Ελληνικά | |
그리스어 | |
주요사용국 | 그리스, 키프로스 |
원어민 | 약 1,500만 명 |
어족 | 헬라어파 아티케 그리스어 그리스어 |
문자 | 그리스 문자 |
언어 코드 | |
ISO-639-1 | EL |
ISO-639-2 | GRE(B) ELL(T) |
ISO-639-3 | ELL |
주요 사용 지역 | |
남유럽(그리스, 키프로스) |
그리스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1조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
개요
그리스와 키프로스에서 쓰는 언어이자 공용어. 유럽연합의 공용어로도 포함되어 있고 그리스를 포함해서 그리스 영토 밖의 해외 그리스인 공동체 호주의 그리스인 공동체가 대표적이다에서도 쓰이고 있다.
헬라어(헬라스어) 또는 한자 가차로 희랍어(希臘語)라고도 한다. 헬라어라 쓰는 사람들은 '그리스'는 영어 기준이기에 더욱 원어에 가까운 이 표기를 선호한다. 여기서 '헬라'는 명사형이 아니므로 명사형 '헬라스'를 통해 헬라스어라 표기하는 사람들도 있다. 사실 예전에는 그리스어를 들여올 때 어미 부분을 잘라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다만 영미권을 위시한 서양 쪽에서도 어미를 자르고 자국어로 편입하는 일은 흔했다. 페트로스가 베드로로, 파울로스가 바울로로 들어온 게 그 예시. 현대 들어서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처럼 어미를 자르지 않는 경우도 빈번해지고 있다. 물론 이렇게 깊게 따지고 든다면, '헬라스'는 고전 발음이니 중세 이후의 발음인 '엘라스'가 더 알맞을 수도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