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분류:동음이의어 문서 {{동음이의}}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450px; font-size:10pt;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파일: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png|20px]] {{{-1 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소련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 | |||
{| | {{실제 국가}} | ||
{{소련 (실제)}}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cd0000; max-width: 450px; float: right" | |||
! colspan="6" style="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d0000, #cd0000 20%, #cd0000 80%, #cd0000); color: #ffd700; line-height: 1.8em;" | <big>'''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big><br>'''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 |||
|- | |- | ||
! style="background:# | ! align=center colspan="3" style="background:#fff;" | [[파일:1920px-Flag of the Soviet Union.svg.png|150px]] | ||
! align=center colspan="1" style="background:#fff;" | [[파일:소비에트 연방 국장.png|100px]] | |||
|- | |- | ||
! style="background:# | ! colspan="3" width="50%" style="background: #DB0000; color: #ffd700" | 국기 | ||
! colspan="1" width="50%" style="background: #DB0000; color: #ffd700" | 국장 | |||
|- | |- | ||
|- | |- | ||
! style="background:# | ! colspan="6" style="background:#FFFFFF; color: #DB0000" | '''{{{#cd0000 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br]{{{#F8C300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상징 | |||
|- | |||
|- |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국가 | |||
| colspan="4" align=left | '''[[인터내셔널가]]''' ([[1922년]] ~ [[1944년]])<br>'''[[소련 국가]]''' ([[1944년]] ~ [[1991년]])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국화 | |||
| colspan="4" align=left | '''[[해바라기]]'''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역사 | |||
|- | |||
| colspan="6" style="font-weight:" |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 style="color:#ffffff; font-size: 100%;" | | |||
|- | |||
| colspan="6" align=center | '''[[1922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우크라이나]]·[[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벨로루시]]·[[자캅카스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자캅카스]]·[[호라즘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호라즘]]·[[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부하라]]의 통합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연방 성립]]''' [br] [[1928년]] 제1차 [[5개년 계획]] 수립 [br] [[1935년]] [[대숙청]] (~[[1938년]]) [br] [[1936년]] 스탈린 헌법 제정 [br]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1945년]])[* [[폴란드 침공]]부터.] [br] [[1956년]] [[니키타 흐루쇼프#s-3.2.1|스탈린의 격하]] [br]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br] [[1969년]] [[중국-소련 국경분쟁]] [br] [[1977년]] 브레즈네프 헌번 제정 [br] [[1979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1989년]]) [br] [[1985년]] [[글라스노스트/페레스트로이카]] [br]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br] [[1991년]]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
|- | |||
|}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지리 | |||
|- | |||
| colspan="6" style="font-weight:" |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영역 | |||
| align=left | [[동유럽]], [[중앙아시아]], [[북아시아]]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수도 | |||
| align=left | [[모스크바]]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면적 | |||
| align=left | 22,402,200km²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접경국 | |||
| align=left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5]] ~~[[리투아니아]]~~[br]•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25]] ~~[[라트비아]]~~[br]•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25]] ~~[[에스토니아]]~~[br]•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핀란드]][br]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폴란드]] [br]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체코슬로바키아]][br]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5]] [[헝가리]][br]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5]] [[루마니아]][br]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5]] [[튀르키예]][br]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3]] [[노르웨이]][br] • [[파일:이란 국기.svg|width=25]] [[이란]][br] • [[파일: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국기(1987–1992).svg|width=25]]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br]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화인민공화국]][br]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25]] [[몽골 인민 공화국]][br] • [[파일:북한 국기.svg|width=25]] [[북한]] | |||
|- | |||
|}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인문환경 | |||
|- | |||
| colspan="6" style="font-weight:" |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
! colspan="2" width=21%"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인구 | |||
| align=left | 286,730,819명^^(1989년)^^ | 세계 3위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민족 | |||
| align=left | [[러시아인]] 51%, 우크라이나인 15%, 우즈베크인 6% 등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언어 | |||
| align=left | [[러시아어]][* [[블라디미르 레닌]]은 국가 주도의 [[공용어]]라는 개념을 반대했고, [[러시아어]]는 각 민족 간의 소통을 위한 언어였을 뿐이다. 정작 러시아 내에서도 1990년에서야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 | [[라트비아어]] | [[루마니아어]] | [[리투아니아어]] | [[벨라루스어]] | [[아르메니아어]] | [[아제르바이잔어]] | [[에스토니아어]] | [[우즈베크어]] | [[우크라이나어]] | [[조지아어]] | [[카자흐어]] | [[키르기스어]] | [[타지크어]] | [[투르크멘어]] | 각 지역별 언어[* 구성 공화국별로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등 구성 공화국 고유 언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었고, 구성 공화국 내 자치구역에서도 별개 공용어 지정이 가능했다. 하지만 [[러시아어]]가 공용어로서 실질적으로 기능했기 때문에 이 언어들은 제2국어, 제3국어 역할에 그쳤다.]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국교 | |||
| align=left | '''국교없음'''(정교분리)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종교 분포 | |||
| align=left | [[무종교]] 60%[* 다만 명목상의 수치일 뿐 실제로는 정교회를 믿는 사람들도 적지는 않았다.], [[정교회]] 20%, [[이슬람]] 10% 등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군대 | |||
| align=left | [[소련군|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군]] | |||
|- | |||
|}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정치 | |||
|- | |||
| colspan="6" style="font-weight:" |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
! colspan="2" width=21%"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정치체제 | |||
| align=left | [[공화제]], [[민주집중제]], [[연방제]], [[일당제]] → [[대통령중심제]], [[다당제]][* 소련 말기에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의해 [[다당제]]가 승인되었다.], [[양원제]][* 인민대표회의가 최고 소비에트를 선출하면서 형식상의 양원제가 아닌 실제 양원제로 운영되었다.]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국가원수 | |||
| align=left | 최고회의 주석(서기장)[* 당연하게도 소련은 15개 국가가 뭉친 연합이였기에 각 공화국별로 서기장이 있었다, 여담으로 구소련권 국가지도자들 중 각 공화국의 서기장을 지낸 인물들이 꽤 있었는데, 대표적인 예로 카자흐 SSR 공산당 1서기장 출신이었던 카자흐스탄 전 대통령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가 있다.] → 대통령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정부수반 | |||
| align=left | 인민위원장 → 장관회의 주석 → 총리[* 인민대표회의에서 인준되지 않은 단순 임명직이었다.]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역대<br>최고지도자 | |||
| align=left | [[블라디미르 레닌]]<br>[[이오시프 스탈린]]<br>[[게오르기 말렌코프]]<sub> (권한대행)</sub><br>[[니키타 흐루쇼프]]<br>[[레오니트 브레즈네프]]<br>[[유리 안드로포프]]<br>[[콘스탄틴 체르넨코]]<br>[[미하일 고르바초프]]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여당 | |||
| align=left | [[소련 공산당 (실제)|{{정당박스|'''소련 공산당'''|#Cd0000|#ffd700}}]] | |||
|- | |||
|}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경제 | |||
|- | |||
| colspan="6" style="font-weight:" |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
! colspan="2" width=21%"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경제체제 | |||
| align=left | 집산주의 및 국유재산제 → 부분적 [[자본주의]] 및 사유재산제[* [[페레스트로이카]] 도입 이후. [[블라디미르 레닌]] 집권 초기에도 [[신경제정책|신경제정책(NEP)]]이라는 이름으로 시장경제적 요소가 도입되었다.]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GDP<br>(명목) | |||
| align=left | $ 2조 2000억^^(1985년, 추정치)^^ | 세계 2위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1인당 GDP | |||
| align=left | $ 6,871^^(1990년)[* 원래는 소련답게 빠르게 올랐으나 공산주의의 한계 때문에 침체되어 6,871달러가 됐다.]^^ $ 9,200^^(GNP)^^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화폐 | |||
| align=left | [[소련 루블]] | |||
|- | |||
|}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외교 | |||
|- | |||
| colspan="6" style="font-weight:" |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
! colspan="2" width=21%"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대한수교현황 | |||
| align=left | 대한민국: 1990년 9월 30일 수교<br>북한: 1948년 10월 12일 수교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UN 가입 | |||
| align=left | '''1945년''' | |||
|- | |||
|}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ccTLD | |||
|- | |||
| colspan="6" align=center | '''.su'''[*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가 사용 중이다.]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국가코드 | |||
|- | |||
| colspan="6" align=center | '''SU[* Soviet Union의 앞글자를 딴 것이다. 지금까지도 이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 있는데, 바로 러시아 국영 항공사 [[아에로플로트]]의 [[IATA]] 코드가 그것. [[소련 붕괴|소련 해체]] 직후의 러시아 연방도 이 코드를 잠시 사용한 적이 있다.]''', '''SUN''', '''810'''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국제전화코드 | |||
|- | |||
| colspan="6" align=center | '''+7'''[* 이후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이 이 국제 전화 코드를 사용하게 된다.] | |||
|- | |||
|} | |} | ||
==개요== | |||
==상징== | |||
===[[소련/국호|국호]]=== | |||
{{본문|소련/국호}} | |||
===[[소련/국기|국기]]=== | |||
{{본문|소련/국기}} | |||
===[[소련/국장|국장]]=== | |||
{{본문|소련/국장}} | |||
===[[소련 국가|국가]]=== | |||
{{본문|[[인터내셔널가]], [[소련 국가]]}} | |||
==[[소련/역사|역사]]== | |||
{{본문|소련/역사}} | |||
==지리== | |||
==인문환경== | |||
===[[소련/인구|인구]]=== | |||
{{본문|소련인}} | |||
===[[소련/언어|언어]]=== | |||
{{본문|소련/언어}} | |||
===[[소련/종교|종교]]=== | |||
{{본문|소련/종교}} | |||
===[[소련/교통|교통]]=== | |||
{{본문|소련/교통}} | |||
==행정구역== |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 | |||
===구성국=== | |||
===자치구역=== | |||
===주요 도시=== | |||
==[[소련/정치|정치]]== | |||
{{본문|소련/정치}} | |||
===[[소련 장관회의|행정부]]=== | |||
{{본문|소련 최고지도자}} | |||
{{본문|소련 장관회의}} | |||
===[[소련 공산당 (실제)|정당]]=== | |||
{{본문|[[소련 공산당 (실제)|소련 공산당]]}} | |||
===[[소련/외교|외교]]=== | |||
{{본문|소련/외교}} | |||
==[[소련/경제|경제]]== | |||
{{본문|소련/경제}} | |||
==[[소련/과학|과학]]== | |||
===과학 행정=== | |||
===정권별 특성=== | |||
==사회== | |||
===복지=== | |||
===주거=== | |||
{{본문|아파트}} | |||
====주거난==== | |||
===노동=== | |||
===의료=== | |||
===치안=== | |||
==[[소련/문화|문화]]== | |||
{{본문|소련/문화}} | |||
===관광=== | |||
===교육=== | |||
{{본문|소련/교육}} | |||
===스포츠=== | |||
===[[공휴일/소련|공휴일]]=== | |||
{{본문|공휴일/소련}} | |||
==[[소련군|군사]]== | |||
{{본문|소련군}} | |||
==대중매체에서== | |||
===영화=== | |||
===게임 & 애니메이션=== | |||
===드라마=== | |||
===기타=== | |||
==둘러보기== |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 | |||
{{구 소련 구성 공화국 목록}} | |||
{{공산주의}} | |||
{{바르샤바 조약 회원국}} | |||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 |||
{{소련의 대외전쟁}} | |||
{{러시아 관련 문서}} | |||
[[분류: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 |||
---- |
2024년 11월 18일 (월) 05:34 기준 최신판
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소련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실제 국가를 다루는 문서입니다.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 |||||||||||||||||||||||
---|---|---|---|---|---|---|---|---|---|---|---|---|---|---|---|---|---|---|---|---|---|---|---|
![]() |
![]() | ||||||||||||||||||||||
국기 | 국장 | ||||||||||||||||||||||
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
상징 | |||||||||||||||||||||||
국가 | 인터내셔널가 (1922년 ~ 1944년) 소련 국가 (1944년 ~ 1991년) | ||||||||||||||||||||||
국화 | 해바라기 | ||||||||||||||||||||||
역사 | |||||||||||||||||||||||
| |||||||||||||||||||||||
지리 | |||||||||||||||||||||||
| |||||||||||||||||||||||
인문환경 | |||||||||||||||||||||||
| |||||||||||||||||||||||
정치 | |||||||||||||||||||||||
| |||||||||||||||||||||||
경제 | |||||||||||||||||||||||
| |||||||||||||||||||||||
외교 | |||||||||||||||||||||||
| |||||||||||||||||||||||
ccTLD | |||||||||||||||||||||||
.su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가 사용 중이다. | |||||||||||||||||||||||
국가코드 | |||||||||||||||||||||||
SU Soviet Union의 앞글자를 딴 것이다. 지금까지도 이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 있는데, 바로 러시아 국영 항공사 아에로플로트의 IATA 코드가 그것. 소련 해체 직후의 러시아 연방도 이 코드를 잠시 사용한 적이 있다., SUN, 810 | |||||||||||||||||||||||
국제전화코드 | |||||||||||||||||||||||
+7 이후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이 이 국제 전화 코드를 사용하게 된다. |
개요
상징
국호

국기

국장

국가
역사

지리
인문환경
인구

언어

종교

교통

행정구역
구성국
자치구역
주요 도시
정치

행정부


정당

외교

경제

과학
과학 행정
정권별 특성
사회
복지
주거

주거난
노동
의료
치안
문화

관광
교육

스포츠
공휴일

군사

대중매체에서
영화
게임 & 애니메이션
드라마
기타
둘러보기
[ 이념 전반 ]
| ||||||||||||||
[ 공산주의 역사 ]
|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