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VN 디폴리틱 세계관 국가목록 | |||||||||||||||||||||||||||||||||||||||||||||||||||||||||||||||||||||||||||
[ 펼치기 · 접기 ]
|
| ||
[ 펼치기 · 접기 ] |
예루살렘 왕국
Roïaume de Ierusalia Kingdom of Jerusalem | |||||||||||
---|---|---|---|---|---|---|---|---|---|---|---|
국기 | 국장 | ||||||||||
DEUS VULT 신께서 바라신다 | |||||||||||
상징 | |||||||||||
국가 | 예루살렘 왕국 국가 | ||||||||||
국목 | 백향목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 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jr | |||||||||||
국가 코드 | |||||||||||
376, JR, JER | |||||||||||
국제 전화 코드 | |||||||||||
+972 | |||||||||||
위치 | |||
개요
예루살렘 왕국(우트르메르어: Roïaume de Ierusalia, 영어: Kingdom of Jerusalem), 줄여서 예루살렘은 가상국제연합 디폴리틱 세계관에서 2024년 11월 14일부터 연재를 시작한 서아시아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국토는 현실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레바논을 합친 크기이며, 수도는 기독교, 이슬람, 유대교 세 종교의 성지이자 총본산인 예루살렘이다.
상징
국호
예루살렘 왕국의 공식 국호는 예루살렘 왕국으로 한다. |
예루살렘 왕국 헌법 제1장 제5조(상징) 제1항 |
예루살렘 왕국의 국호는 헌법에 따라 예루살렘 왕국이며, 성지 예루살렘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 우트르메르어로는 로와욤 드 이에뤼잘리아[ʁwaˈjom d‿je.ʁy.zaˈli.a]이다.
예루살렘은 히브리어로 '평화의 마을'을 의미한다. 성서에서는 '예루샬라임'(Yerushalaim)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아랍권에서는 예루살렘을 아랍어로 '신성한'을 뜻하는 '알쿠드스'(al-Quds)라고도 부르는데, 이에 따라 예루살렘 왕국을 알쿠드스 왕국으로 부르기도 한다.
언어별 명칭 | |||
[ 펼치기 · 접기 ]
|
국기
예루살렘 왕국의 국기는 황색, 백색, 흑색의 3개의 띠와 중앙에 황색의 예루살렘 십자가가 위치한 형태이며, 각 색의 띠의 폭은 모두 동일하다. |
예루살렘 왕국 헌법 제1장 제5조(상징) 제2항 |
예루살렘 왕국 국기 Estandart de lo Roïaume de Ierusalia
| |
지위 | 예루살렘 왕국 공식 국기 |
---|---|
채택일 | 1921년 |
근거 법령 | 「예루살렘 왕국 헌법」 「국가상징법」 |
제작자 |
예루살렘 왕국의 국기는 1921년 헌법 공포와 함께 예루살렘 왕국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황색, 백색, 흑색의 띠가 가로로 나열된 삼색기의 중앙에 예루살렘 십자가(Jerusalem Cross)가 그려진 형태이다. 황색은 기독교를, 흰색은 유럽을, 흑색은 아랍과 이슬람을 상징하며 각 요소가 조화롭게 하나되는 예루살렘을 의미한다.
국장
예루살렘 왕국의 국장은 왕관이 올려진 파란 망토 가운데에 예루살렘 십자가가 그려진 하얀 방패가 있으며, 그 양옆으로 두 명의 천사가 방패를 잡고 있으며, 검은 리본이 두 천사를 받치고 있으며, 그 뒤로 훈장이 있는 형태이다. |
예루살렘 왕국 헌법 제1장 제5조(상징) 제3항 |
예루살렘 왕국 왕실 문장 Armoëries roïales de lo Roïaume de Ierusalia
| |
![]() | |
---|---|
지위 | 예루살렘 왕국 공식 국장 |
채택일 | 1921년 |
근거 법령 |
「예루살렘 왕국 헌법」 「국가상징법」 |
사용처 | • 외국 또는 외국 기관에 발송하는 대외 공문 • 국내 관공서 건물 및 재외공관 건물 • 왕실 건물 • 예루살렘 왕국 여권 표지 • 훈장 및 국왕 표창 등의 상훈 • 고등행정관 3급 및 고등기술관 3급 이상 공무원에 대한 임명장 • 그밖에 국가, 왕실과 관련된 사항 |
예루살렘 왕국의 국장은 국기 등과 마찬가지로 1921년 헌법 제정과 함께 공식 국장으로 채택되었다.[2] 여타 군주제 국가가 그렇듯 예루살렘 왕국의 국장은 국왕의 문장이자 압스부르크에브론 왕조의 문장이다.
국장은 외국으로 발송되는 외교 문서, 국내 관공서 건물이나 재외공관 건물, 고위 공무원의 임명장 등에 사용된다. 국장은 곧 국왕의 문장이자 왕조의 문장인 만큼 사용처는 「국가상징법」과 「국가상징 사용에 관한 규정」 등 관련 법률에 의거해야 한다.
국가
역사
인문 환경
인구
언어
Beünvenguts a Wikis, la sancta terrë del savoir novël, futuriste et democratïca. |
신지식의 성지, 미래적이고 민주적인 위키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예루살렘 왕국은 우트르메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물론 아랍어, 영어, 히브리어 등등 여러 언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공용어로 지정된 것은 우트르메르어 하나뿐이다. 우트르메르어로 우트르메르어는 'Utremarïen'라고 한다. 발음은 [y.tʁə.ma.ˈʁi.ɛn]이며 한글로는 위트르마리엔 정도로 표기할 수 있다.
1099년, 제1차 십자군 전쟁으로 예루살렘 왕국이 성립되었다. 북프랑스, 부르고뉴 계통의 귀족들이 이를 주도했는데, 그 영향으로 초창기에는 고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했다. 행정과 종교에 있어서는 라틴어가 사용되었다. 이후 이슬람 제국, 비잔틴 제국 등과의 접촉으로 현지 언어 차용어가 다수 유입되었다. 중세를 거쳐 근대, 현대에 이르면서 라틴어, 고프랑스어, 아랍어, 그리스어 등 다양한 언어의 혼성체로서 독자적인 언어로 발전했다. 18세기 즈음에는 통일된 표기법과 문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으면서 국내 언어학자들을 필두로 우트르메르어 사전이 편찬되었고, 20세기 현대에 들어서는 프랑스의 아카데미 프랑세즈를 본따 예루살렘 왕립학예원 산하에 우트르메르어 연구회(Cercle d’Estüde Utremarïen)가 설치되었다.
전반적으로 언어 공교육이 발달한 나라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영어로 일상적인 대화는 충분히 할 수 있어 영어가 잘 통한다. 사실 우트르메르어는 프랑스어의 영향을 짙게 받았기 때문에 조금의 학습만으로도 원어민 수준으로 프랑스어 회화가 가능하기도 하다. 학교에서는 국어인 우트르메르어와 세계적인 공용어인 영어는 물론, 프랑스어나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을 제2외국어로 배운다. 특히 독일어가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음운론적 특징으로는 /ʃ/, /ʒ/, /θ/, /x/ 등 고프랑스어와 라틴어, 아랍어에서 유래한 다양한 자음군이 있으며, dëmen(dominus)의 사례와 같이 비강세 모음이 약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프랑스어의 비음, 라틴어의 이중모음, 아랍어의 성문음이 공존하는 모습 또한 보인다. 문법론적으로는 인도유럽어족,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서 나타나는 문법적 성이 존재하며, 라틴어의 규칙동사와 고프랑스어의 불규칙 변화가 혼재해 동사가 변칙적으로 변화한다. 또한 de, par, a, en 중심의 전치사 중심 통사 구조가 나타나는데, 주격과 목적격만이 명확하게 발현되고 기타 격은 전치사를 활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기본 문자
글자 | 명칭 | 발음 |
---|---|---|
A a | 아(a) | /a/ |
B b | 베(be) | /b/ |
C c | 쎄(se), 께(ke) | /k/, /s/ |
Ç ç | 쎄 세디야(se sedilha) | /s/ |
D d | 데(de) | /d/ |
E e | 에(e) | /e/ |
Ë ë | 에 트레마(e trema) | /ɛ/, /ə/ |
F f | 에프(ef) | /f/ |
G g | 쥬, 게(ge) | /g/, /ʒ/ |
H h | 하(ha), 묵음 | /x/ |
I i | 이(i) | /i/, /j/ |
J j | 쥬(je) | /ʒ/ |
K k | 카(ka) | /k/ |
L l | 엘(el) | /l/ |
M m | 엠(em) | /m/ |
N n | 엔(en) | /n/ |
Ñ ñ | 에녜(enye) | /ɲ/ |
O o | 오(o) | /o/ |
P p | 페(pe) | /p/ |
Q q | 뀨, 큐ku) | /k/ |
R r | 에흐르, 에르(er) | /r/, /ʁ/ |
S s | 에스(es) | /s/, /z/ |
T t | 테(te) | /t/ |
Þ þ | 쏜(thorn) | /θ/ |
U u | 위(u) | /y/ |
V v | 베(ve) | /v/ |
X x | 이슈(ix) | /ʃ/ |
Y y | 이 그레크(i grec) | /i/, /j/ |
Z z | 제드(zed) | /z/ |
다중 문자
다중 자음의 대부분이 사용되지 않을 뿐만이 아니라 기본 문자로 충분히 대체가 가능하여 다중 모음만 표기한다.
- ai - /aj/
- ei - /ɛj/
- ie - /je/, /i.e/
- oi - /wa/
- ou - /u/
- au - /o/
- ui - /ɥi/, /wi/
- eu - /ø/
- oa - /wa/
종교
예루살렘은 기독교, 이슬람, 유대교 등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의 성지로 여겨지는 곳으로, 중세 유럽 가톨릭 성직자들과 봉건 영주들은 이 성지를 차지하기 위하여 십자군 전쟁을 일으켜 예루살렘 왕국을 건국했다. 현대 예루살렘 왕국은 이러한 뿌리를 두고 있는 만큼 가톨릭의 영향력이 매우 강하다. 물론 예루살렘 왕국 이전에 이슬람과 유대교가 있었고, 관용 정책으로 이들을 탄압한 것은 아니었지만 가톨릭이 국교의 지위를 누려온 기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가톨릭이 거의 국교로 여겨지다시피 한다. 사실 이전 왕조들은 교회에 그렇게 열성적인 편은 아니었다. 그러나 18세기 압스부르크에브론 왕조가 들어서고 교회를 적극적으로 후원하기 시작하면서 왕국의 가톨릭화가 가속화되었다. 다만 다른 종교를 탄압하지는 않았기에, 그러한 와중에도 국내 무슬림들과 유대인들은 신앙을 유지하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2038년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60% 가량이 가톨릭를 믿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슬람이 20%, 유대교가 10%, 정교회, 개신교, 힌두교 등 기타 종교가 그 뒤를 이었다.
다른 선진국이 으레 그렇듯 종교활동 참여율이 매년 낮아지고는 있으나, 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76%가 삶과 종교는 분리할 수 없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