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본/철도 차량 목록: 두 판 사이의 차이

< 월본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월본의 철도 차량 목록이다.


== WR 도기타 ==
하단 표 양식을 이용해 작성하십시오. 도입 순서대로 작성을 원칙으로 합니다.
=== 디젤동차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 이름 !! 투입년도 !! 특이사항 !! 비고
| 계열명
| 운행년도
| 퇴역년도
| 운행사
| 운행 노선
| 비고
|}
 
== 주간선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0계
|
|
| [[월본국가철도]]
|
|
|}
 
== 전기기관차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EL30
|
|
|
|
|
|-
| EL50
|
|
|
|
|
|-
| EL70
|
|
|
|
|
|}
 
== 증기기관차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계열명
| 운행년도
| 퇴역년도
| 운행사
| 운행 노선
| 비고
|}
== 디젤기관차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DE20
|
|
|
|
|
|-
| DE30
|
|
|
|
|
|-
| DE60
|
|
|
|
|
|-
| DE70
|
|
|
|
|
|}
 
== 디젤동차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DCU 동차
|
|
|
|
|
|-
| 백양호
|
|
|
|
|
|-
| 청양호
|
|
|
|
|
|-
|-
| [[D5계 동차]] || 1965~1991 || WR 도기타 최초의  고상·통근형 동차 || 도기타선에 10번대, 신나카야선에 20번대 투입 · 양산선행형 0번대는 1977년까지 도기타선에서 운행되다가 개량의 어려움으로 전량 폐차
| 화양호
|  
|  
|  
|  
|  
|}
 
== 전동차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colspan=6 | 통근형
|-
|-
| [[D6계 동차]] || 1966~1979 || WR 도기타 최초의 특별급행형 동차 || 도기타선에 260번대, 신오야선에 270번대, 신나카야선에 280번대 투입하였으며 고공형 운전실 디자인 적용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 [[D7계 동차]] || 1966~1968 || WR 도기타 역사상 가장 단명한 차량 || 출시 직후 혁신적인 연접 대차의 적용과 편안한 착좌감을 자랑해 D6계와 함께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순행하였으나 1968년 [[지모리·도기타 정비창 참사]]로 전량 소실되었다. 현재 WR 도기타에서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colspan=6 | 근교형
|-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사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colspan=6 | 도유메트로 전동차
|-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도유메트로 100계 전동차|100계]]
| 1930
| 1950
| [[도유메트로 군자선|군자선]]
| 월본 최초의 지하철 전동차. 제3궤조 근대식 목조 전동차
|-
| [[도유메트로 01계 전동차|01계]]
| 1950
| 1985
| [[도유메트로 군자선|군자선]]
|
|-
| [[도유메트로 200계 전동차|200계]]
| 1965
| 1988
| [[도유메트로 도쇼마치선|도쇼마치선]]
|
|-
| [[도유메트로 03계 전동차|03계]]
| 1977<sup>전기형</sup><br>1986<sup>후기형</sup>
|
| [[도유메트로 치우단선|치우단선]]
| 지하철 최초 쵸퍼제어 전동차
|-
| [[도유메트로 1000계 전동차|1000계]]
| 1985
| 2010
| [[도유메트로 군자선|군자선]]
|
|-
| [[도유메트로 2000계 전동차|2000계]]
| 1988
| 2019
| [[도유메트로 도쇼마치선|도쇼마치선]]
|
|-
| [[도유메트로 3000계 전동차|3000계]]
| 1989
| 1992<sup>전출</sup>
| [[도유메트로 주교선|주교선]]→[[도유메트로 치우단선|치우단선]]
| 최초의 광폭형 차체 전동차
|-
| [[도유메트로 5000계 전동차|5000계]]
| 1989
|
| [[도유메트로 주교선|주교선]]
| 최초의 VVVF 전동차
|-
| [[도유메트로 5050계 전동차|5050계]]
| 1992
|
| [[도유메트로 주교선|주교선]]
| 직교류 겸용 지하철 전동차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colspan=6 | 도유도시철도 전동차
|-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도유도시철도 7000계 전동차|7000계]]
| 1995
|
| [[도유도시철도 삼전선|삼전선]]
|
|-
| [[도유도시철도 8000계 전동차|8000계]]
| 1998
|
| [[도유도시철도 수호지선|수호지선]]
|
|-
| [[도유도시철도 9000계 전동차|9000계]]
| 1999
|
| [[도유도시철도 계류선|계류선]]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colspan=6 | 메트로B 주식회사
|-
! style="background:#dcdcdc;" | 계열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운행노선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도유지하철 11000계 전동차|11000계]]
| 2006
|
| [[도유지하철 부도심선|부도심선]]
|
|}
== 시험차량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 colspan=6 | 시험차량
|-
! style="background:#dcdcdc;" | 차량명
! style="background:#dcdcdc;" | 도입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퇴역년도
! style="background:#dcdcdc;" | 비고
|-
| [[XU 380]]
| 2010
|
| 380km/h급 고속열차 시제차량
|}
[[분류:월본]]

2024년 12월 8일 (일) 12:15 기준 최신판

개요

월본의 철도 차량 목록이다.

하단 표 양식을 이용해 작성하십시오. 도입 순서대로 작성을 원칙으로 합니다.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계열명 운행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 노선 비고

주간선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0계 월본국가철도

전기기관차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EL30
EL50
EL70

증기기관차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계열명 운행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 노선 비고

디젤기관차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DE20
DE30
DE60
DE70

디젤동차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DCU 동차
백양호
청양호
화양호

전동차

통근형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근교형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사 운행노선 비고
도유메트로 전동차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노선 비고
100계 1930 1950 군자선 월본 최초의 지하철 전동차. 제3궤조 근대식 목조 전동차
01계 1950 1985 군자선
200계 1965 1988 도쇼마치선
03계 1977전기형
1986후기형
치우단선 지하철 최초 쵸퍼제어 전동차
1000계 1985 2010 군자선
2000계 1988 2019 도쇼마치선
3000계 1989 1992전출 주교선치우단선 최초의 광폭형 차체 전동차
5000계 1989 주교선 최초의 VVVF 전동차
5050계 1992 주교선 직교류 겸용 지하철 전동차
도유도시철도 전동차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노선 비고
7000계 1995 삼전선
8000계 1998 수호지선
9000계 1999 계류선
메트로B 주식회사
계열 도입년도 퇴역년도 운행노선 비고
11000계 2006 부도심선


시험차량

시험차량
차량명 도입년도 퇴역년도 비고
XU 380 2010 380km/h급 고속열차 시제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