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라루스어

30px세계의 언어
[ 펼치기ㆍ접기 ]
▪ 관련 문서: 언어외국어 · 언어 관련 정보
간다어갈리시아어게일어 · 과라니어광동어 · 고아 콘칸어구자라트어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남부 소토어냔자어노르웨이어 · 네덜란드어네팔어
도그리어독일어 · 덴마크어디베히어
라파누이어 · 라다크어 · 러시아어 · 라오어라트비아어라틴어 · 루샤이어룩셈부르크어르완다어루마니아어 · 리투아니아어링갈라어
몰타어 · 몽골어 · 마인어 · 마니푸리어마케도니아어 · 마라티어마오리어마이틸리어만주어맨어말라가시어말라얄람어말레이어몽어
바스크어 · 벵골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불가리아어밤바라어보스니아어북부 소토어
사모아어산스크리트어세르보크로아트어 · 스웨덴어 · 스와힐리어 · 스페인어 · 스코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소닝케어 · 소말리아어서부 프리지아어세부아노어세르비아어소라니 쿠르드어쇼나어순디어싱할라어
영어 · 이디시어 · 일본어 · 아파르어 · 아랍어 · 아람어 · 암하라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에스토니아어 · 우르두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알바니아어 · 아디게어 · 아이누어 · 이탈리아어 · 오어 · 요루바어 · 이보어아삼어아이마라어아이티어아제르바이잔어아칸어아르메니아어아프리칸스어에스페란토어에웨어오로모어오리아어우즈베크어위구르어이그보어이로코어인도네시아어
중국어 · 저지 독일어 · 조지아어 · 자바어줄루어
체코어총가어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콥트어 · 콘월어 · 코만치어칸나다어케추아어카렐어코르시카어코사어쿠르드어크로아티아어크메르어키르기스어크리오
타밀어타지크어타타르어티베트어 · 튀르키예어 · 통가어 · 태국어텔루구어투르크멘어티그리냐어
파슈토어폴란드어 · 핀란드어 · 프랑스어 · 포르투갈어 · 펀자브어 · 페르시아어 · 페로어 · 풀라어 · 프리지아어필리핀어
한국어 · 헝가리어 · 힌디어 · 히브리어 · 하우사어하와이어호즈푸리어
기타 관련 문서 통역 · 번역 · 사전
Беларуская мова
벨라루스어
주요사용국벨라루스, 러시아
원어민약 510만 명
어족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군
벨라루스어
문자키릴 문자
언어 코드
ISO-639-1BE
ISO-639-2BEL
ISO-639-3BEL
주요 사용 지역
동유럽(벨라루스)

개요

벨라루스어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루신어와 함께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는 개별언어이다. 러시아어와 함께 벨라루스의 공용어이며, 러시아, 우크라이나 북부,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폴란드 동부에 거주하는 벨라루스인들도 종종 사용한다. 러시아어와는 상당히 비슷해서 서로 어느 정도 알아들을 수 있다고 한다.[1] 우크라이나어와도 매우 가까워 85% 이상은 통역 없이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2] 폴란드어, 우크라이나어, 리투아니아어, 독일어, 라틴어, 튀르크어, 교회 슬라브어 등 여러 주변국들의 언어들에서 차용어들을 받아들였다.

벨라루스어는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루신어와 함께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분화되어서 매우 가까운 편이다.

각주

  1. 어느 한 연구자료에 따르면 문어(文語)는 80%, 구어(口語)는 70% 정도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물론 사람마다 이해하는 정도가 다를 순 있다.
  2. 반면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는 같은 동슬라브어군이면서도 서로 소통에 어느 정도 지장이 있다고 한다. 이 점에서는 벨라루스어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 사이의 중간자적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