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합중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아젤릭 폰 데미르님이 멕시코 연방 공화국 문서를 멕시코 합중국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잔글 (정동원(토론)의 편집을 베이쳐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넘겨주기 제거 되돌리기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7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ffffff> 국기 || [[파일:멕시코 국 기.png|width=250]] ||
 
||<#ffffff> 국장 || [[파일:멕시코 국장.png|width=200]] ||
 
||<#ffffff> 면적 ||1,972,550 km^^2^^ ||
 
||<#ffffff> 인구 ||130,158,700명 ([[2018년]])[[http://www.worldometers.info/world-population/mexico-population/|#]] ||
 
||<#ffffff> {{{#black [[건국|{{{#black 건국}}}]]}}} ||[[1821년]] [[9월 27일]] (독립 선언)[br][[1824년]] [[10월 4일]] (헌법 제정) ||
 
||<#ffffff> 수도 ||[[멕시코 시티]] ||
 
||<#ffffff> 공용어 ||[[스페인어]](사실상)[* 멕시코는 특이하게 국어(영어로 national language)는 있고 공용어가 따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나라인데, 국어로는 스페인어뿐만 아니라 멕시코 국내 원주민 언어를 포함해 68개의 언어를 모두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식적 언어 생활이 스페인어로 이루어진다. 그 외에도 [[영어]]가 상용어로 쓰인다.] ||
 
||<#ffffff> 정부 형태 ||[[연방제]], [[대통령제]](임기: 6개월 중임제한 없음), [[공화제]] ||
 
||<#ffffff> 대통령 ||[[안철정]] ||
 
||<#ffffff> 임기 ||[[2018년]] [[3월 23일]] ~ ''[[2018년]] [[9월 23일]]'' (예정) ||
 
||<#ffffff> 국가 ||'''[[멕시코 국가|조국에 평화를]]''' [br] ([[스페인어]]: Ciña ¡Oh Patria! Tus sienes de oliva) ||
 
||<#ffffff> 명목 [[GDP]] ||2조 5873억 300만$ ([[2017년]] 추정) ||
 
||<#ffffff> [[GDP(PPP)]] ||3조 2406만$ ([[2014년]] 추정) ||
 
||<#ffffff> 1인당 명목 GDP ||25,249$ ([[2017년]] 추정) ||
 
||<#ffffff> 1인당 PPP ||31,881$ ([[2014년]] 추정) ||
 
||<#ffffff> [[인종]] ||[[메스티소]] 45%, 원주민계 30%, 백인 23%, [[동양인]] 2% ||
 
||<#ffffff> [[종교]] ||'''국교 없음'''[br][[기독교]] 89%([[가톨릭]] 80%, [[개신교]] 9%), 토착신앙과 기타종교 4% ||
 
||<#ffffff> 화폐단위 ||[[멕시코 페소]] ||
 
||<#ffffff> 가상국제연합 가입 ||2016년||
 
  
==역사==
+
{{아틀란틱 유니버스/소속국}}
===1980년~2000년===
 
1979년 제 2차 석유 파동 당시 석유 가격이 4배로 폭등하면서, 멕시코 정부는 경제호황기를 맞게 되었다. 이로 인해 국민소득은 1인당 $5000에 이르렀으며, 국민의 숫자는 1억을 넘어가기 시작했다. 이후 1980년 이란 이라크 전쟁이 벌어진다. 이때 중동지역의 불안정으로 석유가격은 전쟁 초기에 50달러선까지 치솟기 시작했다. 이때 새로 집권한 정부가 바로 제도개혁당의 산 루이즈 페데로 대통령이었다. 1986년까지 집권한 대통령은, 기존의 1970년대의 정부와 다르게 과도한 복지를 축소하고, 또한 자원 수출에서 탈피하려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또한 니카리과 사태를 통해 미국을 견제해야함을 깨닫고, 미국에 대항할 군대의 숫자를 늘리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2009년까지 멕시코는 징병제를 실시하였으며, 루이즈 대통령 집권 당시에는 평균 6.7프로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즉, 이 경제성장의 배경에는 고유가, 인구가 1억을 넘으면서 생긴 내수 증진, 과도한 복지 축소 및 개혁이 바탕이 된 것이다. 하지만 이 정책의 후유증으로 인해 결국 당시 압도적 집권여당이던 제도개혁당이 자유개혁당과 멕시코제도당으로 나뉘게 된다. 이후 1987년부터 1993년까지 집권한 멕시코제도당의 후안 데 가르소 대통령은 멕시코 국민 소득을 $10000까지 올려놓으며, 동시에 NAFTA 협정의 기초를 닦게 되었다. 또한 대카르텔전를 위해서 무기를 도입하고, 이달고급 항모 2척 건조 계획 등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가르소 대통령 당시 개방에 반대하며 일어난 치아파스 구 일대의 반군 진압 당시의 정부군의 무분별한 공격, 그리고 측근들의 비리가 이어지면서 멕시코제도당은 인기를 잃기 시작한다. 반면 1994년부터 2000년까지 집권한 국민당의 산티알레 티아고 대통령은, 1997년 신흥국 경제위기를 막아낸 인물이기도 하다. 신흥국 경제위기 당시, 멕시코에는 3주 동안이나 투기 자본의 공습이 이어졌다. 이에 버티지 못한 일부 기업들이 도산하는 사태가 벌어졌지만, NAFTA 협정 및 주변 국과의 연대를 이용, 극복해낸다. 이 동안 정부는 긴축재정을 실시하는데, 이 내용엔 무기 도입 및 개발비를 감소시키자는 내용이 포함되어있었다. 이를 통해 티아고 정부에서는 간신히 연간 4프로 성장을 이루어낸다. 하지만 군부의 내부적 반발, 그리고 중남미의 대항마 역할을 할 군사력 감소, 불평등 증가등은 티아고 정부의 과오점이 되고 만다.
 
  
===2000년~현재===
+
{{가상국가 목록}}
임기가 끝나기 전인 1999년, 멕시코의 수십년간 제 1당이던 제도개혁당은 자유개혁당과 민주당으로 분리되고 만다. 결국 표심 분산으로 2000년 대선에서는 국민당의 버세 페르난데 대통령이 당선된다. 페르난데 대통령의 인기만큼이나 일도 많았는데, 먼저 대통령 집권 이래 초반 3년 동안 여소야대의 상황이 이어지면서, 법률안 처리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국민당의 모토였던 군 세력 축소 정책은, 민주당 등의 제도개혁당 측 세력에게 번번히 막히고 말았다. 또한 이외에도 대카르텔전에도 비교적 유화적인 모습을 보여서, 평가가 이에 대해서는 분분한 상황이다. 이외에도 멕시코시티 수도권 과밀화 방지를 위해서 20~30만 규모의 신도시 4개 건설안 등을 내놓고, 임기 말에는 작업을 시작하면서 인구 과밀화 해소에 앞장서는 대통령이었다. 하지만 대통령과 달리 국민당 내부에서는 친페르난데 파와 비페르난데 파의 분열로, 결국 국민당이 분열되고 말았지만, 페르난데 대통령의 후광 하에 당선된 대통령은 국민당의 구스 베시두 대통령이었다. 구스 베시두 대통령 시절에는, 대략 10여년 동안 계획하였던 항모 1척이 이달고라는 이름을 달고 2010년 진수하였으며, 이외에도 군 개혁을 통하여 병력을 현 수준까지 떨어뜨리는 계획을 실행하였다. 또한 연방제를 통과, 2007년부터 연방제를 시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표퓰리즘적 복지를 실행, 결과적으로는 재정 적자의 일부 심화를 가져오게 되었고, 2008년 경제위기 때 대응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국민당을 마침내 초토화시켜버렸다. 이후 진보 세력에 대한 반감으로, 2012년 대선에서는 극우에 가까웠던 민주당의 로제 인르메호 후보가 압도적 표차이로 당선되었다. 인르메호 후보는 하지만 후보 시절부터 비리 의혹에 시달렸고, 경제위기가 있는 와중에 실시한 군대 확장은 국민들이 걸었던 기대를 파괴하기 충분했다. 마침내 2016년 3월, 인르메호 후보는 군대 세력을 이용한 민간인 사찰 및 몇 조원대 비자금 혐의로 탄핵당하였다. 이후 대선을 통해 당선된 대통령은 풋볼 데 축구신 대통령이었다. 하지만 집권 발판은 초기부터 인르메호 후보 측이었던 수도군단과 미국 국경 측 군단에 의해 흔들렸다. 비록 실패로 끝난 6월 쿠테타로 인해 수도군단을 숙청했지만, 8월 쿠테타는 정권을 붕괴시켜버렸다. 이후 인르메호가 이끄는 정부는, 겉으로는 정당하게 정권을 되찾은 것처럼, 2018년까지 집권을 선언하였다. 하지만 국민들의 저항이 이어졌고, 2017년 4월과 6월에는 게엄이 떨어지기도 하였다. 하지만 게엄이 내려졌어도 국민들의 민주화 열기는 식지 못하였고, 결국 10월 31일, 미국에 망명한 풋볼 데 축구신이 임시정부를 세우면서 11월 2일, 인르메호 정부 관계자가 프랑스로 망명, 이후 풋볼 데 축구신 정부가 다시 집권하게 된다. copyright ⓒ 2018 풋볼 데 축구신 All Rights Reserved
+
{{멕시코 합중국}}
 +
 
 +
{{멕시코 합중국/역사}}
 +
 
 +
||<-4><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006847><:>{{{#white {{{+1 '''멕시코 합중국 [br] United States of Mexican [br] Estados Unidos Mexicanos'''}}}}}}||
 +
||<-4><:> [[파일:멕시코 국기.png|width=480]] ||
 +
||<-4><:><#006847>{{{#white '''국기'''}}} ||
 +
||<-4><:> [[파일:멕시코 국장.png|width=480]] ||
 +
||<-4><:><#006847>{{{#white '''국장'''}}} ||
 +
||<width=10%><-3><#006847><:>{{{#white 국호}}}||<width=50%> '''멕시코 합중국 [br] United States of Mexican''' ||
 +
||<#006847><|3><:>{{{#white '''상징'''}}}||<#006847><-2><:>{{{#white '''국가'''}}}|| '''조국에 평화를''' ||
 +
||<#006847><-2><:>{{{#white '''국화'''}}}|| 선인장 ||
 +
||<#006847><-2><:>{{{#white '''국조'''}}}|| 독수리 ||
 +
||<#FFFFFF><:>{{{#black '''자연[br]환경'''}}}||<#FFFFFF><-2><:>{{{#black '''면적'''}}}|| 면적 1,964,375㎢ ||
 +
||<#FFFFFF><|3><:>{{{#black '''인문[br]환경'''}}}||<#FFFFFF><-2><:>{{{#black '''인구수'''}}}|| 130,759,523명 ||
 +
||<#FFFFFF><-2><:>{{{#black '''공용어'''}}}|| 영어, '''스페인어''' ||
 +
||<#FFFFFF><-2><:>{{{#black '''종교'''}}}|| '''국교 없음''' ||
 +
||<#FFFFFF><|7><:>{{{#black '''정치'''}}}||<#FFFFFF><-2><:>{{{#black '''국체'''}}}|| '''공화제''' ||
 +
||<#FFFFFF><-2><:>{{{#black '''정체'''}}}|| '''이원집정부제''' ||
 +
||<#FFFFFF><|5><:>{{{#black '''국가요인'''}}}||<#FFFFFF><width=20%><:>{{{#black '''대통령'''}}}|| '''[[맨체스터]]''' ||
 +
||<#FFFFFF><:>{{{#black '''총리대행'''}}}|| '''[[화필]]''' ||
 +
||<#FFFFFF><:>{{{#black '''중의장'''}}}|| '''해산 상태''' ||
 +
||<#FFFFFF><:>{{{#black '''참의장'''}}}|| '''해산 상태''' ||
 +
||<#FFFFFF><:>{{{#black '''경비실'''}}}|| '''[[박이현]]''' ||
 +
||<#CE1126><|7><:>{{{#white '''경제'''}}}||<#CE1126><-2><:>{{{#white '''GDP'''}}}|| $6,855,591,031,367 ||
 +
||<#CE1126><-2><:>{{{#white '''1인당 GDP'''}}}|| $52,429 ||
 +
||<#CE1126><-2><:>{{{#white '''GDP(PPP)'''}}}|| $5,373,431,838,162 ||
 +
||<#CE1126><-2><:>{{{#white '''1인당 GDP(PPP)'''}}}|| $41,094 ||
 +
||<#CE1126><-2><:>{{{#white '''구매력'''}}}|| 세계 11위 ||
 +
||<#CE1126><-2><:>{{{#white '''규모'''}}}|| 세계 13위 ||
 +
||<#CE1126><-2><:>{{{#white '''공식 화폐'''}}}|| 운드(UND), 페소(MXN) ||
 +
||<#CE1126><|4><:>{{{#white '''국가표준'''}}}||<#CE1126><-2><:>{{{#white '''법정연호'''}}}|| 서력기원 ||
 +
||<#CE1126><|3><:>{{{#white '''시간대'''}}}||<#CE1126><:>{{{#white '''동부'''}}}|| UTC -8 ||
 +
||<#CE1126><:>{{{#white '''중부'''}}}|| UTC -7 ||
 +
||<#CE1126><:>{{{#white '''서부'''}}}|| UTC -6 ||
 +
||<#CE1126><-2><:>{{{#white '''주소'''}}}||<#CE1126><:>{{{#white '''카페'''}}}||<:>[[파일:네카 아이콘.png|20px]] [[https://cafe.naver.com/unitedmexico|카페]] ||
 +
 
 +
||[[파일:멕시코 위치.png]]||
 +
||<bgcolor=#C0C0C0><:>{{{#black '''위치'''}}}||
 +
 
 +
 
 +
 
 +
||||<tablealign=left><#C0C0C0> 언어별 명칭 ||
 +
|| [[스페인어]] || '''México / Estados Unidos Mexicanos''' ||
 +
|| [[태국어]] || เม็กซิโก ||
 +
|| [[나와틀어]] || Mexihco / Mexihco Tlacetililli Tlahtohcayotl ||
 +
|| [[영어]] || '''Mexico / United States of Mexicano''' ||
 +
|| [[독일어]] || Mexiko ||
 +
|| [[러시아어]] || Мексика ||
 +
|| [[아랍어]] || المكسيك ||
 +
|| [[에스페란토]] || Meksiko ||
 +
|| [[이탈리아어]] || Messico ||
 +
|| [[포르투갈어]] || México / Estados Unidos Mexicanos ||
 +
|| [[일본어]] || メキシコ ||
 +
|| [[중국어]] || 墨西哥(Mòxīgē) ||
 +
|| [[터키어]] || Meksika ||
 +
|| [[프랑스어]] || (Le) Mexique ||
 +
|| [[한국어]] || '''멕시코 / 멕시코 합중국''' ||
 +
|| [[문화어]] || 메히꼬 / 메히꼬 련방(멕련) ||
 +
|| [[히브리어]] || מקסיקו ||
 +
|| [[힌디어]] || मेक्सिको ||
 +
 
 +
 
 +
 
 +
[목차]
 +
[include(틀:-)]
 +
 
 +
== [[멕시코 합중국/역사|역사]] ==
 +
{{참조|멕시코 합중국/역사}}
  
==상징==  
+
== 상징 ==
 
===국기===
 
===국기===
 +
초록색은 멕시코의 독립성과 풍부한 천연자원 및 자연삼림을, 하얀색은 통일성과 정직함 그리고 나라의 평화를, 빨강색은 민족의 화합과 독립운동가들의 헌신과 희생을 상징한다. 가운데에 있는 독수리 문장은 독수리가 선인장 위에 앉아 날개를 펴고 입에 뱀을 물며 발톱을 내민 듯한 모습으로 "독수리가 뱀을 물고 있는 호수의 자리에 국가를 세우라"라는 아스텍의 수도 테노치티틀란의 건국 전설을 나타낸 것이다.
 +
 
===국장===
 
===국장===
===국가===
+
가운데에는 발톱에 뱀을 잡은 채로 선인장 위에 서 있는 황금독수리가 그려져 있는데 이는 독수리가 뱀을 물고 앉아 있는 호숫가의 선인장이 있는 곳에 도읍을 세우라는 아즈텍의 테노치티틀란 전설에서 유래된 것이다. 국장 왼쪽에는 참나무 가지가 그려져 있으며 국장 오른쪽에는 월계수 가지가 그려져 있다. 국장 아래쪽에는 멕시코의 국기를 구성하는 색인 초록색, 하얀색, 빨간색의 리본이 참나무 가지와 월계수 가지를 묶고 있다.
조국에 평화를(Cina! Oh patria! tus siènes de oliva)
+
 
 +
===[[멕시코 합중국/국가|국가]]===
 +
{{참조|멕시코 합중국/국가}}
 +
 
 +
 
 +
{{각주}}
 +
[[분류:가상국제연합 비상임이사국]] [[분류:아틀란틱 유니버스]]
 +
 
 +
 
 +
== 정치 ==
 +
===국가형태===
 +
1차 헌법 때만 해도 멕시코의 국명은 합중국이 아니라 공화국이었으며, 단일국가였다. 그러나 2차 헌법이 들어서면서부터 각 주(州)의 권력 및 자주권이 강화돼, 사실상 연방국가화 되었다.
 +
 
 +
===정부형태===
 +
====1차 헌법====
 +
1차 헌법 당시 멕시코는 대통령 중심제, 그것도 제왕적 대통령 중심제를 채택하였다. 이때문에 3권분립이라곤 하나 한국처럼 대통령이 사법부 수장을 임명하였으며, 심지어 국회를 해산할 권한을 갖기도 했다.
 +
 
 +
====2차 헌법====
 +
2차 헌법 당시 멕시코는 의원내각제를 채택하였다. 이시기 수상(대통령)의 권한은 크게 약화되었고, 의회와 사법권력이 강화되었다. 의회는 외교정책을 심사할 상설위원회를 가졌고, 사법부 판관직들은 종신직으로 바뀌었다.
 +
 
 +
====3차 헌법====
 +
3차 헌법 현재 멕시코는 2차 헌법 때와 동일하게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의회가 단원제에서 양원제가 되어, 중의원과 참의원으로 나뉘게 되었다. 다만, 여느 양원제 국가와 같이 멕시코 또한 중의원 우월원칙을 채택하며, 총리는 중의원에서 선출한다. 또한, 의회의 외교위원회가 사라져 총리가 이전보다 외무 부문에 더 수월히 임할 수 있게 되었다.
 +
 
 +
===선거===
 +
멕시코에서 국민이 직접 하는 선거에는 네 종류가 있는데, 바로 중의원의원선거, 참의원의원선거, 전국동시지방선거, 국민투표가 그 네 종류이다. 중의원의원선거의 경우 현재 지역구의원 250인과 비례대표의원 250인을 선출하고 있으며, 참의원의원선거의 경우 비례대표의원 300인, 지방선거의 경우 지방의회의원(전석 지역구선출) 및 주지사, 관구장 등을 뽑고 있다. 국민투표는 어떠한 안건에 대한 국민의 찬반여부를 묻는 선거로, 아직까지는 열리지 않았다.
 +
====[[멕시코 공화국 국회의원 총선거]]====
 +
{{참조|멕시코 합중국/역대 선거}}
 +
====[[멕시코 합중국 중의원의원선거]]====
 +
{{참조|멕시코 합중국/역대 선거}}
 +
====[[멕시코 합중국 참의원의원선거]]====
 +
{{참조|멕시코 합중국/역대 선거}}
 +
====[[멕시코 전국동시지방선거]]====
 +
{{참조|멕시코 합중국/역대 선거}}
 +
 
 +
===정당===
 +
==== 연립여당 ====
 +
* 멕시코사회혁명당
 +
당대표는 [[최민]]이며, 총리를 배출한 좌파정당이다.
 +
||<bgcolor=#EE5927><:>{{{#white '''당명칭'''}}}||<-2> 멕시코사회혁명당 ||
 +
||<bgcolor=#EE5927><:>{{{#white '''대표'''}}}||<-2> '''[[최민]]''' ||
 +
||<bgcolor=#EE5927><:>{{{#white '''당이념'''}}}||<-2> 좌익 ||
 +
||<bgcolor=#EE5927><:>{{{#white '''참의회 의석'''}}}||<-2> 65석 ('''21.7%'''/100%) ||
 +
||<bgcolor=#EE5927><:>{{{#white '''중의회 의석'''}}}||<-2> 155석 ('''31%'''/100%) ||
 +
||<bgcolor=#EE5927><:>{{{#white '''양당합당일'''}}}||<-2> 2019년 1월 29일 ||
 +
 
 +
* 민주당
 +
당대표는 [[조윤상]]이며, 내각에 참여한 중도좌파 정당이다.
 +
||<bgcolor=#1B5B40><:>{{{#white '''당명칭'''}}}||<-2> 민주당 ||
 +
||<bgcolor=#1B5B40><:>{{{#white '''대표'''}}}||<-2> '''[[조윤상]]''' ||
 +
||<bgcolor=#1B5B40><:>{{{#white '''당이념'''}}}||<-2> 중도좌익 ||
 +
||<bgcolor=#1B5B40><:>{{{#white '''참의회 의석'''}}}||<-2> 41석 ('''13.7%'''/100%) ||
 +
||<bgcolor=#1B5B40><:>{{{#white '''중의회 의석'''}}}||<-2> 101석 ('''20.2%'''/100%) ||
 +
||<bgcolor=#1B5B40><:>{{{#white '''창당일'''}}}||<-2> 2019년 1월 27일 ||
 +
 
 +
* 주체노동당
 +
당대표는 [[경동]]이며, 내각에 참여한 극좌파 정당이다.
 +
||<bgcolor=#FFCC00><:>{{{#white '''당명칭'''}}}||<-2> 국민자유당 ||
 +
||<bgcolor=#FFCC00><:>{{{#white '''대표최고위원'''}}}||<-2> '''[[경동]]''' ||
 +
||<bgcolor=#FFCC00><:>{{{#white '''당이념'''}}}||<-2> 극좌익 ||
 +
||<bgcolor=#FFCC00><:>{{{#white '''참의회 의석'''}}}||<-2> 24석 ('''8%'''/100%) ||
 +
||<bgcolor=#FFCC00><:>{{{#white '''중의회 의석'''}}}||<-2> 21석 ('''4.2%'''/100%) ||
 +
||<bgcolor=#FFCC00><:>{{{#white '''창당일'''}}}||<-2> 2019년 1월 27일 ||
 +
 
 +
==== 야당 ====
 +
* 멕시코 자유당
 +
당대표는 [[Andrew Ryan]]이며, 우파 정당이다.
 +
||<bgcolor=#0000A8><:>{{{#white '''당명칭'''}}}||<-2> 멕시코 자유당 ||
 +
||<bgcolor=#0000A8><:>{{{#white '''대표최고위원'''}}}||<-2> '''[[Andrew Ryam]]''' ||
 +
||<bgcolor=#0000A8><:>{{{#white '''최고위원'''}}}||<-2> '''[[아랍어 (가상국가인)|아랍어]]'''<ref>부의장</ref>, '''[[박이현]]''', '''[[한유]]''', '''[[남상은]]''' ||
 +
||<bgcolor=#0000A8><:>{{{#white '''당이념'''}}}||<-2> 우익 ||
 +
||<bgcolor=#0000A8><:>{{{#white '''참의회 의석'''}}}||<-2> 169석 ('''56.3%'''/100%) ||
 +
||<bgcolor=#0000A8><:>{{{#white '''중의회 의석'''}}}||<-2> 200석 ('''40%'''/100%) ||
 +
||<bgcolor=#0000A8><:>{{{#white '''3당합당일'''}}}||<-2> 2019년 2월 1일 ||
 +
||<bgcolor=#0000A8><:>{{{#white '''전신'''}}}||<-2> '''자유미래당''', '''한나라당''', '''자유선진당''' ||
 +
 
 +
* 바른미래당
 +
당대표는 [[Enrique Serena]][[(윤정한)]]이며, 우파 정당이다.
 +
||<bgcolor=#00B4B4><:>{{{#white '''당명칭'''}}}||<-2> 바른미래당 ||
 +
||<bgcolor=#00B4B4><:>{{{#white '''대표최고위원'''}}}||<-2> '''[[Enrique Serena]][[(윤정한)]]''' ||
 +
||<bgcolor=#00B4B4><:>{{{#white '''당이념'''}}}||<-2> 우익 ||
 +
||<bgcolor=#00B4B4><:>{{{#white '''참의회 의석'''}}}||<-2> 0석 ('''0%'''/100%) ||
 +
||<bgcolor=#00B4B4><:>{{{#white '''중의회 의석'''}}}||<-2> 22석 ('''4.4%'''/100%) ||
 +
||<bgcolor=#00B4B4><:>{{{#white '''창당일'''}}}||<-2> 2019년 2월 18일 ||
 +
 
 +
==== 원외정당 ====
 +
* 1824 동맹
 +
당대표는 [[Manuel Cruz]]이며, 극우 정당이다.
 +
||<bgcolor=#FF0000><:>{{{#white '''당명칭'''}}}||<-2> 1824 동맹 ||
 +
||<bgcolor=#FF0000><:>{{{#white '''대표'''}}}||<-2> '''[[Manuel Cruz]]''' ||
 +
||<bgcolor=#FF0000><:>{{{#white '''당이념'''}}}||<-2> 극우익 ||
 +
||<bgcolor=#FF0000><:>{{{#white '''참의회 의석'''}}}||<-2> 0석 ('''0%'''/100%) ||
 +
||<bgcolor=#FF0000><:>{{{#white '''중의회 의석'''}}}||<-2> 0석 ('''0%'''/100%) ||
 +
||<bgcolor=#FF0000><:>{{{#white '''창당일'''}}}||<-2> 2019년 2월 16일 ||
 +
 
 +
==외교==
 +
멕시코는 가상국제연합 소속 비상임이사국으로, 1개의 동맹국과 15개의 일반수교국이 있다.
 +
{| class="wikitable"
 +
|-
 +
! 동맹국 !! 일반수교국
 +
|-
 +
| [[앨런제국]], [[월본]] || [[대부여국]], [[빈트제국]], [[메트로사이버공화국]], [[프로이센 공화국]], [[북아프리카연방]], [[대한국]], [[프랑스 공화국]], [[몰도바 인민 공화국]], [[루마니아 왕국]], [[싱가포르]], [[아사달 공화국]], [[중화민국]], [[포르모사 공화국]]. [[오스만 투르크]],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
 +
|}
 +
 
 +
==경제==
 +
1970년대 수입대체산업화 정책, 다른 말로 보호무역 정책이 막을 내리고, 멕시코 정부는 상당기간 석유에만 수출을 의존한다. 멕시코 정부는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수많은 외채를 빌려였으나, 1981년 이후 유가가 하락하기 시작하며, 멕시코 경제는 아직까지도 침체기를 겪고 있다. 멕시코는 현재 공업과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90%를 넘어가며, 이는 멕시코 정부에서 1981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오랫동안 고수해온 저임금 저곡가 정책의 여파가 컸다는 지적이 있다. 참고로, 멕시코의 공인 화폐는 UND와 페소지만, 페소는 사실상 쓰이거나 발행되지 않은 채로 방치되어 있고, 대부분의 민간 또는 공용 간의 거래가 UND로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 있다.
 +
 
 +
==자연==
 +
기후는 북부와 남부가 다르다. 유카탄 같은 남부 해안지대는 고온다습하며 북부는 건조하고 뜨겁다. 국토 대부분이 아열대와 열대에 걸쳐 있으며 브라질과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멕시코 하면 열사의 나라가 생각나는 것도 북부의 이미지. 중부 고산지대는 우기를 제외하고는 건조한 온대성 기후이며 나머지 국토는 아열대 기후이다. 소노라 등 사막 지역에서는 50˚C를 넘는 기온이 기록되기도 한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제일 더운 곳이 바로 멕시코 북부 그 중에서도 소노라 사막이며 이 사막은 캘리포니아의 모하비 사막과 같은 사막으로 이어진다. 아프리카에 사하라가 있다면 아메리카에는 이 사막이 있는 셈. 멕시코 북부는 여름에는 짤 없이 40-45도의 온도에서 몸이 구워지는 곳이다. 사막답게 일교차도 극심하다.
  
==정치==
+
==행정구역==
멕시코는 국명에서도 알 수 있듯 현재 연방제를 채택 중이나, 연방제 국가 치고 중앙정부의 권력이 상당히 강하다.  
+
 +
멕시코에는 수십 개가 넘는 주(州)가 있다가, 풋볼 데 축구신 대통령의 통합으로 인해 공룡 6개주만이 남았다. 그러나 나머지 26개주는 최근 주지사가 임명하는 방식으로 바뀌어, 그 명맥만은 잇게 되었다.
 +
{| class="wikitable"
 +
|-
 +
! 관구, 주 !! 주도 !! 소속 주
 +
|-
 +
| 바하르칼리포니아 주 || 티후아나 (Tijuana) || 바하 칼리포니아 수르 (Baja California Sur)
 +
|-
 +
| 치와와 주 || 치와와 (Chihuahua) || 소노라 (Sonora), 시날로아 (Sinaloa), 두랑고 (Durango), 나야리트 (Nayarit), 사카테카스 (Zacatecas), 할리스코 (Jalisco), 콜리마 (Colima), 아과스칼리안테스 (Aguascalientes)
 +
|-
 +
| 유카탄 연방주 || 메리다 (Mérida) || 타바스코 (Tabasco), 캄패체 (Campeche), 치아파스 (Chiapas), 킨타나 로오 (Quintana Roo)
 +
|-
 +
| 멕시코시티 수도관구 || 멕시코시티 (Ciudad de México) || 과나후아토 (Guanajuato), 이달고 (Hidalgo), 케레타로 (Querétaro), 멕시코 (México), 베라크루즈 (Veracruz), 푸에블라 (Puebla), 모렐로스 (Morelos), 틀락스칼라 (Tlaxcala)
 +
|-
 +
| 오악사카 연방주 || 오악사카 (Oaxaca) || 미초아칸 (Michoacán), 게레로 (Guerrero)
 +
|-
 +
| 타미올리파스 주 || 시우다드 빅토리아 (Ciudad Victoria) || 산 루이스 포토시 (San Luis Potosí), 코아우일라 (Coahuila), 누에보 레온 (Nuevo León)
 +
|}
  
==군대/군사력==
+
==[[멕시코 합중국/국방|국방]]==
||<#D2CFCA>상비군 ||401,000 명 ([[2018년]]) ||
+
{{참조|멕시코 합중국/국방}}
||<#D2CFCA>예비군 ||346,000 명 (2018년) ||
 
||||<#C4BD9B><:> [[멕시코군]](육군력) ||
 
||<#D2CFCA>3.5세대 [[전차]] ||0 대 ||
 
||<#D2CFCA>3세대 [[전차]] ||120 대 ||
 
||<#D2CFCA>2세대 [[전차]] ||600 대 ||
 
||<#D2CFCA>1세대 [[전차]] ||200 대 ||
 
||<#D2CFCA>'''전차 총합''' ||820 대 ||
 
||<#D2CFCA>[[장갑차]](APCs/IFVs) ||1830 대 ||
 
||<#D2CFCA>[[견인포]] ||1712 문 ||
 
||<#D2CFCA>[[자주포]] ||324 문 ||
 
||<#D2CFCA>[[MLRS]] ||10 대 ||
 
||<#D2CFCA>수송 차량 ||9,391 대 ||
 
||||<#C4BD9B><:> [[항공자위대]](공군력) ||
 
||<#D2CFCA>[[전투기#s-3.5|5세대 전투기]] ||96(+32) 기[* 도입 결정된 D-262M]
 
||<#D2CFCA>[[전투기#s-3.4|4.5세대 전투기]][[http://en.wikipedia.org/wiki/Fighter_aircraft|#]] ||0 기 ||
 
||<#D2CFCA>[[전투기#s-3.4|4세대 전투기]][[http://en.wikipedia.org/wiki/Fourth_generation_jet_fighter|#]] ||156 기 ||
 
||<#D2CFCA>[[전투기#s-3.3|3세대 전투기]][[http://en.wikipedia.org/wiki/Third_generation_jet_fighter|#]] ||92기 ||
 
||<#D2CFCA>조기경보관제기([[AWACS]]) ||1 기 ||
 
||<#D2CFCA>[[조기경보기]](AEW) ||3 기 ||
 
||<#D2CFCA>[[전자전|전자전기]] ||4 기 ||
 
||<#D2CFCA>[[공중급유기]] ||4 기 ||
 
||<#D2CFCA>'''공군기 총합''' ||약 630 (+32) 기 ||
 
||<#D2CFCA>[[헬리콥터]] ||850 기 ||
 
||<#D2CFCA>'''항공기 총합''' ||약 1,480기 ||
 
  
멕시코 연방 공화국의 군대.
+
==[[멕시코 합중국/교통|교통]]==
국방 조직은 국방부 산하에 육해공군이 편성되어 있으며 실질지휘권은 각군의 참모총장 및 담당 지역 장교, 결정권은 국방장관에게 있다. 해군장관은 해군 및 해병대를 지휘한다.
+
{{참조|멕시코 합중국/교통}}
군종병(軍宗兵)과가 없이 민간의 성직자가 와서 군종 역할을 대신한다. 대통령을 경호하는 부대까지 따로 있는데 육해공군으로 편성되어 있다. 대통령 경호부대는 대통령경호실에 소속되어 그들의 지휘를 받는다.
 
국방 정책은 다음 5가지가 핵심이다
 
1. 영토, 주권 및 자주 독립의 보전
 
2. 민간 재해 복구 지원 및 필요시 공공질서 유지
 
3. 마약 재배·밀입국 단속 및 대(對)마약 작전 수행
 
4. 지역 해역 방어 및 배타적 경제 수역 보호 및 통제
 
5. 지역의 영공에 대한 능동적 방어
 
  
군사력은 해군력과 공군력은 풋볼 데 축구신 대통령 당시의 지원을 받아서 그나마 조금 나아지긴 했지만, 대카르텔 전 특징상 육군력이 아직 우세하다... 북미에서 군사력을 비교해보면 캐나다보다는 위에, 중미 일대에서는 무적수준이다.
+
==언어==
자세히보면 문민통제가 정말 안되는 군대다.고로 멕시코의 경우는 민정 이양과 민주화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된 덕에 다른 국가에 비해 군부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적을 것 같으나, 1980년대부터 이어진 군대 확장 정책으로 인해 군부의 입김이 점점 증가, 현재는 비록 약해지긴 했지만 상당한 입김을 발휘한다.
+
멕시코에 특별히 공용어는 없으나, 대신 국가에서 지정한 60여개의 국어가 존재한다.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는 스페인어인데, 이는 과거 스페인 제국 지배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언어는 원주민어, 영어 순이다.
  
== 수뇌부 ==
+
==종교==
|| 대통령 || 안철정 ||
+
인구의 80% 정도가 가톨릭 신자들이나, 15%를 차지하는 개신교도 상당수이고 약간의 무신론자 내진 무종교인과 유대교 신자들이 공존하고, 이집트, 수단, 차드 등 북아프리카에서 일하러 온 노동 이민자들은 무슬림이다. 라틴아메리카가 다 그렇듯 기독교가 주류이고 다른 종교는 오랫동안 공존한 유대교나 최근 늘고 있는 아프리카 이민자들이 믿는 이슬람만 있다. 그나마 무슬림 인구는 5천명~1만명 정도밖에 못 미치고 유대교 신자들도 1%에 불과해 거의 없는 걸로 봐도 무방하다.
|| 국방장관 겸 육군참모총장 || 라인하르트 하임러 ||
 
|| 공군참모총장 || 풋볼 데 축구신 ||
 
|| 해군참모총장 || 김니콜 참모총장 ||
 
  
==육군==
+
==치안==
* [[멕시코 육군]] 참고.
+
멕시코의 치안은 안 좋은 것으로 유명하나, 의외로 시내에 들어가 보면 꽤 괜찮은 곳이 많다. 사실 멕시코도 여느 국가들과 같이 빈민촌은 치안이 나쁘고, 부유촌은 치안이 좋다. 다만 미국과의 국경에 마약 카르텔들이 결집하여, 그 지역 일대는 치안이 전세계적으로도 최악인 곳으로 꼽힌다. 지난 2017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시 10곳 중 5곳이 멕시코 도시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
+
==문화==
* [[멕시코 해군]] 참고.
+
===스포츠===
 +
[[멕시코 합중국/스포츠]] 문서 참조.
  
==공군==
+
==최후==
* [[멕시코 공군]] 참고.
+
지금은 카페장이 군대간다고 잠수타서 --사실상--죽었다.
  
== 둘러보기 ==
+
== 각주 ==
{{가상국가 목록}}
 
=== 각주 ===
 
 
{{각주}}
 
{{각주}}
[[분류:가상국제연합 비상임이사국]]
 

2021년 2월 2일 (화) 04:41 기준 최신판

아틀란틱 유니버스-세계.png
소속 국가
제나라
스위스
멕시코 합중국 배너.png
멕시코 합중국
United States of Mexicano
하위 문서
역사국방설정행정구역
역사
(Historia de México)
메소아메리카 문명식민지근대현대
올멕

마야

테오티우아칸

테노치티틀란

톨텍
아즈텍 제국스페인 제국
누에바
에스파냐
멕시코 제국멕시코 연방 공화국멕시코 합중국
틀락스칼텍
사포텍
믹스텍
타라스칸
멕시코 합중국
United States of Mexican
Estados Unidos Mexicanos
멕시코 국기.png
국기
멕시코 국장.png
국장
국호멕시코 합중국
United States of Mexican
상징국가조국에 평화를
국화선인장
국조독수리
자연
환경
면적면적 1,964,375㎢
인문
환경
인구수130,759,523명
공용어영어, 스페인어
종교국교 없음
정치국체공화제
정체이원집정부제
국가요인대통령맨체스터
총리대행화필
중의장해산 상태
참의장해산 상태
경비실박이현
경제GDP$6,855,591,031,367
1인당 GDP$52,429
GDP(PPP)$5,373,431,838,162
1인당 GDP(PPP)$41,094
구매력세계 11위
규모세계 13위
공식 화폐운드(UND), 페소(MXN)
국가표준법정연호서력기원
시간대동부UTC -8
중부UTC -7
서부UTC -6
주소카페네카 아이콘.png 카페
멕시코 위치.png
위치
언어별 명칭
스페인어México / Estados Unidos Mexicanos
태국어เม็กซิโก
나와틀어Mexihco / Mexihco Tlacetililli Tlahtohcayotl
영어Mexico / United States of Mexicano
독일어Mexiko
러시아어Мексика
아랍어المكسيك
에스페란토Meksiko
이탈리아어Messico
포르투갈어México / Estados Unidos Mexicanos
일본어メキシコ
중국어墨西哥(Mòxīgē)
터키어Meksika
프랑스어(Le) Mexique
한국어멕시코 / 멕시코 합중국
문화어메히꼬 / 메히꼬 련방(멕련)
히브리어מקסיקו
힌디어मेक्सिको

역사

상징

국기

초록색은 멕시코의 독립성과 풍부한 천연자원 및 자연삼림을, 하얀색은 통일성과 정직함 그리고 나라의 평화를, 빨강색은 민족의 화합과 독립운동가들의 헌신과 희생을 상징한다. 가운데에 있는 독수리 문장은 독수리가 선인장 위에 앉아 날개를 펴고 입에 뱀을 물며 발톱을 내민 듯한 모습으로 "독수리가 뱀을 물고 있는 호수의 자리에 국가를 세우라"라는 아스텍의 수도 테노치티틀란의 건국 전설을 나타낸 것이다.

국장

가운데에는 발톱에 뱀을 잡은 채로 선인장 위에 서 있는 황금독수리가 그려져 있는데 이는 독수리가 뱀을 물고 앉아 있는 호숫가의 선인장이 있는 곳에 도읍을 세우라는 아즈텍의 테노치티틀란 전설에서 유래된 것이다. 국장 왼쪽에는 참나무 가지가 그려져 있으며 국장 오른쪽에는 월계수 가지가 그려져 있다. 국장 아래쪽에는 멕시코의 국기를 구성하는 색인 초록색, 하얀색, 빨간색의 리본이 참나무 가지와 월계수 가지를 묶고 있다.

국가

정치

국가형태

1차 헌법 때만 해도 멕시코의 국명은 합중국이 아니라 공화국이었으며, 단일국가였다. 그러나 2차 헌법이 들어서면서부터 각 주(州)의 권력 및 자주권이 강화돼, 사실상 연방국가화 되었다.

정부형태

1차 헌법

1차 헌법 당시 멕시코는 대통령 중심제, 그것도 제왕적 대통령 중심제를 채택하였다. 이때문에 3권분립이라곤 하나 한국처럼 대통령이 사법부 수장을 임명하였으며, 심지어 국회를 해산할 권한을 갖기도 했다.

2차 헌법

2차 헌법 당시 멕시코는 의원내각제를 채택하였다. 이시기 수상(대통령)의 권한은 크게 약화되었고, 의회와 사법권력이 강화되었다. 의회는 외교정책을 심사할 상설위원회를 가졌고, 사법부 판관직들은 종신직으로 바뀌었다.

3차 헌법

3차 헌법 현재 멕시코는 2차 헌법 때와 동일하게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의회가 단원제에서 양원제가 되어, 중의원과 참의원으로 나뉘게 되었다. 다만, 여느 양원제 국가와 같이 멕시코 또한 중의원 우월원칙을 채택하며, 총리는 중의원에서 선출한다. 또한, 의회의 외교위원회가 사라져 총리가 이전보다 외무 부문에 더 수월히 임할 수 있게 되었다.

선거

멕시코에서 국민이 직접 하는 선거에는 네 종류가 있는데, 바로 중의원의원선거, 참의원의원선거, 전국동시지방선거, 국민투표가 그 네 종류이다. 중의원의원선거의 경우 현재 지역구의원 250인과 비례대표의원 250인을 선출하고 있으며, 참의원의원선거의 경우 비례대표의원 300인, 지방선거의 경우 지방의회의원(전석 지역구선출) 및 주지사, 관구장 등을 뽑고 있다. 국민투표는 어떠한 안건에 대한 국민의 찬반여부를 묻는 선거로, 아직까지는 열리지 않았다.

멕시코 공화국 국회의원 총선거

멕시코 합중국 중의원의원선거

멕시코 합중국 참의원의원선거

멕시코 전국동시지방선거

정당

연립여당

  • 멕시코사회혁명당

당대표는 최민이며, 총리를 배출한 좌파정당이다.

당명칭멕시코사회혁명당
대표최민
당이념좌익
참의회 의석65석 (21.7%/100%)
중의회 의석155석 (31%/100%)
양당합당일2019년 1월 29일
  • 민주당

당대표는 조윤상이며, 내각에 참여한 중도좌파 정당이다.

당명칭민주당
대표조윤상
당이념중도좌익
참의회 의석41석 (13.7%/100%)
중의회 의석101석 (20.2%/100%)
창당일2019년 1월 27일
  • 주체노동당

당대표는 경동이며, 내각에 참여한 극좌파 정당이다.

당명칭국민자유당
대표최고위원경동
당이념극좌익
참의회 의석24석 (8%/100%)
중의회 의석21석 (4.2%/100%)
창당일2019년 1월 27일

야당

  • 멕시코 자유당

당대표는 Andrew Ryan이며, 우파 정당이다.

당명칭멕시코 자유당
대표최고위원Andrew Ryam
최고위원아랍어[1], 박이현, 한유, 남상은
당이념우익
참의회 의석169석 (56.3%/100%)
중의회 의석200석 (40%/100%)
3당합당일2019년 2월 1일
전신자유미래당, 한나라당, 자유선진당
  • 바른미래당

당대표는 Enrique Serena(윤정한)이며, 우파 정당이다.

당명칭바른미래당
대표최고위원Enrique Serena(윤정한)
당이념우익
참의회 의석0석 (0%/100%)
중의회 의석22석 (4.4%/100%)
창당일2019년 2월 18일

원외정당

  • 1824 동맹

당대표는 Manuel Cruz이며, 극우 정당이다.

당명칭1824 동맹
대표Manuel Cruz
당이념극우익
참의회 의석0석 (0%/100%)
중의회 의석0석 (0%/100%)
창당일2019년 2월 16일

외교

멕시코는 가상국제연합 소속 비상임이사국으로, 1개의 동맹국과 15개의 일반수교국이 있다.

동맹국 일반수교국
앨런제국, 월본 대부여국, 빈트제국, 메트로사이버공화국, 프로이센 공화국, 북아프리카연방, 대한국, 프랑스 공화국, 몰도바 인민 공화국, 루마니아 왕국, 싱가포르, 아사달 공화국, 중화민국, 포르모사 공화국. 오스만 투르크,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

경제

1970년대 수입대체산업화 정책, 다른 말로 보호무역 정책이 막을 내리고, 멕시코 정부는 상당기간 석유에만 수출을 의존한다. 멕시코 정부는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수많은 외채를 빌려였으나, 1981년 이후 유가가 하락하기 시작하며, 멕시코 경제는 아직까지도 침체기를 겪고 있다. 멕시코는 현재 공업과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90%를 넘어가며, 이는 멕시코 정부에서 1981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오랫동안 고수해온 저임금 저곡가 정책의 여파가 컸다는 지적이 있다. 참고로, 멕시코의 공인 화폐는 UND와 페소지만, 페소는 사실상 쓰이거나 발행되지 않은 채로 방치되어 있고, 대부분의 민간 또는 공용 간의 거래가 UND로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 있다.

자연

기후는 북부와 남부가 다르다. 유카탄 같은 남부 해안지대는 고온다습하며 북부는 건조하고 뜨겁다. 국토 대부분이 아열대와 열대에 걸쳐 있으며 브라질과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멕시코 하면 열사의 나라가 생각나는 것도 북부의 이미지. 중부 고산지대는 우기를 제외하고는 건조한 온대성 기후이며 나머지 국토는 아열대 기후이다. 소노라 등 사막 지역에서는 50˚C를 넘는 기온이 기록되기도 한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제일 더운 곳이 바로 멕시코 북부 그 중에서도 소노라 사막이며 이 사막은 캘리포니아의 모하비 사막과 같은 사막으로 이어진다. 아프리카에 사하라가 있다면 아메리카에는 이 사막이 있는 셈. 멕시코 북부는 여름에는 짤 없이 40-45도의 온도에서 몸이 구워지는 곳이다. 사막답게 일교차도 극심하다.

행정구역

멕시코에는 수십 개가 넘는 주(州)가 있다가, 풋볼 데 축구신 대통령의 통합으로 인해 공룡 6개주만이 남았다. 그러나 나머지 26개주는 최근 주지사가 임명하는 방식으로 바뀌어, 그 명맥만은 잇게 되었다.

관구, 주 주도 소속 주
바하르칼리포니아 주 티후아나 (Tijuana) 바하 칼리포니아 수르 (Baja California Sur)
치와와 주 치와와 (Chihuahua) 소노라 (Sonora), 시날로아 (Sinaloa), 두랑고 (Durango), 나야리트 (Nayarit), 사카테카스 (Zacatecas), 할리스코 (Jalisco), 콜리마 (Colima), 아과스칼리안테스 (Aguascalientes)
유카탄 연방주 메리다 (Mérida) 타바스코 (Tabasco), 캄패체 (Campeche), 치아파스 (Chiapas), 킨타나 로오 (Quintana Roo)
멕시코시티 수도관구 멕시코시티 (Ciudad de México) 과나후아토 (Guanajuato), 이달고 (Hidalgo), 케레타로 (Querétaro), 멕시코 (México), 베라크루즈 (Veracruz), 푸에블라 (Puebla), 모렐로스 (Morelos), 틀락스칼라 (Tlaxcala)
오악사카 연방주 오악사카 (Oaxaca) 미초아칸 (Michoacán), 게레로 (Guerrero)
타미올리파스 주 시우다드 빅토리아 (Ciudad Victoria) 산 루이스 포토시 (San Luis Potosí), 코아우일라 (Coahuila), 누에보 레온 (Nuevo León)

국방

교통

언어

멕시코에 특별히 공용어는 없으나, 대신 국가에서 지정한 60여개의 국어가 존재한다.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는 스페인어인데, 이는 과거 스페인 제국 지배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언어는 원주민어, 영어 순이다.

종교

인구의 80% 정도가 가톨릭 신자들이나, 15%를 차지하는 개신교도 상당수이고 약간의 무신론자 내진 무종교인과 유대교 신자들이 공존하고, 이집트, 수단, 차드 등 북아프리카에서 일하러 온 노동 이민자들은 무슬림이다. 라틴아메리카가 다 그렇듯 기독교가 주류이고 다른 종교는 오랫동안 공존한 유대교나 최근 늘고 있는 아프리카 이민자들이 믿는 이슬람만 있다. 그나마 무슬림 인구는 5천명~1만명 정도밖에 못 미치고 유대교 신자들도 1%에 불과해 거의 없는 걸로 봐도 무방하다.

치안

멕시코의 치안은 안 좋은 것으로 유명하나, 의외로 시내에 들어가 보면 꽤 괜찮은 곳이 많다. 사실 멕시코도 여느 국가들과 같이 빈민촌은 치안이 나쁘고, 부유촌은 치안이 좋다. 다만 미국과의 국경에 마약 카르텔들이 결집하여, 그 지역 일대는 치안이 전세계적으로도 최악인 곳으로 꼽힌다. 지난 2017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시 10곳 중 5곳이 멕시코 도시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

스포츠

멕시코 합중국/스포츠 문서 참조.

최후

지금은 카페장이 군대간다고 잠수타서 사실상죽었다.

각주

  1. 부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