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경제국 제1제국 내명부

Pictogram infobox palace.png
대경제국 내명부
大敬帝國 內命婦 / Korea Woman Secretariat[1]
설립일 정공 26년, 경원 원년, 1890년 6월 9일
설립 근거 대경제국 제1제국 헌법
전신 대경국 내명부
해산일 의명 26년, 1961년 5월 17일
후신 대경제국 내명부
직원 수 1,540명
제조상궁 4대 서순음(마지막)

  1. 영어 번역명이 없었다가 폐지 1년 전인 1960년에 비공식으로나마 제정됐다.

개요

내명부는 대경제국 궁무직 공무원 중 여관 사무와 궁내 사무[1]를 관장하던 기관이었다.

역사

정공 26년, 경원 원년, 1890년에 궁내정제가 개편되면서 내명부도 개혁이 적용됐는데 기존에 기관화 되지 않았던 내명부가 행정기구화가 되고 제조상궁-최고상궁-상궁-상의-나인을 골자로 하는 관제가 제정된다. 이후 제1대 제조상궁[2]에 '신애가' 중궁전 지밀 상궁이 임명되며 본격적으로 내명부가 운영되기 시작한다.

신애가 제조상궁 이후 내명부는 다른 궁무부 기관들과는 달리 궁무부 기관의 대표 자리를 놓고 싸우지 않았는데 우선 실질적으로 내명부가 황후를 등에 업고 있던 것만으로도 이미 만족한 상황이었고 게다가 내명부의 실질적 수장인 황후들이 내명부가 궁무부 기관 대표 자리 경쟁에 개입하는 것을 금지한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그렇게 내명부는 조용하게 의명 26년, 1961년까지 유지되다가 군사 쿠데타로 강제 해산된다. 그리고 복벽이 이루어지면서 도로 내명부는 대경제국 내명부로 복설된다.

구성

내명부는 제조상궁을 정점으로 하는 상/하가 뚜렷한 기관으로 각 조직은 서로 보이지 않는 선으로만 소통할 수 있었으며, 공식적인 협력은 제조상궁의 주도 하에 이루어졌다. 여기서 제조상궁은 각 조직의 최고상궁들이 모인 회의에서 결정되 선출되는 자리로 종신직이었다. 즉 본인이 사퇴하여 출궁하거나 사망을 하거나 황후로부터 해임을 당하는 경우에만 새 제조상궁이 부임할 수 있었다.

내명부의 요직 구성과 각 조직의 협력에 관해 제조상궁이 최고 결정권을 갖고 있지만 이러한 안을 건의하는 기구로는 최고상궁회의가 있었다. 최고상궁회의는 비단 안건 건의 뿐만 아니라 내명부의 주요 대소사를 결정하는 기구로 참여자는 제조상궁, 최고상궁, 특별상궁이 있었다.[3] 결정은 투표로 진행됐었고 찬반투표에 따라 찬성이 많으면 안이 가결되고 반대가 반대가 많으면 안이 부결되는 형식이었다. 무엇보다 최고상궁회의는 '제조상궁 선출권'을 가지고 있는 기구인 점이 가장 돋보이는 기구로서 평소에는 제조상궁이 업무를 독단적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아 존재감이 묻히는 경우가 있었다.

내명부의 주요 조직은 청으로 구성되었으며 지밀청, 감찰청, 침방청, 수방청, 생과방청, 궁식방청, 세답방청, 궁식방청 예하의 소주방청이 있었다. 특별기구로는 세수간과 궁식방청 예하 수라간이 있었으며 세수간 예하에는 복이처라는 산하 독립기관이 존재했다. 각 청과 간의 수장은 최고상궁이며 간부는 상궁이었다. 최하위 공무원은 나인으로 구성됐다. 기본적으로 각 조직당 상궁은 최소 4명 이상 존재해야 했고 나인은 최소 40인 이상은 존재해야 했다. 비자는 따로 정해진 규정이 없으나 조직 내 소통을 위한 목적으로 최소 5명 정도는 각 조직이 자율적으로 두고 있었다.

각 조직은 감찰청의 삼엄한 감찰을 받는데 이에 따라 감찰청에서 파견한 '파견궁인'이 각 조직에 존재했다. 파견궁인은 상궁과 나인으로 나뉘며 나인은 2명 이상 무조건 각 조직에 배치되어 있고 파견상궁은 지밀과 세수간, 수라간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들은 정기적으로 감찰을 실시하고 감찰 과정에서 꼬투리가 잡히면 그 조직에는 피바람대대적인 시정 요구가 감찰청으로부터 빗발치는데 결국은 시정 요구를 수락하여 시정 해야 할 부분이 시정됐었다. 그러나 이에 이의를 최고상궁회의에 제소할 수 있는 시스템이 의명 16년, 1950년에 마련됐다.

제조상궁 예하에는 부제조상궁(중직)과 수발상궁이 있었고 다른 조직의 최고상궁과는 달리 지밀 최고상궁은 수발상궁을 둔다. 세답방청은 다른 조직들 중에서는 유이(有二)하게[4] 산하 조직인 복이처를 둔다. 다만 복이처와 세답방 간의 기능이 너무 달라서 사실상 복이처는 독립된 기구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조직

  • 제조상궁
    • 부제조상궁
    • 수발상궁
  • 최고상궁회의
    • 의장(제조상궁이 겸직)
    • 최고상궁 8인[5]
    • 특별상궁 1인[6]
  • 지밀청
    • 최고상궁
      • 수발상궁
    • 상궁 20인[7]
    • 나인 248인[8]
    • 비자 20인
  • 감찰청
    • 최고상궁
    • 상궁 10인[9]
    • 나인 100인[10]
    • 비자 10인
  • 침방청
    • 최고상궁
    • 상궁 4인[11]
    • 나인 50인[12]
    • 비자 5인
  • 수방청
    • 최고상궁
    • 상궁 4인[13]
    • 나인 50인[14]
    • 비자 5인
  • 세수간
    • 최고상궁
    • 상궁 5인[15]
    • 나인 50인[16]
    • 비자 5인
  • 생과방청
    • 최고상궁
    • 상궁 4인[17]
    • 나인 50인[18]
    • 비자 5인
  • 궁식방청
    • 수라간
      • 최고상궁
      • 상궁 6인[19]
      • 나인 100인[20]
      • 비자 5인
    • 소주방청
      • 상궁 14인[21]
      • 나인 203인[22]
      • 비자 5인
  • 세답방청
    • 최고상궁
    • 상궁 5인[23]
    • 나인 120인[24]
    • 비자 10인[25]

나인

내명부를 구성하는 가장 최하위 궁무직 공무원은 '나인'으로 나인은 또 견습나인과 통나인, 특별나인으로 나눈다. 견습나인은 견습(교육)을 받는 나인을 말하고 통나인은 견습 과정을 완전히 수료하여 통(通)을 받은 나인을 말한다. 견습 과정에서 탈락하는 나인은 비자로서 근무하다가 다시 견습에 응시하여 견습나인이 될 기회를 얻는다. 그리고 이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26]

특별나인은 각 조직당 최소 2명 이상 정도는 존재하는 나인으로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의를 비롯해 승은을 받은 승은나인, 처소 배치가 보류된 연나인, 각 조직에서 사사로이 들여온 특별견습나인 등 딱봐도 통나인과는 차별화 되는 나인들을 부르는 말이다. 예전에는 감찰청에서 파견한 나인들도 이 특별나인에 분류했다가 1958년, 궁내정제 개편과 함께 특별나인이 아니게 되었다.

상의

나인 위에는 상궁이 있었는데 이 상궁과 나인 중간에는 예비상궁이라는 별칭이 있는 상의가 있었다. 상의는 상궁이라 하기에는 애매한 나인들이 봉해지는데 각 조직마다 상의가 2명 정도는 존재했다. 상의는 공식적으로 특별나인에 속하고 상의에서 어느 정도 상궁이라 짐작이 되면[27] 그 조직의 상궁들끼리 회의를 열어 해당 상의를 상궁으로 올린다. 이 과정에서 상궁이 되는데 실패한 상의는 도로 특별나인에서 통나인으로 강등된다. 그러나 제1제국이 망할 때까지 상궁이 되는데 실패하여 도로 통나인이 되는 상의는 나오지 않았다.

상의는 재직 기간에 따라 등급이 나뉘는데 우선 상의에 임명된지 5년 이하의 상의는 '소의'라 하고 5년 이상 10년 이하의 재직 기간을 누리고 있는 상의는 '중의', 10년 이상의 재직 기간을 누리고 있는 상의는 '대의'라 한다. 대의가 되면 좋든 싫든 상궁 회의에서 결국은 상궁을 시켜주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궁 교육 이수에 실패해 도로 통나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말했듯이 제1제국이 망할 때까지 이런 상의는 안 나왔다.

상궁

상궁은 '각 조직의 간부'로 조직에 따라 제조상궁, 부제조상궁, 수발상궁, 최고상궁, 일반상궁, 보모상궁, 시녀상궁, 특별상궁(승은상궁 등), 복이상궁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상궁이 되는 과정은 20년 동안 궁에 있던 경험이 있는 그러니까 오랫동안 통나인에 있던 나인이 상의로 승격되면서 첫 과정을 밣는다. 상의로 있는 동안에는 특별나인으로 분류되어 궁내실무와 시종사무에서 분리되 따로 상궁 교육을 이수받는다.[28] 이렇게 이수를 받은 상의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 소속된 조직의 상궁 회의에서 정식 상궁으로 발령이 될 때가지 기다려야 한다. 그리고 정식 상궁으로 발령이 되면 이때부터 나인이 아닌 상궁이 됐다.

부제조상궁은 제조상궁이 두는 상궁으로 제조상궁을 보좌하는 업무를 맡는데 고위직에 해당했다. 수발상궁은 최고상궁이나 특별상궁의 수발을 담당하는 상궁으로 상궁 중 고위직에 해당했다. 같은 고위직인 최고상궁은 각 조직의 수장 상궁으로 이 최고상궁들끼리 따로 회의를 열어 내명부의 정점, 즉 수장인 제조상궁을 선출한다. 중직(中職)에 속하는 보모상궁, 시녀상궁은 보통 지밀청에 속하는 상궁으로 보모상궁은 말 그대로 황자, 황녀의 보모가 되는 상궁으로서 지밀청 입장에서는 빠지면 안되는 요직이었다. 이덕분에 보모상궁은 겉으로는 중직이지만 지밀청 내에서는 고위직의 대우를 받았다. 시녀상궁은 출납상궁이라고도 불리우는데 내명부에 관련된 황명을 출납하는 업무를 맡기도 하고 책을 읽거나 사료를 기록·정리하는 업무도 맡는다. 업무 특성상 산수와 낭독을 잘 해야 했기에 견습나인 과정에서 산수 혹은 낭독을 잘 하는 이들은 이미 시녀 상궁으로 임명되는 것이 확정되어 그대로 통나인이 되어서도 산수나 낭독 중심의 교육을 받다가 상의가 되고 곧바로 시녀 상궁이 됐었다. 시녀 상궁의 위치는 중직으로 고위직의 대우를 받은 시녀 상궁은 없었다. 고위직과 중직이 아닌 말단직에 속하는 일반 상궁은 상궁 발령이 났으나 조직 배치가 안 된 상궁, 혹은 통나인이나 견습나인을 관할하는 상궁 등을 말하며 이들이 해당 업무에서 능력을 쌓을 경우 해당 조직의 소임 업무를 맡는다.[29] 즉 내명부에서 실무를 맡는 간부라 보면 된다. 근데 여기서 말단직도 아니고 고위직도 아니고 중직도 아닌 상궁이 있는데 바로 특별상궁이다. 특별상궁은 주로 승은상궁이 많았는데 승은상궁은 승은나인이 승진한 직으로 내명부 첩지를 받으면 곧바로 후궁이 됐다. 서열상 내명부의 수장인 제조상궁보다 더 높은 직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제조상궁보다 아래다.[30]

과거에는 입상궁이라 하여 나이에 맞지 않게 바로 상궁이 되는 이들도 있었는데 이후 정공 26년, 경원 원년, 1890년에 궁내정제 개편과 함께 폐지됐다.

최고상궁

최고상궁은 각 청처간(廳處間)의 수장으로 예하에 간부인 상궁을 둔다. 최고상궁에 대한 대우는 각 청처간의 지위에 따라 조금씩 달라졌지만[31] 공식적으로는 다 같은 고위직 상궁이었다. 매년 연봉을 받는 정무직 공무원으로 최고상궁직도 종신직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최고상궁들이 모여 만드는 의결 기구인 최고상궁회의가 있었는데 이 회의에서는 내명부의 대소사를 결정하고 제조상궁을 선출하는 사무를 주재했다.[32] 최고상궁에 대한 임명권은 제조상궁에게 있지만 이러한 부분만큼은 각 조직에서 미리 경연을 통해 뽑아둔 예비 후보만을 최고상궁에 임명하게끔 하는 관례가 있었다. 이를 어기는 제조상궁은 당장 황후가 직에서 파면시킨다.그렇다 결국 황후가 짱이다

제조상궁

제조상궁은 내명부의 최고 수장으로 매년 연봉이 존재하고 종신직의 궁무직 공무원이었다. 최고상궁회의에서 선출되는 직위이지만 선출 이후에는 최고상궁회의가 건의한 안에 대해 대놓고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을 만큼 막강한 권한을 쥐고 있으며 내명부 각 조직의 협력 사안이나 공동 처리 사안에 대해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 있었다.[33] 제조상궁은 예하에 부제조상궁을 두는데 부제조상궁은 주로 제조상궁의 업무를 보좌하는 사무를 맡으며 제조상궁이 갑자기 궐위한 경우에 한하여 최고상궁회의에서 새 제조상궁을 선출할 때까지만 최고상궁회의 의장직과 제조상궁직의 권한을 대행했다.

업무

내명부의 업무는 궁무직 공무원 중 여관공무원을 관할하는 사무가 주 핵심 업무라 볼 수 있었다. 이외 궁내 사무를 부분적으로 맡고 있으며 각 조직은 개별적으로 제조상궁의 지시 하에 다른 궁무부 기관들과 협력하며 업무를 진행했었다. 그리고 내명부는 황후의 손아귀에 있는 황후의 친위 기구로서 황후와 관련된 시종 업무들을 전담하고 있었다. 이를 제외하고 여러 기타 황실 사무를 담당하였다.

조직별 업무

먼저 지밀청은 황실을 시종, 보좌하는 조직이며 보모 상궁을 통해 어린 황자나 황녀의 보육을 맡기도 했다. 감찰청은 내명부 규율 감정(監定)과 내명부 내부 감찰을 맡는 기구로 감사원이라 보면 됐다. 침방청은 궁내에서 사용하는 옷을 만드는 곳으로 옷을 만드는 것 뿐만 아니라 궁이나 황실로 이송되는 옷감 등의 검수를 맡는다. 수방은 옷에 수를 놓거나 장식물을 설치하는 조직으로 궁과 황실 구성원의 인테리어 등을 맡는다. 세수간은 궁내에서 사용하는 수자원을 관할하고 궁내청결 업무를 주재한다. 생과방은 식사 이외의 음료나 한과, 다과회 등을 준비하는 조직으로 음식은 수라간에서 파견한 나인의 지휘 하에 만든다. 세답방은 빨래방이라 보면 되는데 예하에 독립 기구로 궁내 보열(保熱)과 등동(燈動) 등의 잡무(雜務)를 주관하는 복이처를 두고 있었다.

관련문서

각주

  1. 일부분만 주관한다.
  2. 물론 이전에 제조상궁도 있었으나 대수가 너무 길어질 것을 염려하여 그냥 황국제제 후 기관화된 내명부 제조상궁부터 대수를 계산했다.
  3. 그러나 부제조상궁과 각 조직에서 특별히 요청한 상궁도 회의에 참여할 수 있었다. 다만 이렇게 온 상궁들은 발언권이 없고 오직 투표권만 있었다.
  4. 유일(有一)하게는 아닌 것이 궁식방청도 예하에 소주방청과 수라간이 있었다. 다만 이들은 그래도 예하 기구가 업무라도 같지 세답방청, 그리고 복이처는 업무 자체가 서로 다르다.
  5. 지밀, 감찰, 침방, 수방, 세수간, 생과방, 궁식방, 세답방
  6. 승은상궁(다만 승은상궁이 있을 때에 한하여)
  7. 지밀상궁 6인, 동궁전 보모상궁 2인, 이외 황자녀 보모상궁 2인, 시녀상궁 1인, 일반상궁 5인, 감찰청 파견상궁 2인, 보직상궁 2인
  8. 대전 지밀 50인, 중궁전 지밀 50인, 태후전 지밀 20인, 황태후전 지밀 20인, 태황태후전 지밀 20인, 동궁전 지밀 20인, 감찰청 파견나인 3인, 기타 65인
  9. 일반상궁 5인, 감찰청 파견상궁 4인, 보직상궁 1인
  10. 감찰나인 80인, 감찰청 파견나인 18인, 특별나인 2인
  11. 일반상궁 3인, 보직상궁 1인
  12. 침방나인 40인, 감찰청 파견나인 3인, 특별나인 7인
  13. 일반상궁 3인, 보직상궁 1인
  14. 수방나인 40인, 감찰청 파견나인 3인, 특별나인 7인
  15. 일반상궁 3인, 감찰청 파견상궁 1인, 보직상궁 1인
  16. 세수간나인 40인, 감찰청 파견나인 3인, 특별나인 7인
  17. 일반상궁 3인, 보직상궁 1인
  18. 생과방나인 40인, 감찰청 파견나인 3인, 특별나인 7인
  19. 일반상궁 4인, 감찰청 파견상궁 1인, 보직상궁 1인
  20. 수라간나인 93인, 특별나인 7인
  21. 처소 소주방상궁 8인, 일반상궁 4인, 보직상궁 2인
  22. 소주방나인 190인, 감찰청 파견나인 3인, 특별나인 10인
  23. 일반상궁 3인, 복이상궁 1인, 보직상궁 1인
  24. 세답방나인 50인, 감찰청 파견나인 3인, 특별나인 7인, 복이나인 60인
  25. 세답방비자 5인, 복이비자 5인
  26. 무려 이 과정을 10번을 반복하여 궁에 입궁한 이들도 있다.ㄷㄷ..
  27. 짐작의 기준은 '해당 상의가 상궁 교육을 완전히 수료했는가'에 따라 판단된다.
  28. 이때 지밀에서 특별 보모상궁을 선발하고 선발된 상궁이 교사로서 상의에게 보내진다.
  29. 그리고 소임 업무에서 탁월한 실력을 보이는 일반 상궁은 훗날 최고상궁이나 수발상궁 등의 고위직으로 승진한다.
  30. 왜냐하면 제조상궁은 내명부에서 썩을대로 썩은 석유이고 승은상궁은 궁에 불과 10년도 지내지 않은 새파란 샘물이다. 경험치로 보면 제조상궁이 훨씬 우월하다. 게다가 제조상궁은 최고상궁 사이에서 가장 능력을 인정받은 이가 추대되는 직인데 반해 승은상궁은 그냥 승은을 입어서 임명되는 상궁이다. 정통성으로 보더라도 제조상궁이 실질적으로 더 높다.그렇다고 함부러 승은이라는 단어를 욕 보이면 안된다.
  31. 초기에는 이러한 대우 차이가 천차만별이었다가 후기에는 거의 비슷해졌다.
  32. 하지만 최고상궁도 그렇고 최고상궁회의도 그렇고 제조상궁 입장에서는 그냥 자신의 손바닥 안에 있는 이들로 밖에 취급이 안 됐다. 최고상궁회의에서 안을 건의해도 제조상궁이 거부하면 소용이 없고 최고상궁들은 못하는 권한들이 죄다 제조상궁에게 몰려 있는 터인게 실정이었다.
  33. 어차비 결정 권한이 제조상궁에게만 있다.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