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족청년단: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정당 정보 양식
[[분류:대한제국]]
| 테두리색 = #234794
 
| 로고 = 대한민족청년단 당기.png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width:100%; text-align:center; color:#000; border:2px solid #1b0e64;"
| 로고크기 = 170px
|-
| 배경색 = #fff
! colspan="6"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 #1b0e64 20%, #1b0e64 80%, #0d0730); color:#ffd400;" | [[파일:대한제국 경각부 문장.svg|55px]]<br>'''대한제국 운영위원회 보호 문서'''
| 틀 끝색 = #1b3862
|-
| 틀 중간색 = #1b3862
|}
| 범례색 = #f5f5f5
 
| 글씨색 = #fff
{{파시즘}}
| 글씨 색 = #1b3862
 
| 정당명 = 대한민족청년단
{{틀:실험}}
| 한문명 = 大韓民族靑年團
| 국가 = [[파일:이응준 태극기.png|22px]] [[국가 정보 양식|대한제국]]
| 약칭 = 족청(族靑)
| 표어 = 민족지상, 국가지상
| 창당일 = 1946년 10월 9일<sub> (조선민족청년단)
| 당명 변경 = 1948년 8월 <sub> (대한민족청년단)
| 통합한 정당 =
| 전신 =
| 후신 =
| 해산일 =
| 중앙당사 = [[대한제국|한성부 중구 을지로 5가 77번지]]
| 이념 = 한민족주의,애국주의,일민주의,국민주의,협동조합주의
| 스펙트럼 = 우익 ~ 극우
| 리더명칭 = 당수
| 리더 = [[이범석]]
| 공직자1 명칭 =
| 공직자1 =
| 공직자2 명칭 =
| 공직자2 =
| 공직자3 명칭 =
| 공직자3 =
| 공직자4 명칭 = 내각총리대신
| 공직자4 = [[이범석]]
| 공직자5 명칭 =
| 공직자5 =
| 공직자6 명칭 =
| 공직자6 =
| 공직자7 명칭 =
| 공직자7 =
| 의석1 명칭 = 중추원의원
| 의석1 수 =
| 의석1 최대 =
| 의석1 비율 =
| 의석2 명칭 = 부윤
| 의석2 수 =
| 의석2 최대 =
| 의석2 비율 =
| 의석3 명칭 =
| 의석3 수 =
| 의석3 최대 =
| 의석3 비율 =
| 의석4 명칭 =
| 의석4 수 =
| 의석4 최대 =
| 의석4 비율 =
| 의석5 명칭 =
| 의석5 수 =
| 의석5 최대 =
| 의석5 비율 =
| 의석6 명칭 =
| 의석6 수 =
| 의석6 최대 =
| 의석6 비율 =
| 당색 = {{정당박스 | 민족의 영 (#234794) | #234794 | #fff }}
| 당가 =
| 국제조직 =
| 자매정당 =
| 정책 연구소 =
| 후원회 =
| 학생조직 =
| 청년조직 = {{정당박스 | '''백의사(白衣社)''' | #FFFFFF | #ffc808 }}
| 여성조직 =
| 재외국민조직 =
| 준군사조직 =
| 재산총액 =
| 기타1 명칭 =
| 기타1 =
| 기타2 명칭 =
| 기타2 =
}}


{{문단정리}}
{{문단정리}}
{{틀:대제 정당}}
{{틀:족청 정보}}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14.4px; border: 2px solid #00305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 style="background: #000;" | <div style="margin: -5px -9px -6px;">[[파일:족청 청년조직.jpg]]</div>
|-
! style="background: #003050; color: #fff;" | '''건국도상의 청년다운 순감(純感)을 바칠 것을 기한다.'''
|-
|}
{{목차}}


=개요=
=개요=


{{명언1|세계는 넓고 인류는 그 수가 하도 많지만, 역사와 전통으로 보아 우리처럼 강건한 조건을 갖춘 민족은 다시 찾아볼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영원한 민족 생성 과정의 한 일원으로서, 과거의 온갖 유산을 계승하는 과거의 종말인 동시에 미래의 온갖 가치를 창조할 기점에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의무감을 갖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는 우리의 역사적.전통적 영광을 헛되이 하지 않기 위해 우리의 앞날을 더욱 빛나게 할 신성한 책임, 조상 천대에 대한 또 자손 만대에 대한 가장 엄중한 책임을 걸머지고 있는 것이다.| - [[ 이범석『민족』]]}}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14.4px; border: 2px solid #00305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 style="background: #000;" | <div style="margin: -5px -9px -6px;">[[파일:새 시대를 개막합니다..png]]</div>
이범석을 주축으로 하여 1946년에 세워진 우익~극우 정당
|-
! style="background: #003050; color: #fff;" | '''민족지상, 국가지상'''<ref>족청의 당 표어</ref>
|-
|}


=상세=
||<tablebordercolor=#003050><bgcolor=#003050> ||<bgcolor=#fff,#1c1d1f> {{{'''민족수호, 성총보좌<br>民族守護,聖聰保佐'''}}} ||


이범석을 중심으로 안춘생과 노태준이 지휘했던 광복군 제2지대를 주축으로하여 창설되었다.
대한민족청년단(大韓民族靑年團,약칭 族靑)은 [[대한제국]]의 집권 여당이자 우파 빅 텐트 성향의 정당이다.  


당시의 다른 우익단체들과 차별화된 점이 상당히 많았는데 일단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에 모두 반대하는 제3의 노선에 있었다. 또한 다른 우익 단체들이 테러를 일삼거나 좌익 세력과 물리적으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 족청은 이범석부터가 테러를 반대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좌익과 충돌하지 않고 청년들의 교육과 훈련에 집중했다. 그 때문에 당시 여러 우익단체들의 지나친 폭력행사를 우려하고 상대적으로 온건한 우파를 찾던 미군정(米軍政)의 지원을 받기도 했다.
=단지삼칙=


강령으로는 단지삼칙이 있었으며, '민족지상, 국가지상'의 슬로건을 내걸었다.
||<tablebordercolor=#003050><bgcolor=#003050> ||<bgcolor=#fff,#1c1d1f> {{{'''① 우리는 민족정신을 환기하여 민족지상·국가지상의 이념하에 청년의 사명을 다할 것을 기한다.<br>② 우리는 종파를 초월하여 대내자립·대외공존의 정신으로 민족의 역량을 집결할 것을 기한다.<br>③ 우리는 현실을 직시하며 원대한 곳을 바라보고(着眼遠大), 비근한 것부터 착수하여(着手卑近) 건국도상의 청년다운 순감(純感)을 바칠 것을 기한다.'''}}} ||


=강령:단지삼칙=
=중추원=
① 우리는 민족정신을 환기하여 민족지상·국가지상의 이념하에 청년의 사명을 다할 것을 기한다.
==민의원==
② 우리는 종파를 초월하여 대내자립·대외공존의 정신으로 민족의 역량을 집결할 것을 기한다.
{{틀:대한제국 민의원 원내구성}}
③ 우리는 현실을 직시하며 원대한 곳을 바라보고(着眼遠大), 비근한 것부터 착수하여(着手卑近) 건국도상의 청년다운 순감(純感)을 바칠 것을 기한다.
==참의원==
{{틀:대한제국 참의원 원내구성}}

2025년 6월 25일 (수) 22:33 기준 최신판


대한제국 경각부 문장.svg
대한제국 운영위원회 보호 문서
파스케스(가로).svg
파시즘
[ 펼치기 · 접기 ]
이념 국가주의 · 국수주의 · 군국주의 · 권위주의 · 대중주의 · 민족주의 · 반공주의 · 지도자 원리 · 사회진화론 · 반민주주의 · 반자유주의 · 반자본주의 · 영웅주의 · 우생학 · 전체주의 · 협동조합주의
인물 아돌프 히틀러 · 에리히 루덴도르프 · 베니토 무솔리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Whattheydo.webp · 안테 파벨리치 · 오스왈드 모슬리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 비드쿤 크비슬링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쿠르트 슈슈니크 · 안톤 뮈세르트 · 레옹 드그렐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카를 하우스호퍼 · 카를 슈미트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율리우스 에볼라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오스발트 슈펭글러 · 에른스트 윙어 · 마르틴 하이데거Whattheydo.webp· 기타 잇키 · 오카와 슈메이Whattheydo.webp · 안호상Whattheydo.webp · 이범석Whattheydo.webp · 아브라함 슈테른 · 장제스Whattheydo.webp · 호리아 시마 · 미시마 유키오Whattheydo.webp · 줄리아노 고치 · 마르셀 뷔카르 · 자크 도리오 · 프랑수아 드 라 로크 ·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 · 플리누 사우가두 · 이오인 오더피 · 조르주 소렐Whattheydo.webp · 조반니 젠틸레 · 알렉산드르 두긴 · 윌리엄 루터 피어스 · 윌리엄 더들리 펠리 · 찰스 코글린 · 아나스타시 본샤츠키· 도미니코 레치시 · 마커스 가비
국가 나치 독일 · 파시스트 이탈리아* · 스페인국Whattheydo.webp · 크로아티아 독립국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국민군단국가 · 노르웨이 국민 정부 · 오스트리아 연방국 ·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산마리노 공화국 · 일본 제국Whattheydo.webp · 국민군단연합 불가리아
기타 크립토 파시즘 · 탈파시즘 · 파스케스
*1922~1943의 이탈리아 왕국과 1943~1945의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Whattheydo.webp 파시즘 여부 논란 있음
중앙청1.jpg
대한제국 양각 이화문.webp
대한제국 정당
[ 펼치기 · 접기 ]
족청 울색 누끼 버전.png
대한민족청년단
大韓民族靑年團 | National Youth Front of Korea
약칭 족청(族靑)
표어 민족지상, 국가지상
民族至上 國家至上
창당일 1946년 10월 9일[1]
통합 정당 서북청년회와 합당
(1948년 8월 흡수합당)
연립여당 대한신민공동회의
주소 한성부 중구 을지로 5가 77번지
이념 가부장적 보수주의
내부 계파
아시아적 가치
국민적 보수주의
일국 보수주의
멸공
반공
역사적 계파
한국식 입헌군주주의
한민족주의
파시즘
국가주의
애국주의
대중주의
한국식 파시즘
협동조합주의
정치적 스펙트럼 우익 빅텐트
총재 노태우[2]
사무장
정책위의장
내각총리대신
민의원
89석 / 240석 (37.08%)
참의원
20석 / 55석 (40%)
당색 민족의 울(鬱) (#003050)
정책연구소 신청년연구소
청년조직 족청 로고.png 대한중앙훈련단
당원 수 1,028,662명
당가 대한민족청년단 당가
당기
족청 신로고.png
족청 청년조직.jpg
건국도상의 청년다운 순감(純感)을 바칠 것을 기한다.


개요

새 시대를 개막합니다..png
민족지상, 국가지상[3]
민족수호, 성총보좌
民族守護,聖聰保佐

대한민족청년단(大韓民族靑年團,약칭 族靑)은 대한제국의 집권 여당이자 우파 빅 텐트 성향의 정당이다.

단지삼칙

① 우리는 민족정신을 환기하여 민족지상·국가지상의 이념하에 청년의 사명을 다할 것을 기한다.
② 우리는 종파를 초월하여 대내자립·대외공존의 정신으로 민족의 역량을 집결할 것을 기한다.
③ 우리는 현실을 직시하며 원대한 곳을 바라보고(着眼遠大), 비근한 것부터 착수하여(着手卑近) 건국도상의 청년다운 순감(純感)을 바칠 것을 기한다.

중추원

민의원

민의원 로고.png 대한제국
민의원
원내 구성
의장 : 김재순
부의장 : 노승환
여당
대신회 신로고 누끼.png
95석
야당
족청 배경반전 수정ver.png
89석
황협 로고 누끼 1.png
12석
대제 사회민주당 로고 누끼 ver.png
39석
조공당 배경누끼2.png
5석
무소속 0석
재적 240석
공석 0석

참의원

참의원 로고1.png 대한제국
참의원
원내 구성
의장 : 김재광
부의장 : 공석
연립 여당
대신회 신로고 누끼.png
12석
야당
족청 배경반전 수정ver.png
20석
황국협회 로고 누끼2.png
10석
대제 사회민주당 로고 누끼 ver.png
11석
조공당 로고 누끼.png
2석
무소속 0석
재적 55석
공석 0석
  1. 조선민족청년단 기준
  2. 김이호
  3. 족청의 당 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