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연방 공화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태그: folding 사용
1번째 줄: 1번째 줄:
||<table align=right><table width=260><bgcolor=#000000><-4><:>{{{#white {{{+1 '''도이칠란트 연방 공화국'''}}}[br]{{{+1 '''Bundesrepublik Deutschland'''}}}[br]{{{+1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
||<-3><:><tablealign=right><tablewidth=450><#000000> {{{#FFFFFF {{{+1 '''독일연방공화국'''}}}[br]'''Bundesrepublik Deutschland'''}}} ||
||<:><-4>[[파일:도이치의 깃발.png|width=200]]||
+
||<width=50%><:><-2>[[파일:도이치의 깃발.png|width=150]]||<:><width=50%>[[파일:독일 국장.png|width=80]] ||
||<-4><:><#CF142B>'''{{{#white 국기}}}''' ||
+
||<-2><#000000> {{{#FFFFFF '''국기'''}}} ||<#000000> {{{#FFFFFF '''국장'''}}} ||
||<:><-4>[[파일:독일 국장.png|width=200]] ||
+
||<-3><:><#ffffff> {{{#dd0000 '''Einigkeit und Recht und Freiheit'''}}}[br]{{{#dd0000 '''통일과 정의와 자유'''}}} ||
||<-4><:><#CF142B>'''{{{#white 국장}}}''' ||
+
||<-3><#000000> {{{#FFFFFF '''상징'''}}} ||
||||<width=35%><bgcolor=#CF142B><:>{{{#white '''국호'''}}}||<-2><width=65%> 도이칠란트 연방 공화국 [br] Bundesrepublik Deutschland ||
+
||<width=33%><#000000> {{{#FFFFFF '''국가'''}}} ||<width=67%><-2>[[Deutschlandlied]][* 현재는 3절만 취급한다. 1절과 2절을 부르지 않는 이유는 문서를 참조.][* 무려 [[하이든]]이 작곡했다]||
||<bgcolor=#CF142B><|4><:>{{{#white '''상징'''}}}||<width=25%><bgcolor=#CF142B><:>{{{#white '''국가'''}}}||<-2> 국가(노래) ||
+
||<#dd0000> {{{#FFFFFF '''국화'''}}} ||<-2>[[참나무]][* [[프로이센 왕국]]의 국화는 수레국화였다.]||
||<bgcolor=#CF142B><|1><:>{{{#white '''자연환경'''}}}||<bgcolor=#CF142B><:>{{{#white '''면적'''}}}||<-2> 357,386km² ||
+
||<#ffce00> {{{#000 '''국조'''}}} ||<-2>[[검독수리]]||
||<bgcolor=#CF142B><|3><:>{{{#white '''인문환경'''}}}||<bgcolor=#CF142B><:>{{{#white '''인구'''}}}||<-2> 82,794,000명 ||
+
||<-3><#000000> [[독일/역사|{{{#FFFFFF '''역사'''}}}]] ||
||<bgcolor=#CF142B><:>{{{#white '''인구밀도'''}}}||<-2> 230명 / km² ||
+
||<-6> [[1949년]] '''독일연방공화국([[서독]]) 수립''' [br] [[1990년]] '''[[동서독 통일]]''' ||
||<bgcolor=#CF142B><:>{{{#white '''공용 언어'''}}}||<-2> 독일어 ||
+
||<-3><#000000> {{{#FFFFFF '''수도'''}}} ||
||<bgcolor=#FFD400><|4><:>{{{#white '''정치'''}}}||<bgcolor=#FFD400><:>{{{#white '''국체'''}}}||<-2> 예) 연방제, 공화제 ||
+
||<-3> [[베를린|베를린]] ||
||<bgcolor=#FFD400><:>{{{#white '''정부형태'''}}}||<-2> 예) 내각책임제, 의원내각제 등 ||
+
||<-3><bgcolor=#000000> {{{#FFFFFF '''지리'''}}} ||
||<bgcolor=#FFD400><:>{{{#white '''연방총리'''}}}||<-2> [[Angela Merkel]] ||
+
||<-3> {{{#!wiki style="margin:0 -11px"
||<bgcolor=#FFD400><:>{{{#white '''연방대통령'''}}}||<-2> 공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bgcolor=#FFD400><|5><:>{{{#white '''경제'''}}}||<bgcolor=#FFD400><:>{{{#white '''GDP'''}}}||<-2> $3,681,766,000,000 ||
+
{{{#!wiki style="margin:-5px 0 -16px"
||<bgcolor=#FFD400><|5><:>{{{#white '''GNI'''}}}||<-2> $44,469 ||
+
||<tablewidth=100%><width=80><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0000> {{{#FFFFFF '''면적'''}}} ||357,168㎢[* 한반도의 1.6배이다.] ||
 +
||<bgcolor=#000000> {{{#FFFFFF '''수도'''}}} ||[[베를린]](Berlin) ||
 +
||<bgcolor=#000000> {{{#FFFFFF '''최대 도시'''}}} ||[[베를린]](Berlin) ||
 +
||<bgcolor=#000000> {{{#FFFFFF '''접경국'''}}} ||[[파일:덴마크 국기.png|width=28]] [[덴마크]], [[파일:네덜란드 국기.png|width=28]]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국기.png|width=28]] [[벨기에]], [[파일:룩셈부르크 국기.png|width=28]] [[룩셈부르크]], [[파일:프랑스 국기.png|width=28]] [[프랑스]], [[파일:스위스 국기.png|width=28]]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png|width=28]] [[오스트리아]], [[파일:체코 국기.png|width=28]] [[체코]], [[파일:폴란드 국기.png|width=28]] [[폴란드]] ||}}}}}}}}} ||
 +
||<-3><#000000> {{{#FFFFFF '''인문 환경'''}}} ||
 +
||<table width=100%><width=33%><#000000> {{{#FFFFFF '''전체 인구'''}}} ||<width=67%>83,783,945명^^(2020년)^^ ||
 +
||<#000000> {{{#FFFFFF '''인구 밀도'''}}} ||234.578명/㎢^^(2020년)^^ ||
 +
||<#000000> {{{#FFFFFF '''출생 인구'''}}} ||700,000명^^(2020년)^^ ||
 +
||<#000000> {{{#FFFFFF '''기대 수명'''}}} ||81세^^(2020년)^^ ||
 +
||<#000000> {{{#FFFFFF '''출산율'''}}} ||1.58명^^(2020년)^^ ||
 +
||<#000000> {{{#FFFFFF '''민족'''}}} ||백인 90%(독일 79.9%, 기타 10.x%)[* 최근 들어서는 백인 계통 민족 인구수가 점점 줄고 있다.], 아시아 8%(터키 4%, 아랍 1%, 기타 아시아인 3%)[* 특히 무슬림들이 상당히 많다. 이는 독일 무슬림 이민 정책이 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 1%, 기타 1% ||
 +
||<#000000> {{{#FFFFFF '''공용어'''}}} ||[[독일어]] ||
 +
||<#000000> {{{#FFFFFF '''종교'''}}} ||기독교 62%([[가톨릭]] 31.5%, [[개신교]] 30.8%), [[무종교]] 30%, [[이슬람]] 4%, 기타 4% ||
 +
||<#000000> {{{#FFFFFF '''군대'''}}} ||[[독일 연방군]] ||}}}}}} ||
 +
||<-3><#dd0000> {{{#FFFFFF '''하위 행정 구역'''}}} ||
 +
||<table width=100%><width=33%><#dd0000> {{{#FFFFFF '''주'''}}} ||<width=67%>16개 ||}}}}}} ||
 +
||<-3><#dd0000> {{{#FFFFFF '''정치'''}}} ||
 +
||<table width=100%><width=33%><#dd0000> {{{#FFFFFF '''정치 체제'''}}} ||<width=67%>[[공화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연방제]] ||
 +
||<#dd0000> {{{#FFFFFF '''민주주의 지수'''}}} ||167개국 중 13위^^(2019년)^^[*완전한민주주의 8.68점] ||
 +
||<#dd0000> [[독일 대통령|{{{#FFFFFF '''대통령'''}}}]]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br](Frank-Walter Steinmeier) ||
 +
||<#dd0000> [[독일 총리|{{{#FFFFFF '''총리'''}}}]] ||[[앙겔라 메르켈]][br](Angela Merkel) ||
 +
||<#dd0000> {{{#FFFFFF '''상원 의장'''}}} ||다니엘 귄터[br](Daniel Günther)[* 독일 각 주의 주 총리와 도시주의 시장들이 1년씩 돌아가며 맡는다. 현재는 2018년 11월 1일부터 임기를 시작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주 총리가 하고 있다.] ||
 +
||<#dd0000> {{{#FFFFFF '''하원 의장'''}}} ||볼프강 쇼이블레[br](Wolfgang Schäuble)[* [[기독교민주연합]] 소속으로 [[헬무트 콜]] 내각에서 내무 장관으로 근무했고, [[동서독 통일]] 조약에 직접 서명하기도 한다. [[헬무트 콜]]이 5번째 총리 당선에 실패하고 [[게르하르트 슈뢰더]]에게 내준 이후 헬무트 콜의 뒤를 이어 [[기독교민주연합]]의 대표가 되었지만 정치 자금 사건으로 중도 사퇴하고 후임 당 대표는 [[앙겔라 메르켈]]이 되었다. [[앙겔라 메르켈]] 내각에서도 내무 장관으로 4년, 재무 장관으로 8년 가까이 근무했다.] ||
 +
||<#dd0000> {{{#FFFFFF '''헌법 재판소장'''}}} ||안드레스 포스쿨레[br](Andreas Voßkuhle) ||
 +
||<#dd0000> {{{#FFFFFF '''대법원장'''}}} ||베티나 림페르크[br](Bettina Limperg) ||}}}}}} ||
 +
||<-3><#dd0000> {{{#FFFFFF '''경제'''}}} ||
 +
||<table width=100%><width=33%><#dd0000> {{{#FFFFFF '''경제 체제'''}}} ||<width=67%>[[시장경제]] ||
 +
||<#dd0000> {{{#FFFFFF '''GDP'''}}} ||3조 8,633억 4,400만 달러^^(2019년)^^ ||
 +
||<#dd0000> {{{#FFFFFF '''1인당 GDP'''}}} ||46,563 달러^^(2019년)^^ ||
 +
||<#dd0000> {{{#FFFFFF '''GDP(PPP)'''}}} ||4조 4,443억 6,800만 달러^^(2019년)^^ ||
 +
||<#dd0000> {{{#FFFFFF '''1인당 GDP(PPP)'''}}} ||53,566 달러^^(2019년)^^ ||
 +
||<#dd0000> [[수출#s-3|{{{#FFFFFF '''수출량'''}}}]] ||1조 4,479억 6,700만 달러^^(2017년)^^ ||
 +
||<#dd0000> [[수입#s-3|{{{#FFFFFF '''수입량'''}}}]] ||1조 1,666억 8,800만 달러^^(2017년)^^ ||
 +
||<#dd0000> {{{#FFFFFF '''세출량'''}}} ||1조 5,730억 달러^^(2017년)^^ ||
 +
||<#dd0000> {{{#FFFFFF '''세입량'''}}} ||1조 5,980억 달러^^(2017년)^^ ||
 +
||<#dd0000> {{{#FFFFFF '''외환보유고'''}}} ||2,003억 9,400만 달러^^(2016년)^^ ||
 +
||<#dd0000> {{{#FFFFFF '''국가 신용 등급'''}}} ||[[Moody's]] AAA, [[S&P]] AAA, [[Fitch]] AAA ||
 +
||<#dd0000> {{{#FFFFFF '''공식 화폐'''}}} ||[[유로]](€) ||}}}}}} ||
 +
||<-3><#ffce00> {{{#000000 '''단위'''}}}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
||<table width=100%><width=33%><#ffce00> [[기년법|{{{#000000 '''기년법'''}}}]] ||<width=67%>[[서력기원]] ||
 +
||<#ffce00> [[시간대|{{{#000000 '''시간대'''}}}]] ||UTC+01:00([[서머타임]] 적용) ||
 +
||<#ffce00> [[도량형|{{{#000000 '''도량형'''}}}]] ||[[SI 단위]] ||}}}}}} ||
 +
||<-3><#ffce00> {{{#000000 '''외교'''}}} ||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
||<table width=100%><width=33%><#ffce00> {{{#000000 '''대한수교현황'''}}} ||<width=67%>[[조선|조선국]] 최초수교: 1886년
 +
[[대한민국]]: 1955년[* 대한민국과 독일은 수교 연도를 조선과 독일의 수교 연도인 1886년으로 간주한다. 이후 대한민국은 [[서독]]과 수교하고 [[동독]]과 수교한 적은 없다. 북한은 서독과 수교한 적은 없고 동독과 1949년에 수교한다.] ||
 +
||<#ffce00> {{{#000000 '''무비자 입국'''}}} ||양국 모두 90일 ||
 +
||<#ffce00> {{{#000000 '''국제 연합 가입'''}}} ||1973년[* [[서독]]과 [[동독]]이 동시에 가입한다.] ||}}}}}} ||
 +
||<-3><#ffce00> {{{#000000 '''주한 대사관/총영사관'''}}} ||
 +
||<-3> 서울특별시 중구 한강대로 447 ||
 +
||<-3><#ffce00> {{{#000000 '''국가 코드'''}}} ||
 +
||<-3> 276, DEU, DE ||
 +
||<-3><#ffce00>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000000 '''ccTLD'''}}}]] ||
 +
||<-3> '''.de''' ||
 +
||<-3><#ffce00> {{{#000000 '''국제 전화 코드'''}}} ||
 +
||<-3> +49 ||
 +
||<-3><#ffce00> {{{#000000 '''여행경보'''}}} ||
 +
||<#eeae00> {{{#fff '''여행자제'''}}} ||<-2>전 지역[*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경보, 유럽 지역 여행자제 발령] ||
  
 
==국호==
 
==국호==

2020년 5월 5일 (화) 17:00 판

독일연방공화국
Bundesrepublik Deutschland
도이치의 깃발.png독일 국장.png
국기국장
Einigkeit und Recht und Freiheit
통일과 정의와 자유
상징
국가Deutschlandlied[1][2]
국화참나무[3]
국조검독수리
역사
1949년 독일연방공화국(서독) 수립
1990년 동서독 통일
수도
베를린
지리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6px"
면적357,168㎢[4]
수도베를린(Berlin)
최대 도시베를린(Berlin)
접경국덴마크 국기.png 덴마크, 네덜란드 국기.png 네덜란드, 벨기에 국기.png 벨기에, 룩셈부르크 국기.png 룩셈부르크,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 스위스 국기.png 스위스, 오스트리아 국기.png 오스트리아, 체코 국기.png 체코, 폴란드 국기.png 폴란드}}}}}}}}}
인문 환경
전체 인구83,783,945명(2020년)
인구 밀도234.578명/㎢(2020년)
출생 인구700,000명(2020년)
기대 수명81세(2020년)
출산율1.58명(2020년)
민족백인 90%(독일 79.9%, 기타 10.x%)[5], 아시아 8%(터키 4%, 아랍 1%, 기타 아시아인 3%)[6], 아프리카 1%, 기타 1%
공용어독일어
종교기독교 62%(가톨릭 31.5%, 개신교 30.8%), 무종교 30%, 이슬람 4%, 기타 4%
군대독일 연방군}}}}}}
하위 행정 구역
16개}}}}}}
정치
정치 체제공화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연방제
민주주의 지수167개국 중 13위(2019년)[7]
대통령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Frank-Walter Steinmeier)
총리앙겔라 메르켈
(Angela Merkel)
상원 의장다니엘 귄터
(Daniel Günther)[8]
하원 의장볼프강 쇼이블레
(Wolfgang Schäuble)[9]
헌법 재판소장안드레스 포스쿨레
(Andreas Voßkuhle)
대법원장베티나 림페르크
(Bettina Limperg)
}}}}}}
경제
경제 체제시장경제
GDP3조 8,633억 4,400만 달러(2019년)
1인당 GDP46,563 달러(2019년)
GDP(PPP)4조 4,443억 6,800만 달러(2019년)
1인당 GDP(PPP)53,566 달러(2019년)
수출량1조 4,479억 6,700만 달러(2017년)
수입량1조 1,666억 8,800만 달러(2017년)
세출량1조 5,730억 달러(2017년)
세입량1조 5,980억 달러(2017년)
외환보유고2,003억 9,400만 달러(2016년)
국가 신용 등급Moody's AAA, S&P AAA, Fitch AAA
공식 화폐유로(€)}}}}}}
단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기년법서력기원
시간대UTC+01:00(서머타임 적용)
도량형SI 단위}}}
외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대한수교현황조선국 최초수교: 1886년
대한민국: 1955년[10]
무비자 입국양국 모두 90일
국제 연합 가입1973년[11]}}}}}}
주한 대사관/총영사관
서울특별시 중구 한강대로 447
국가 코드
276, DEU, DE
ccTLD
.de
국제 전화 코드
+49
여행경보
여행자제전 지역[12]

국호

국호의 역사

역사

선사 시대

하이델베르크인.jpg

  • 호모 헤이델베르겐시스의 두개골

1907년 호모 헤이델베르겐시스가 발견되었는데 이로서 독일 지역에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존재했었다는 설이 입증되었다. 중석기 시대에 그들은 사냥을 하기 시작했다. 또한 그들은 조개를 채집하기도 했으며, Sippe 씨족집단을 구성하기 시작했다. 신석기 혁명의 여파는 독일 지역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었으며, 라이프찌히에서 신석기 유물이 발견됨으로써 입증되었다. 이때부터 씨족 중심의 원시 사회는 서서히 붕괴하기 시작했고, 귀족 집단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기원전 700년경 소아시아로부터 철이 들어왔고, 이때부터 본격적인 계급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농업과 목축업이 분업되었다. 소아시아로부터 들어온 철기문명은 우선 무기를 획기적으로 발전시켰고, 농업생산력을 발전시켰는데, 이때부터 전쟁으로 생긴 노예가 그 노동을 담당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들 노예가 로마 제국처럼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고대 시대

게르만족 사회

게르만족 벽화.jpg

  • 게르만 부족들의 민회를 새긴 부조

벽화.jpg

  •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를 그린 벽화

기원전 4세기에서 3세기경에 게르만족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혈통적이라기보다는 경제·사회·문화적 발전에 따른 복속과 통합 과정으로 인해 생겼다.
게르만족은 처음 부족연맹체로써 등장했다. 바이에른족알레마니족프랑켄족튀링겐족프리젠족작센족 등 같은 부족에 속한 사람들은 관습·종교·문화·법적 전통을 갖는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었고, 혈족명으로 다른 부족과 구별하였다.
그러나 초기 게르만 부족들에 대한 정확한 생성과 소멸은 알 수 없다.
한 부족과 다른 부족을 구분짓는 종족적 특징들이 반드시 지속되거나 제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부족간 합병이나 분할도 빈번했다.
이때 게르만 전사들은 귀족으로 발전했다. 초기 게르만족에 대해서 그나마 알려주는 사료는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의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기》에 일부 나와 있다.
게르만족은 숲 속에서 살았는데 토지는 공유제였다.
경작시 공동체 구성원에게 평등하게 분할되었다.
토지분할이 매해 일어나, 소유권은 영속적이지 않았다.
농업상의 필요에 의해 토지의 사유화가 일어나지는 않았다.
지리적 조건 탓에 그들은 사냥과 목축업에 더 주력했던 것 같다. 공동체에서 중요한 일은 민회에서 결정하였다. 독일 역사가들 중에는 이를 귀족사회라고 주장하는 파가 있다.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에 따르면, 북동부의 게르만족은 민회 대신에 "제사장-왕"의 지위가 있었다.
민회는 서부 게르만족의 것이었다.
그들은 평시에는 공동의 행정기관이 없었으며, 전시에 지도자가 선출되기는 했으나, 제도화된 힘은 아니었다. 아무튼, 고대 게르만 사회에서 중요한 계층은 농민 전사층이었다. 귀족 계급도 "요청에 따른 복종"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게르만족의 본격적인 귀족 계급 형성은 로마 제국 멸망 이후이다.
기원전 1세기경부터 라인강을 중심으로 로마인이 출현하기 시작했다. 로마게르만족을 정복하려고 했으나,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대패한 뒤로는 라인 강을 넘어가지 않았다. 그러나 로마라인강 진출은 게르만족에게 앞선 로마 문명을 전달해주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라인 강 주변의 트리어마인쯔쾰른 등지에는 로마군이 주둔했으며, 군용 도로가 건설되었다.
게르만족은 조금씩 로마군에 입대하는 경우도 있었다. 로마 제국 말기에 이르면, 게르만족 전사들은 점차 대규모로 로마군에 입대하게 된다. 심지어 부족 전체가 로마군으로 입대하는 사례가 발견되기까지 한다. 로마가 이 지역에서 철수하자 그들은 로마군의 장비와 생산도구들을 불하받아, 급속히 귀족 계급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아직은 씨족적인 귀족이었다.

중세 사회

신성 로마 제국의 성립

919년에 작센의 하인리히 공작이 독일국 왕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넓은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많은 가신을 보유하고 있었다. 헝가리와 상대로 전쟁을 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며, 928∼929년에 슬라브(폴란드)를 공격했다. 그는 마자르(헝가리)에 대한 곡물 납부를 거부하기도 했다. 그가 하인리히 1세이며, 그의 아들이 오토 1세이다.
오토 1세는 재차 침입해온 마자르군을 완전히 물리치고 독일 국가 권력의 강화를 추구했다. 이 과정에서 교회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국가 교회 제도를 도입하게 된다. 주교와 수도원에 토지를 기증하고 성직자들에게 세속적인 관직을, 즉 봉건 영주의 작위를 수여하면서 주교령에 대한 왕의 보호를 약속한다.
왕과 성직자의 이러한 결속은 봉건영주들과 정치적 균형을 가져와 왕권이 강화되었다.
오토는 곧 북이탈리아를 점령했으며, 교황으로부터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칭호를 받게 된다.
황제는 로마 교회를 보호하며, 그 대신 교황은 황제가 보유한 이탈리아 내의 영토를 인정한다는 약속을 하게 된 것이다.
이후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들은 독일 국내의 문제보다는 이탈리아 문제에 더 신경을 많이 쓰게 됨으로써 스스로 왕권약화를 초래하였다.
한편, 슬라브족의 땅을 점령하면 Markgraf라는 공작들을 점령지역(Mark라 호칭함)에 파견하여 다스리게 하였다. 오스트리아도 Ostmark라는 변경의 한 주였다. 이들 슬라브지역은 점령되면 다시 반란을 일으켜 독립하고, 다시 독일이 이들을 점령하는 악순환을 되풀이하고 있었다. 브란덴부르크 Mark는 훗날 프로이센이 되었으며, 뮌헨주변은 훗날 오스트리아로 발전한다.

카노사의 굴욕

교황은 스스로 신의 대리자라 자칭하고 있었고, 주교 임명권을 주장하고 있었다.
황제는 스스로 세속권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으며, 황제는 독일국가내의 주교들에 대한 서임권을 행사하고 있었다.
황제의 서임권은 강력한 황제권의 밑받침이었던 것이다. 그걸 내놓을 생각은 전혀 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교황은 달랐다.
11세기 무렵의 교황들은 그 이전부터 진행되어 오던 클리뉘 수도원을 중심으로한 개혁운동을 이끌던 이상주의자들이었다.
매우 이상적인 개혁주의자들이었다. 성직자들의 임명권(서임권)을 왜 세속군주가 갖고 있는지에 대해 그 이유를 납득하지 못했다. 교황은 당연히 서임권을 자신이 행사하겠다고 나섰고, 세속 군주로서는 그것을 교황에게 돌려줄 수 없었다. 그래서 발생한 것이 이른바 서임권 분쟁(the Investiture Contest)이다.
고조되어 가던 교속의 갈등은 결국 신성 로마 제국의 하인리히 4세와 교황 그레고리오 7세 때에 폭발한다.
이것이 1077년에 발생한 저 유명한 "카노사의 굴욕" 사건이다.
반(反)황제적인 독일국내의 귀족들이 교황과 결탁하였고, 교황은 서임권의 반환을 요구하였다.
황제는 도시민들의 지원을 받았으나, 안 팎에서 공격을 받게 된 하인리히 4세는 결국 카노사 성에서 교황에게 굴복하였다. 그러나 몇 년 후 하인리히 4세는 그레고리오 7세를 병사시켰다. 이 사건은 황제와 귀족의 대립이며, 신정 정치 체제와 세속 군주정간의 권력쟁탈전이었다. 결국 두 가지가 복잡하게 얽히고, 설킨 것이 바로 '서임권 분쟁(the Investiture Contest)'이었던 것이다.

십자군 전쟁

1095년 교황 우르바누스 2세의 선동으로 십자군 전쟁이 일어나게 된다. 서임권 분쟁 이후의 혼란한 상황을 정리하고, 다시 중앙 집권적 권력을 일시적으로나마 강화한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도 십자군 전쟁에 참여하였다.
독일의 기사들은 십자군 원정으로 동방의 문물을 접함으로써 궁정 문학 등 새로운 문화의 주체로 나서게 되었다.
이는 후일 독일적인 민족 의식을 낳는데 기여했다.

경제적 발전

독일에서도 시장이 나타났으며, 수공업이 조금씩 발전하기 시작했다.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 교역장소는 고작 60∼70여개 였으나, 11세기초에는 라인강과 엘베강근처에 200∼300여개로 늘어나게 되었다. 도시들이 생겼다.
왕과 귀족사이에는 항구적인 갈등이 존재하고 있었으므로, 도시가 제3의 세력으로서 중요해졌다. 이들은 도시 공동체 코뮨(commune)을 형성하였다. 시장은 단순한 물물교환의 장이었으며, 원거리무역시 쉬어가는 곳에 불과했다. 이러한 지역은 강하류에 발달했고, 영주들에 장악되어 있었다. 도시들이 생겼다. 도시는 봉건적 종속이 약해지고 있었으며, 시민적 도시공동체(commune)을 형성하게 되었다.
11세기에 봉건적 성은 방어시설로서 지배계급의 정치적 안정을 위해 건설된 것이었다. 성과 성(burg)사이에 전쟁이 자주 일어나게 되었다. 처음에는 단순한 도피처였으나, 점차 방어와 거주가 그 주 목적으로 되었다. 성의 재료도 흙과 나무에서 점차 돌로 바뀌어 갔다.
7인의 선제후에 의해 황제가 선출되기에 이르렀다. 이들은 3인의 성직자와 4명의 세속제후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에 의해 황제가 선출되므로, 황제는 점점 자신의 권력을 잃어가고 있었다.
14세기에 룩셈부르크 왕가는 과도한 대외 전쟁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황제권은 더욱 약화되었다.
15세기에는 연방국가가 형성되었다. 급료를 받는 직업관리와 법률가가 등장하여 각 개별 영방국가는 권한이 강화되었다. 그러나 제국 자체는 그러지 못했다.
1413년에 브란텐부르크의 호엔졸레른 왕가가 기사반란을 진압하면서 지역을 통합하기 시작했다. 1442년에는 베를린과 쾰른을 장악하였다.
1437년에는 룩셈부르크 왕가가 합스부르크 왕가로 넘어갔다(알브레히트 2세). 합스부르크 왕가는 1806년까지 이 종이호랑이를 차지하고 있었다.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한자동맹은 귀족에 저항하면서 도시를 통합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13세기말 한자동맹은 상인한자에서 출발했다가, 도시동맹으로 발전했다. 한자동맹의 핵심은 뤼벡지역으로 노르웨이를 상대로 무역전쟁을 일으킬 정도로 강한 나라였다. 봉건성으로부터 독립을 추구하며, 다른 한편으로 플랑드르에서 이미 발달한 면공업과 일정한 연관을 맺으며 발달하였다. 자본주의적 관계발전에 진보적 역할을 했다.
이 당시 영국에는 아직 상인계급이 없었다.
한자동맹의 발전은 강력한 경쟁자가 없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한자동맹의 진보적 성격은 14세기까지만 이어졌다.

절대주의 시대

17세기부터 유럽 대륙 전반에 걸쳐 절대 왕정·상비군 제도·관료제·중상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절대주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독일의 절대주의는 봉건 국가의 최고이자 최후의 형태로서 발달하였다.
사회·경제적 측면에서는 소규모 상품 생산 체제가 해체되기 시작하면서 제조업 자본주의가 발달하여 분산된 제조업이 등장하였다.
18세기초 합스부르크 왕가와 부르봉 왕가의 갈등이 본격화하면서 에스파냐 왕위계승전쟁 등 숱한 전쟁을 치르게 되는데 이 전쟁의 결과는 합스부르크의 영향력 확장이었다. 이때에 오스트리아는 중앙관료체제가 성립되었고, 경제적 성장을 이루었다. 오스트리아의 예술과 문화도 발달하기 시작했다.
17세기에 프리드리히 빌헬름 선제후를 중심으로 호엔졸레른 왕가가 브란덴부르크-마크를 중심으로 서서히 발달한다. 이 나라가 바로 훗날 군국주의의 대명사로 19세기 독일사를 주도해나간 프로이센 왕국이다.

16세기 초 독일의 전환기

15·16세기부터 프랑스 혁명 때까지는 이른바 매뉴팩처(manufacture) 자본주의가 형성되던 시기이다. 이때의 주요한 산업형태는 "선대제(putting-out-system;Verlag)" 체제이다. 선대제는 원거리무역으로 갑부가 된 상인이 직접 생산에 관여하는 체제로 상인이 수공업자에게 원료와 자금을 제공하며, 생산도구는 노동자가 소유한 채, 노동자가 상인에게 약속한 물품을 넘기는 방식이다.
16세기 초 무렵, 생산력이 발달하기 시작하는데, 주석, 구리 광산이 개발되기 시작했으며, 제련소·제철소·섬유 생산이 늘어났다.
생산수단과 부를 축적한 부르주아 계층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 이때부터이다.
농업에서도 자연 경제 중심 체제가 뚜렷하게 화폐경제로 이행되기 시작했고(화폐지대의 출현), 부유한 농민층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토지에 목을 매달고 살던 기사와 하급귀족들이 몰락·해체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기사와 하급 귀족 중 일부는 근대적 관료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이때의 독일에서 성직자 수는 계속 증가했는데, 이는 독일이 로마의 영향권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반증이며, 종교개혁이 독일에서 시작된 배경을 이루게 된다.
16세기에는 합스부르크왕가의 권력이 확장된 시기였다.
그들의 권력확장은 주로 전쟁에 기인한 것이라기보다, 결혼과 외교에 의존한 확장이었다. 보헤미아·헝가리·독일·스페인 등이 합스부르크로 편입되었다.
초기 부르주아 혁명의 단초는 이때 나타나기 시작한다.
독일을 비롯한 북부유럽은 국민문학이 발달하였는데, 에라스무스의 우신예찬으로 대표되는 북방 르네상스이다.

정치적 변동

1250년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프리드리히 2세가 죽으면서 호엔슈타우펜 가문은 종말을 고했고, 룩셈부르크 왕가에 이어 오스트리아의 제후였던 합스부르크 가문이 대신 황제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황제는 이탈리아 문제와 국내 문제에 매달려 제대로 왕 역할을 하지 못했고, 수 십년동안 황제가 없는 대공위 시대가 연출되기도 했다.
황제가 힘을 발휘하지 못한 것은 연방제후들의 준동이 큰 역할을 담당했고, 그럴수록 황제권은 약화되는 악순환을 거듭하였다. 정치생활의 중심이 제후들의 연방국가로 이동한 것이다. 농민 반란 실패 후 융커들의 권한이 강화되면서 중앙 권력은 더욱 약해졌다.
대공위 시대 이래 독일에서는 연방국가를 중심으로 한 권력체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신성 로마 제국의 중앙권력이 2원화된 형태로 6세기 가까이 유지되었다.
농민 반란은 부르주아나 농민에게 더 고통을 안겨다 주었다.
또한 로마 가톨릭교회가 독일내에서 세력을 잃었다.

종교 개혁

종교 개혁은 16·17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기독교 내의 개혁 운동이다.
로마와 아비뇽의 대립은 14세기경부터 교회의 추락을 볼러왔다.
그리하여 피사·콘스탄츠·바젤 등지에서 공의회(公議會)가 열렸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했다.
이러한 교회의 부패에 불만을 가진 마르틴 루터와 그의 지지자들이 본격적인 종교 개혁을 주장하였다.
위클리프와 후스의 개혁도 종교 개혁에 포함된다.
르네상스가 예술과 문화 측면에 국한 되었으나, 종교 개혁은 대중에게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종교 개혁은 근대 시민 국가의 형성 과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원인

교황 레오 10세는 성 베드로 대성전 건축을 위해 푸거가에 엄청난 돈을 빌렸다. 스페인의 카를 5세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입후보를 위해 역시 푸거가로부터 돈을 빌렸으나, 돈은 곧 떨어졌고 모자랐다. 그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각해낸 것이 면벌부 판매였다. 특히 면벌부는 독일에 집중적으로 팔렸는데, 성직자가 많았다는 것 외에도 이를 제어할 중앙권력이 없었다는 점도 주요한 요인이었다.
중앙 집권이 확립되어 가던 영국이나 프랑스에는 팔지 못했다.

1517년, 마르틴 루터가 비텐베르크 교회에 '95개조 반박문'을 붙이면서 독일의 종교개혁은 시작되었다.
루터는 인간은 내면적인 신앙을 통해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중세초기의 순수 기독교 사상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했다.
1518년에 루터는 소환되었고, 1519년에는 에크라는 신학자와 토론하게 된다.
그때까지만 해도 루터는 로마와 결별할 생각을 하고 있지 않았지만, 이 토론에서 패배함으로써 자신이 꿈꾸는 '순수한 기독교' 사회건설을 위해서는 로마와 결별해야 한다고 결심하게 된다.
레오 10세는 1521년에 루터를 파문하게 된다.
그러나, 작센공 프리드리히가 마틴 루터를 숨겨준다.
루터는 이때 성서를 독일어로 번역한다.
이 번역은 역사상 최초의 모국어성서로서 독일어의 문법 확립에도 큰 기여를 했다.
대중이 성서와 문자를 인식하게 되면서, 독일의 민족주의 형성에 이바지하게 된다.
근대적 자본주의 이행에 나타나는 사상의 단초는 이때부터 형성된다.
루터의 사상은 신앙에 의한 의인화(sola fide), 신앙에 의한 구원으로 집약되며, "성서는 모든 대중이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일반대중이 성직자라는 중개자를 통해서 신과 만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만날 수 있다고 믿음으로써 근대적 개인주의 사상이 자라기 시작했다.
이 무렵부터 독일에는 3가지 집단이 등장하는데, 크게 지배층을 중심으로 하는 보수 가톨릭 세력과 프로테스탄트가 그것이다.
1522년에는 루터에 자극받은 이들 기사단이 슈말칼덴 동맹전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또한 토마스 뮌처 사상에 영향을 받은 혁명적 집단도 존재하였다. 이들은 1524년에 농민 전쟁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결과

루터의 개혁은 북중부독일과 스칸디나비아 반도 지역에만 국한되게 되었다.
농민 전쟁 발 발시점을 계기로 농민과 루터와의 관계는 벌어졌으며, 루터는 정치화한다.
영방교회제 확립을 위해 루터를 지배층들이 끌어들였고, 루터는 이들 세력과 결합하였다.
1529년 이미 에라스무스(Erasmus)와 결별했던 루터는 츠빙글리파와도 결별한다.
루터는 슈말칼덴 전쟁 직전인 1546년에 죽었다.
그러나 엘베강 동부 지역은 종교 개혁에도 불구하고 봉건적 계급 사회가 계속 유지되었다.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 이후에도 독일의 종교적 분열은 계속되었고, 반동권력에 의해 상황은 어려워지기만 하였다.

30년 전쟁

30년 전쟁.png

  •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후의 유럽 모습.
  • 붉은 라인이 신성 로마 제국의 영역이었고, 그 안에 보이는 작은 독일 국가들이 있다.

30년 전쟁은 독일 땅으로 외세의 복잡한 갈등을 끌어들인 결과였다. 영방군주들이 외세와 결탁하여 세력다툼을 일삼게 된 것이다.
스페인과 오스트리아를 포함한 대제국을 이룩한 합스부르크 왕조 및 가톨릭 연합세력, 그리고 초기 부르주아와 다른 귀족들간의 연합세력이 대립을 펼쳤다.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는 독일내 주도권 쟁탈전을 벌이게 되었지만, 프로이센은 일개 제후국에 불과한 처지였고, "왕국"의 호칭도 갖지 못한 상태였다.
전쟁의 시작은 보헤미아인들이 합스부르크에 저항하면서 시작되었다.
30년 전쟁은 보헤미아와 Platz간의 대립에서 덴마크와 네덜란드의 개입을 거쳐 스웨덴의 개입, 마지막으로 프랑스군이 개입이라는 순서로 전개되었다. 이 전쟁으로 독일 전체는 피폐화되었고, 독일 인구의 1/3이 죽었다.
결국 1648년에 베스트팔렌 조약이 맺어졌다.
조약으로 스위스와 네덜란드의 독립이 확정되었으며, 프랑스는 알자스-로렌을 차지하고, 프로이센이 확장되었다. 이때 확장된 영토를 배경으로 프로이센은 18세기초에 왕국이 될 수 있었다. 브레멘과 베르뎅은 스웨덴이 점령했으며, 프랑스와 스웨덴은 독일 제국 의회에 선거권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이 두 강국이 독일의 내정에 간섭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었다.

독일의 경제적 통합

1848년 3월 19일, 베를린에서 혁명봉기.jpg

  • 1848년 3월 19일, 베를린에서 혁명봉기

39개의 군소국가로 분리되어있던 상황에 1818년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관세 동맹이 결성됨으로써 독일 연방 내의 국가들이 서로 무역할 때 부과되었던 번거로운 관세들이 폐지되었기에 독일경제는 이전과 비교도 안될 정도로 급성장하기 시작했다. 이것을 통해 관세동맹은 독일의 민족의식을 일깨우는 역할을 한 셈이다.

통일의 기운은 1848년 프랑스 2월 혁명으로 영향을 받았는데, 2월 혁명이 일어나자 그 영향으로 프랑크푸르트 국민 회의가 열리고, 이곳에서 자유주의적 평화통일방안이 논의되었으나 실패하였다.

독일 통일 전쟁

독일 즉위식.jpg

  • 베르사유 궁전에서의 독일제국 선포식.

자유주의적 통일을 주장했던 프랑크푸르트 국민회의가 실패한 이후 독일의 정치적 통일은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1862년 프로이센의 수상으로 임명된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의회와 자유주의 세력의 반대를 억누르고 철혈정책을 추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1866년 오스트리아 제국을 맞아 쾨니히그레츠 전투에서 크게 이겨 북독일 연방을 성립시켰다.
이어서 나아가서는 1871년 7월 14일에 프랑스와 전쟁이 일어났다. 프랑스는 외교적으로 고립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쟁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였다. 프랑스군은 마르스라투르 전투와 그라블로트 전투에서 참패해 괴멸되었다. 스당 전투에서 나폴레옹 3세는 포로가 되었고, 파리 시민들은 파리 코뮌를 세우고 계속 독일군에 저항하였으나 4개월 만에 항복하고 만다. 프로이센군은 파리에서 시가행진을 하였다.
프랑스를 격파하고 이 전쟁에 승리한 프로이센은 베르사유 조약으로 통해 알자스 지방과 로렌 지방을 되찾고, 베르사유 궁전에서 빌헬름 1세를 황제로 즉위하여 독일 제국의 수립을 선포함으로써, 독일의 통일과 독일제국 수립을 성립시켰다.

독일 제국

독일 제국 성립과 비스마르크 체제

독일 제국 강역.png

  • 독일 제국의 영토

1871년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프로이센은 베르사유 궁전에서 독일 제후들에게 추대되는 형태로 프로이센 국왕 빌헬름 1세가 독일 황제로 즉위하여, 독일 제국이 성립했다.
그 후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프로이센-프랑스 전쟁(보불전쟁)에서 패전한 프랑스의 복수를 염려하여,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서구 열강과 복잡한 동맹 관계를 구축해 프랑스를 고립화시키는 외교 정책을 취했다. 이것을 비스마르크 체제라고 부른다. 이 비스마르크 체제로 프랑스를 견제하는데 있어서 성과가 있었다.
해외 식민지로서는 남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나미비아), 동아프리카(탄자니아·르완다·부룬디), 카메룬토고, 남양 군도, 뉴기니 북동부 및 부근의 크고 작은 섬들(나사 마크 제도), 사모아, 중국의 산둥 반도 등을 획득했다.

빌헬름 2세의 해외 팽창주의 정책

1888년빌헬름 1세가 사망하고 황태자 프리드리히 3세가 즉위했으나 제위 6개월만에 후두암으로 사망한다. 이어서 프리드리히 3세의 아들 빌헬름 2세가 즉위함으로써, 1888년은 '3황제의 해'라고 불린다. 그해에 즉위한 빌헬름 2세는 오토 폰 비스마르크와 대립하여 1890년, 비스마르크는 은퇴한다. 비스마르크가 실각하자마자 친정을 실시한 빌헬름 2세는 [[3B정책][(베를린(Berlin)과 비잔티움(Byzantium), 바그다드(Baghdad))을 추진하여 제국주의적인 팽창정책을 추진했다.
그로 인해, 카이로(Cairo)와 케이프타운(Cape Town), 캘커타(Calcutta)를 연결하려는 3C정책을 내세웠던 대영제국과 영구 부동항을 확보하려는 러시아 제국, 그리고 프랑스와의 모로코 사건 등과의 대립으로 무리한 팽창 정책으로써, 결국 비스마르크 체제가 무너지게 되었고 이러한 여러가지로 열강세력들과 충돌하게 되어 훗날,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져 발발하게 된다.

제1차 세계대전

1914년, 오스트리아와 세르비아 사이에서 긴장이 높아가던 중 세르비아의 한 민족주의자 청년이 보스니아의 수도 사라예보를 방문한 오스트리아 황태자 부부를 암살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사라예보 사건) 이를 계기로 오스트리아가 세르비아에 선전포고하였다. 그러자 세르비아를 지원하였던 러시아 제국은 오스트리아와 동맹국이었던 독일에 대항해 총동원령을 내렸으며, 독일은 러시아, 프랑스, 영국, 벨기에에 선전포고, 공격함으로써 제1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었다.
독일은 짧은 시간내에 전쟁이 끝날것이라는 예상을 했지만, 마른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전쟁의 양상은 참호전과 장기전으로 되어갔다. 전쟁이 진행됨에 따라 주변국가들이 이해관계에 따라 참전하였고, 독일이 제해권을 빼앗기 위해 무제한 잠수함 공격을 가했고, 전쟁의 양상은 점점 더 치열해져 갔다.
여기서 미국 상선이 독일 잠수함에 의해 격침당하자 미국은 1917년에 독일 제국에 선전포고를 한다. 그리고 미국은 대규모 군대가 파견되어 서부유럽 전선에 참전하게되며 전쟁양상은 독일제국이 불리하게 되어간다. 이 무렵 러시아에서는 혁명이 일어나 러시아와 독일과 단독강화를 맺고 전선에 이탈하였으며, 1918년에 같은 동맹국이던 오스만 제국이 탈퇴했다. 특히 러시아 혁명으로 통해 동맹국 오스트리아와 독일 국민들 사이에서 크게 영향을 받아 반전 운동이 생겼고, 독일 킬 군항에서 수병들이 반란을 일으켜 11월 혁명으로 퍼져 나가자, 독일제국 황제 빌헬름 2세는 퇴위하고 추방당하여 네덜란드로 망명한다. 1918년 11월, 독일 임시정부는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으로 많은 사상자가 생겼고 엄청난 피해를 남겼다. 이후 베르사유 조약으로 통해 독일 제국이 가지던 식민지 영구히 상실, 막대한 배상금 지불, 군비축소, 알자스-로렌 지방 프랑스에 반환 등 패전국 독일에 대한 가혹한 조약으로 인해 뒷날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원인의 씨앗이 된다.

바이마르 공화국

제1차 세계대전 중 킬 군항에서 수병대 폭동을 시작으로 11월 혁명이 일어나 황제 빌헬름 2세는 퇴위되어 추방당하고, 네덜란드로 망명하게 된다. 11월 혁명으로 독일 제국 제정체제가 붕괴된 이후, 사회주의자 중심세력으로 부상한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의하여 수립된 공화국이다. 독일 역사상 처음으로 공화정과 민주주의를 실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1919년에 공화정이 시작되어 1933년 나치가 제1정당으로 집권하기까지 존속하였다.
바이마르 공화국은 정식명칭이 아닌 별명이다. 이 별명은 당시 공화국 헌법 초안 및 승인 과정에서 베를린의 소요 사태가 일어나, 이를 피해 바이마르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이 공화정의 의의 중 하나가 민주제의 연방국가의 정체를 가지고 있다는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대통령제와 의회의 혼합 형태로 구성되었다. 의회는 제국 의회 또는 라이히스탁(Reichstag)였고 수도는 베를린이었다. 이 공화국에 이름을 준 도시 바이마르는 제헌 국민의회의 개최지였다.
바이마르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은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였다.

혼란기

이 공화국은 시민의 투쟁에 의해서 성립된 것이 아니라 전쟁에 패한 책임을 군부세력, 관료세력, 대자본가들 등 보수세력들이 떠맡는 것을 피하기 위해 권력을 독일 사회민주당에 넘겨주면서 공화정이 성립되었다는 태생적 한계가 있었다.
평민 즉 시민층은 처음에는 민주공화제를 지지하였으나, 제1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연합국 중심으로 체결한 베르사유 조약이 독일의 식민지와 해외 이권의 포기, 독일영토와 군비 축소, 제한하고 연합군에 막대한 배상금 지불하는 내용등 매우 가혹한데다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알자스, 로렌을 프랑스에 의해 잃고, 포메른지방을 폴란드에 내주게 되어 잃게 된다. 이 가혹한 조약으로 인해 평민 즉 시민층은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리게 되었다.

안정기

이로 인해 좌익세력과 우익세력으로부터 모두 비판을 받고, 쿠테타, 반란 등 공격을 받아가면서 정부가 매우 취약하였다. 경제적으로는 인플레이션현상이 매우 극심했었던 시기였기도 했으나 외국 자본 등을 차입하여 최신의 생산 설비를 갖추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하게 되고 세계에서 1, 2위를 다투는 대공업국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학문, 사상, 예술 방면에서도 눈부실 만큼 크게 발전하였으며, 외교면에서도 외무장관 슈트레제만의 정책으로 1924년 9월에는 미국의 원조계획인 도스안이 성립되어 배상문제도 일단락짓게 되었다.
1925년 12월 로카르노 조약이 체결되어 전승국과의 화해가 확립되었고, 1926년 9월 국제연맹에 가입하게 되고, 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기까지도 했다.
1925년 4월, 대통령 선거에서 왕정 복고파세력인 힌덴부르크가 당선되어 우익 민족주의 강세를 보이며, 국력을 증대함에 따라 강력한 대독일의 부흥과 대외적 대발전을 지향하는 우익세력과, 군부, 관료세력들의 권력이 강화되었다. 이때 당시, 바이마르 공화정이 성립된 이래 대외 목표는 1914년 당시 국경 그대로 회복하는것과 유럽의 패권과 영토상실한 해외 구식민지 회복, 군비 회복 및 배상금 지불 폐지 등이었다.

독일 경제 대공황.jpg

  • 베를린에서 예금한 돈을 찾으러 은행에 몰려든 사람들

공화정의 몰락기

1928년 5월, 총선거에서는 독일 사회민주당과 독일 공산당이 세력을 확장했으며, 그 추세에 따라 사회민주당세력이 왕정복고파까지 포섭하여 불안정한 내각을 조직하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 패전의 상처속을 딛고 겨우 다시 일어서는 순간에 1929년 경제 대공황을 맞아 결정타를 맞게 된다. 미국에서 시작된 경제 대공황이 독일에까지 파급됨에 따라 실업자는 격증하고, 국고는 거액의 적자로 허덕이게 되면서 내각은 사회정책비의 삭감과 국민으로부터의 증세로 위기를 넘기려고 하였으나 좌우익 세력 양쪽으로부터 반대로 실패하고, 1930년 3월에 내각은 무너지고 말았다.
이어 의회를 통해 지지를 기반으로 하지 않은 대통령 비상 내각으로서 잇달아 비상 긴급령과 군부세력, 보수파들의 지지를 배경으로 독재적 정치를 시행하기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중도파나 온건 보수파세력들은 대거 민족주의 성향인 나치 당의 지지파로 전향했으며, 1932년 4월의 대통령 선거에서 중도파인 힌덴부르크가 재당선되었으나, 나치 당수였던 아돌프 히틀러도 힌덴부르크에 못지않은 지지표를 얻게 되었고, 의회에서도 나치와 공산당이 합친 수가 과반수를 점령했다.
우익세력 보수파들은 나치를 중심으로 단결한 반면, 좌익세력의 사회민주당과 공산당은 격렬하게 내분이 일어나 대립했다. 거기다 경제 대공황 여파는 날로갈수록 더욱 심각해져서 국민들의 불만과 생활고는 날로 갈수록 높아져만 갔다. 군부, 관료, 자본가, 농민 그리고 중산층까지도 나치 지지로 대세는 기울어지게 되어 결국, 1933년 1월에 힌덴부르크 대통령이 아돌프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하였다. 1933년 2월 27일에는 공산당원에 의한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을 계기로 나치 정권은 사회주의 계열 정당들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을 행했으며, 이어진 총선거에서 43.9%의 득표율을 차지하여 의석수 288석을 차지했다. 그럼으로써 나치가 제1정당으로 집권하였다. 1934년힌덴부르크 대통령이 사망하자 총리였던 아돌프 히틀러가 총통으로 집권하면서 바이마르 공화정은 막을 내린다.

  • 더 추가 계획.

행정구역

독일 행정구역.png
독일 지도.PNG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1.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Baden-Württemberg
주도 - 슈투르가르트 (Stuttgart)

바이에른 자유주

2. 바이에른 자유주
Freistaat Bayern
주도 - 뮌헨 (München)

베를린

3. 베를린 (수도)
Berlin

브란덴부르크 주

4. 브란덴부르크 주
Brandenburg
주도 - 포츠담 (Potsdam)

브레멘

5. 브레멘 (자유 한자도시)
Freie Hansestadt Bremen
주도 - 브레멘 (Bremen)

함부르크

6. 함부르크 (자유 한자도시)
Freie und Hansestadt Hamburg
주도 - 함부르크 (Hamburg)

헤센 주

7. 헤센 주
Hessen
주도 - 비스바덴 (Wiesbaden)

메클렌부르크포 어포메른주

8. 메클렌부르크포 어포메른주
Mecklenburg-Vorpommern
주도 - 슈베린 (Schwerin)

니더작센 주

9. 니더작센 주
Niedersachsen
주도 - 하노버 (Honnover)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10.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Nordrhein-Westfalen
주도 - 뒤셀도르프 (Düsseldorf)

라인란트팔추 주

11. 라인란트팔츠 주
Rheinland-Pfalz
주도 - 마인츠 (Mainz)

자를란트 주

12. 자를란트 주
Saarland
주도 - 자브브뤼켄 (Saarbrücken)

작센 자유주

13. 작센 자유주
Freistaat Sachsen
주도 - 드레스덴 (Dresden)

작센안할트 주

14. 작센안할트 주
Sachsen-Anhalt
주도 - 마그데부르크 (Magdeburg)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

15.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
Schleswig-Holstein
주도 - (Kiel)

튀링엔 자유주

16. 튀링엔 자유주
Freistaat Thüringen
주도 - 에어푸르트 (Erfurt)

정치

의회

국무회의

헌법

인구

경제

  1. 현재는 3절만 취급한다. 1절과 2절을 부르지 않는 이유는 문서를 참조.
  2. 무려 하이든이 작곡했다
  3. 프로이센 왕국의 국화는 수레국화였다.
  4. 한반도의 1.6배이다.
  5. 최근 들어서는 백인 계통 민족 인구수가 점점 줄고 있다.
  6. 특히 무슬림들이 상당히 많다. 이는 독일 무슬림 이민 정책이 있기 때문이다.
  7. 8.68점
  8. 독일 각 주의 주 총리와 도시주의 시장들이 1년씩 돌아가며 맡는다. 현재는 2018년 11월 1일부터 임기를 시작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주 총리가 하고 있다.
  9. 기독교민주연합 소속으로 헬무트 콜 내각에서 내무 장관으로 근무했고, 동서독 통일 조약에 직접 서명하기도 한다. 헬무트 콜이 5번째 총리 당선에 실패하고 게르하르트 슈뢰더에게 내준 이후 헬무트 콜의 뒤를 이어 기독교민주연합의 대표가 되었지만 정치 자금 사건으로 중도 사퇴하고 후임 당 대표는 앙겔라 메르켈이 되었다. 앙겔라 메르켈 내각에서도 내무 장관으로 4년, 재무 장관으로 8년 가까이 근무했다.
  10. 대한민국과 독일은 수교 연도를 조선과 독일의 수교 연도인 1886년으로 간주한다. 이후 대한민국은 서독과 수교하고 동독과 수교한 적은 없다. 북한은 서독과 수교한 적은 없고 동독과 1949년에 수교한다.
  11. 서독동독이 동시에 가입한다.
  1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경보, 유럽 지역 여행자제 발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