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보예 지젝" 문서와 "후안 도밍고 페론" 문서 사이의 차이

(문서 사이의 차이)
(새 문서: ||<tablewidth=92%><tablebordercolor=#B22222>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사회주의(1)}}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새 문서: ||<tablewidth=92%><tablebordercolor=#B22222>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75aadb; float: right...)
 
1번째 줄: 1번째 줄:
 
||<tablewidth=92%><tablebordercolor=#B22222>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tablewidth=92%><tablebordercolor=#B22222>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사회주의(1)}}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75aadb; float: right; max-width: 420px; font-size: 10.5pt;"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000; float: right; max-width: 420px; font-size: 10.5pt;"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aadb 0%, #75aadb 20%, #75aadb 40%, #75aadb 60%, #75aadb 80%, #75aadb)" | 아르헨티나 공화국 제29·39대 대통령<br>{{글씨 크기|14|후안 도밍고 페론}}<br>Juan Domingo Perón
 +
|-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Juan Domingo Perón.jpg]]</div>
 +
|-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75aadb; color: #fff;" | 출생
 +
| 1895년(1893년)[* 바레이로 박사에 의해 밝혀짐.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49600 페론의 출생비밀]] 10월 8일
 +
|-
 +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주 로보스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20%, #000 40%, #000 60%, #000 80%, #000)" | {{글씨 크기|14|슬라보예 지젝}}<br>Slavoj Žižek [* [[슬로베니아어]]와 가까운 [[세르보크로아트어]] 표기법에 맞는 표기는 '''슬라보이 지제크'''이다. 참고로 슬로베니아어의 ž는 [[프랑스어]]의 j와 같은 발음이다(IPA로 [ʒ]).]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75aadb; color: #fff;" | 사망
 +
| 1974년 7월 1일 (향년 78세)
 
|-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Slavoj Žižek 2015 (cropped).jpg|1000px]]</div>
+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주 로보스
 
|-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출생
+
! rowspan="4" style="background: #75aadb; color: #fff;" | 재임기간
| 1949년 3월 21일 (75세)
+
| style="background: #F5F5F5;" | 제29대 대통령
 
|-
 
|-
|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류블랴나
+
| 1946년 6월 4일 ~ 1955년 9월 21일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국적
+
| style="background: #F5F5F5;" | 제39대 대통령
| 슬로베니아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모교
+
| 1973년 10월 12일 ~ 1974년 7월 1일
| 베지그라드 문법 학교
+
|-
류블랴나 대학교<sub> (BA, MA, DA)</sub>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yoonjm"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 auto; padding: 6px -1px 11px; padding-left: 7px; width: 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none;"><div style="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파리 제8대학교<sub> (PhD)</sub>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yoonjm"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 style="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bottom: -13px; margin-top: -1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75aadb; color: #fff;" | 사상
 +
| [[페론주의]]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경력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75aadb; color: #fff;" | 최종 당적
| 류블랴나 대학교 교수
+
|{{정당박스|'''정의당'''|#75aadb|#fff}}
뉴욕 대학교 교수
 
버크벡 런던 대학교 교수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학파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75aadb; color: #fff;" | 배우자
| [[대륙철학]], 류블랴나 정신분석학파[* 슬로베니아 학파라고도 부른다.], [[라캉주의]], 포스트 헤겔주의, 프로이트-[[마르크스주의]],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영문 위키 참조 [https://en.wikipedia.org/wiki/Slavoj_%C5%BDi%C5%BEek #] Post-Hegelianism, Freudo-Marxism][* 일반적으로 '포스트 마르크스주의'라고 분류되지만, 지젝은 포스트 마르크스주의를 여러 차례 비판해 온 바 있으며, 또한 학문으로서의 포스트 마르크스주의는 보통 라클라우와 무페만을 포함한다. 이것은 포스트 마르크스주의가 넓은 범주이기 때문이다.]
+
| 아우렐리아 티손 {{{-2 (1929년 결혼; 1938년 사별)}}}
 +
[[에바 페론]] {{{-2 (1945년 결혼; 1952년 사별)}}}
 +
[[이사벨 페론]] {{{-2 (1961년 결혼)}}}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직업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75aadb; color: #fff;" | 약력
| 철학자, 작가
+
| 아르헨티나 부통령
 +
정의당 대표
 +
아르헨티나 전쟁부장관
 +
아르헨티나 노동사회복지부장관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배우자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75aadb; color: #fff;" | 최종계급
| [[리나타 샬레클]]
+
| 육군 대장
[[옐라 크레치치]]<sub> (2013 - )</sub>
 
 
|-
 
|-
 
|}</div></div>
 
|}</div></div>
 +
|}
  
 
{{목차}}
 
{{목차}}
43번째 줄: 57번째 줄:
 
==개요==
 
==개요==
  
'''슬라보예 지젝'''은 유고슬라비아 출신의 [[대륙철학자]]이자 [[헤겔]], [[카를 마르크스|마르크스]], [[자크 라캉]] [[정신분석학]],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기반한 비판이론가이다. 그는 정치이론, 영화이론, 이론정신분석학에 공헌을 해왔다.
+
'''후안 도밍고 페론'''은 아르헨티나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1943년]]의 군사 쿠데타에 참여하여 군사정부의 내각에 입각, 노동부장관을 지냈다. [[1944년]] ~ [[1946년]] [[부통령]], [[1946년]] ~ [[1955년]], [[1973년]] ~ [[1974년]] [[대통령]]을 지냈다.
  
그와 그의 철학을 따르는 학파를 류블랴나 정신분석학파 혹은 슬로베니아 학파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중에게는 철학자로서도 유명하지만 정치에 대해 여러 논평을 남기는 것으로서 더 유명하다. '[[MTV]] 철학자'라는 수식어가 붙을 만큼 대중 친화적인 행보 덕에 다른 대륙철학자들에 비해서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꽤 높은 편이다.
+
이른바 '[[페론주의]]'를 창시한 인물로 오늘날 아르헨티나 역사에 큰 영향을 끼친 사람이다. 후임인 [[카를로스 메넴]][* 메넴은 시기상 후안 페론과 직접 만남을 가졌고, 1973년 라 리오하 주지사 선거에서도 페론의 후광에 힘입어 당선되기도 했다. 다만 훗날 대통령에 당선된 후에는 페론과 대비되는 신자유주의 정책을 펼쳤다.]이나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 대통령도 페론당 출신이다.[* 성향 자체는 후안 페론과 완전히 같지 않다.] 그의 사상이 [[파시즘]]과 [[사회주의]] 중 어느 쪽에 가까운지에 대해 현재도 논란이 있다.[* 국내 보수언론에서는 단순히 좌파 포퓰리스트 정도로 취급하기도 하지만, 그렇게 이분법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인물이다. 실제 그는 크로아티아의 [[안테 파벨리치]] 등 나치 인사를 받아들이고, 독재자들과 교류하는 등 파시즘적인 면모도 보였지만, 반대쪽 인사들도 잘 받아들이면서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리고 내치에서도 세속주의, 소수자 배려 등 사회적 차별 해소나 빈민 구제에 제법 힘쓴 것도 사실이다. 후안 페론의 정책을 부정하며 등장한 군사정권이 아르헨티나의 경제를 오히려 악화시켰기 때문에 재평가받는 측면도 있다.]
  
 
==각주==
 
==각주==
 
[각주]
 
[각주]
 +
 +
==둘러보기==
 +
{{사회주의(1)}}

2024년 6월 5일 (수) 09:10 기준 최신판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아르헨티나 공화국 제29·39대 대통령
후안 도밍고 페론
Juan Domingo Perón
Juan Domingo Perón.jpg
출생 1895년(1893년)[1] 10월 8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주 로보스
사망 1974년 7월 1일 (향년 78세)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주 로보스
재임기간 제29대 대통령
1946년 6월 4일 ~ 1955년 9월 21일
제39대 대통령
1973년 10월 12일 ~ 1974년 7월 1일
[ 펼치기 · 접기 ]
사상 페론주의
최종 당적 정의당
배우자 아우렐리아 티손 (1929년 결혼; 1938년 사별)

에바 페론 (1945년 결혼; 1952년 사별)
이사벨 페론 (1961년 결혼)

약력 아르헨티나 부통령

정의당 대표
아르헨티나 전쟁부장관
아르헨티나 노동사회복지부장관

최종계급 육군 대장

개요

후안 도밍고 페론은 아르헨티나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1943년의 군사 쿠데타에 참여하여 군사정부의 내각에 입각, 노동부장관을 지냈다. 1944년 ~ 1946년 부통령, 1946년 ~ 1955년, 1973년 ~ 1974년 대통령을 지냈다.

이른바 '페론주의'를 창시한 인물로 오늘날 아르헨티나 역사에 큰 영향을 끼친 사람이다. 후임인 카를로스 메넴[2]이나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 대통령도 페론당 출신이다.[3] 그의 사상이 파시즘사회주의 중 어느 쪽에 가까운지에 대해 현재도 논란이 있다.[4]

각주

  1. 바레이로 박사에 의해 밝혀짐. 페론의 출생비밀
  2. 메넴은 시기상 후안 페론과 직접 만남을 가졌고, 1973년 라 리오하 주지사 선거에서도 페론의 후광에 힘입어 당선되기도 했다. 다만 훗날 대통령에 당선된 후에는 페론과 대비되는 신자유주의 정책을 펼쳤다.
  3. 성향 자체는 후안 페론과 완전히 같지 않다.
  4. 국내 보수언론에서는 단순히 좌파 포퓰리스트 정도로 취급하기도 하지만, 그렇게 이분법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인물이다. 실제 그는 크로아티아의 안테 파벨리치 등 나치 인사를 받아들이고, 독재자들과 교류하는 등 파시즘적인 면모도 보였지만, 반대쪽 인사들도 잘 받아들이면서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리고 내치에서도 세속주의, 소수자 배려 등 사회적 차별 해소나 빈민 구제에 제법 힘쓴 것도 사실이다. 후안 페론의 정책을 부정하며 등장한 군사정권이 아르헨티나의 경제를 오히려 악화시켰기 때문에 재평가받는 측면도 있다.

둘러보기

사회주의 통합
[ 인물 펼치기 ㆍ 접기 ]
[ 기타 펼치기 ㆍ 접기 ]
[ 역사 펼치기 ㆍ 접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