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유메트로 5000계 전동차

Smcn04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4일 (수) 20:34 판 (새 문서: {{도유지하철 철도차량}}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360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font-size: 10.5pt; border: 2px solid #00a2e8; text-align:center; float: right;" | colspan="4" style="color:#00a2e8;" | 80px|link=도유메트로<br>'''<span style="font-size:15pt;"><small>도유메트로</small> 5000계 전동차</span>'''<br>東流地下鐵 5000系 電車<br>Toryu Metro 5000 series |- | colspan="4" style="padding:0px;"...)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도유메트로 상징.png / 도유도시철도 상징.png 도유지하철 철도차량
군자선 아이콘.png 도쇼마치선 아이콘.png 치우단선 아이콘.png 하라쿠초선 아이콘.png
100계
01계
1000계
N1000계
200계
02계
2000계
03계
3000계
06계
주교선 아이콘.png 삼전선 아이콘.png 수호지선 아이콘.png 계류선 아이콘.png
5000계
5050계
7000계 8000계 9000계
부도심선 아이콘.png
11000계
도유메트로.png
도유메트로 5000계 전동차
東流地下鐵 5000系 電車
Toryu Metro 5000 series
도유메트로 5000계 1차차.png
▲ 1차차
도유메트로 주교선 전동차.png
▲ 2차차
차량 정보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10량 1편성
생산량 200량 (총 20편성)
운행노선 도유메트로 주교선 아이콘.png 주교선
월본국가철도 구사선 (주교선에 포함)
산원선 (주교선에 포함)
도입 시기 1992년 (1차차)
1994년 (2차차)
제작사 신와철도차량제조 (1차차)
로코트랜시스 (2차차)
소유기관 도유메트로
운영기관
차량 제원
전장 20,000㎜
전폭 3,160㎜
전고 3,750㎜
팬터그래프 부착차량 4,045㎜
차중 Tc 33.1t
M 41.2t
T 26.5t
궤간 1,435㎜
급전 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신호 장비 ATC
ATS
제어 방식 시마론 VVVF-GTO
히조대 VVVF-GTO
제동 방식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및 회생제동
최고속도 영업 ATC - 80㎞/h
ATS - 100㎞/h
설계 100㎞/h
가속도 3.0㎞/h/s
MT 조성 5M 5T

개요

도유메트로 주교선에서 운행 중인 직류 전동차를 통칭한다. 5000계는 전기공급 방식이 '직류형' 전동차이다. 직교류 겸용 전동차는 이 문서를 참조. 지하철 구간인 주교선 주조기↔도유역 구간 연장개통시 신조 전동차를 투입하였다. 기존 주교선에서 운행하던 5000계 광폭형 전동차는 치우단선으로 전부 이적하여 3000계로 개칭한 후 운용하고 있다.

편성 조성

도유메트로 주교선 5000계 전동차 편성 조성
31XX (1) Tc (운전실)
32XX (2) M (팬터그래프)
33XX (3) M (팬터그래프)
34XX (4) T
35XX (5) M (팬터그래프)
36XX (6) T
37XX (7) T
38XX (8) M (팬터그래프)
39XX (9) M (팬터그래프)
30XX (10) Tc

1차차

1차차는 1992년 주조기 연장시 투입되었다. 신와철도차량제조에서 8개 편성 80량이 제작되었다. 영업 운전 투입 당시 광폭형 5000계와 동시에 운용하고 있어 8편성 규모로 신조되었다. 특징으로는 광폭형에서 벗어나 직각형 구조로 되어있으며, 외벽 차체는 강철(마일드스틸) 재질로 마감했다. 또, 월본 국내 최초로 VVVF GTO 소자를 적용하여 기존 차량 대비 전력 소모량을 줄였다. 직류 전용이므로 밤고개역 이북 월본철도 구간은 운행할 수 없다.


2차차

1992년 제조된 차량이다. 120량 12편성이 제작되었다. 크게 달라진 점은 차체가 스테인레스로 변경되었다. 제작사 로코트랜시스는 이 5000계와 5050계 12편성, 총 24편성 규모로 제작하여 지하철 주교선과 국철 산원선, 구사선 직결에 대비했다. 이 열차 역시 직류 전용이기 때문에 밤고개역 이북으로 운행할 수 없다. 2차차와 같은 외형으로 직교류 겸용 설비를 갖춘 5050계는 전구간을 운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