스테딕 내란세력 사이의 분쟁은 1.21 평천 조약으로 인해 일단 봉합되었다. 하지만, 불과 조약 몇 시간 뒤, 에게는 낙지를 비롯한 1.19 내란 가담 세력들 상당수가 익스테딕 공화국의 공식적인 전신이자 후신이기도 한 그리시에 공화국을 마음대로 건국하고 그곳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제보가 들려왔다. 확인 결과, 그것은 사실이었으며, 이는 명백한 조약 위반이었기에 바로 조약이 파기되었음은 물론 운영자는 1.21 내란에 대해 강경 대응의 뜻을 밝혔고, 또다시 조약에 따라 낙지의 그리시에 내란 세력은 자진 해산했다.

1.21 내란 직후 조치

1.21 내란낙지 내란 세력조약 까지 파기하고 벌였던 일이기에, 낙지 내란 세력은 대가를 치뤄야 했다. 그 결과, 낙지, 세르겔, 이스라엘 3인은 영구 입국금지 조치가 내려졌다. 가담자였던 , 제이미 안철수교차로의 선처 요청으로 익스테딕에 복귀를 하는 데에 성공했다. 하지만 은하예는 자숙을 하겠다며 당분간 오지 않기로 했으며, 제이미 안철수 역시 당분간은 활동을 축소하고 정계에 진출하지 않을 것으로 보였다.

조치 이후부터 2.7 내란 발생 직전까지

하지만, 그것은 전부 거짓이었다. 그들은 이후에도 강태공의 자유민주당에 들어가 정치 활동을 이어나갔으며, 계속해서 대통령이 된 이혁, 여당이 된 새나라공화당과 매일 충돌했다. 이러한 양상이 지속되면서 어느새 28대 총선이 다가오게 되었으나, 2월 7일 오전 1시 결국 재앙이 발생하고 만다.

2.7 내란의 발생

2.7 내란 발생

전개

2025년

2월

7일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2.3 내란과의 비교

정황(政況)

역대 대통령
익스테딕낙지 내란 세력
제30대 이혁세르겔 초대

어록

작성 예정
, 2025년 02월 12일
작성 예정
이름, 2025년 02월 12일
작성 예정
- 이름 2025년 02월 12일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