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연도 | 정부 | 사건이름 | 관련인 | ||
---|---|---|---|---|---|
2018년 5월 | 구창모 정부 | 앨런, 하늘미르 등 서구와 외교마찰 | 구창모, 앨런, 하늘미르 | ||
2018년 9월 | 모창민 정부 | 대한국의 군사 도발 | 모창민, 대한국 (한비자, 이원 황제) | ||
2019년 2월-3월 | 민주우 정부 | 구창모 게이트 | 구창모, 포장 | ||
혁명공산당 내란 사건 | 혁명공산당 (나카모토 사토시, 멘체스터 등) | ||||
2019년 9월 | 전영록 정부 | 청아그룹 퇴출 사건 | 리한, 청아, 전영록 정부 | ||
2019년 10월 | 리한 사태 | 리한그룹 (리한) | |||
2019년 11월 | 민주우 정부 | 하나국 디자인 분쟁 | 민주우, 장현 | ||
2021년 1월 | 이맹박 정부 | 월본의 가상국제연합 탈퇴 | 이맹박, 가상국제연합 | ||
2021년 1월 | 구창모 권한대행 | 월본사회주의연방 사건 | 나의재, 문대성, 전영록 | ||
2022년 1월 | Mirai 정부 | 월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건 | 전월본공산당 (한비자, 까마귀, 한유 등) | ||
2023년 2월 | 다카기 그네 정부 | 2023년 월본 헌정위기 | 육성준, 다카기 그네, 박헌희, 윤건희, 세이시로 등 | ||
2024년 6월 | 마츠다 하루토라 정부 | 2024년 월본 헌정위기 | 마츠다 하루토라, 에지스, 구창모, 수보, 미라이 등 | ||
6.18 테러 | 마츠다 하루토라, 타츠바나 요쿠온 등 | ||||
2025년 1월 | 아사모토 강치 정부 | 월본 정부와 기업 간 충돌 사태 | 대한청아, 시나노, 경제특수본, 사법부 | ||
2025년 5월 | 아사모토 강치 정부 비상사태 파동 | 아사모토 강치, 하로히토 |
- 상위 문서 : 가상국제연합 이탈 사태
2021년 1월 18일 제10대 월본 국회의원 선거에서 선출된 라버 마르코가 임기 시작 하루만에 모창민 월본의힘 대표에게 총리 자리를 넘겨주었고 또 곧바로 가상국제연합에서 탈퇴를 선언하고 곧바로 정계를 은퇴했다. 이 모든 절차가 단 하루만에 이뤄졌다. 이렇듯 월본의 가국련 탈퇴는 이들 세력이 사전에 계획한 듯 일사천리로 빠르게 진행되었다. 그 후 2023년과 2024년 재가입 시도가 있었지만 월본 매니저의 주저로 실패했고 2024년 7월에 매니저를 위임하면서 재가입한다.
영향
가상국제연합 세력권에서 이탈한 월본은 월본은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된다. 경제제재[1]와 더불어 봉쇄[2] 막대한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봉쇄로 인해서 우물안 개구리가 된 월본은 나름대로 타개책을 찾기로 하지만 번번히 무산되거나 좌초되었고 홀로서기를 결심한다.
가국련 재가입
2024년 7월 19일~20일, UVN 정대성 주석이 방월하여 후미히라 겐페이 총리와 구창모, 청아가 배석한 정상회담을 벌여 월본이 가국련으로 재가입하는 것을 논의했다. 그리고 21일 월본이 재가입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이로써 가국련을 이탈했던 개별 가국 대다수는 소멸 또는 해체되었거나, 다시 재가입하게 되어 해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