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엄 촘스키" 문서와 "슬라보예 지젝" 문서 사이의 차이

(문서 사이의 차이)
(새 문서: ||<tablewidth=92%><tablebordercolor=#B22222>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000; float: right; m...)
 
(새 문서: ||<tablewidth=92%><tablebordercolor=#B22222>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사회주의(1)}}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1번째 줄: 1번째 줄:
 
||<tablewidth=92%><tablebordercolor=#B22222>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tablewidth=92%><tablebordercolor=#B22222>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
 +
{{사회주의(1)}}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000; float: right; max-width: 420px; font-size: 10.5p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000; float: right; max-width: 420px; font-size: 10.5pt;"
 
|-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20%, #000 80%, #000)" | {{글씨 크기|15|에이브럼 놈 촘스키}}<br>Avram Noam Chomsky[* 음소 표기는 [https://forvo.com/word/avram_noam_chomsky/ /ˈeɪvrəm ˈnoʊm ˈtʃɒmski/]. 국립국어원의 표기 용례 역시 ‘촘스키, 에이브럼 놈’이다. 여기서 Noam의 모음은 영어 coat에서와 같은 이중모음이다. coat를 ‘코어트’라고 적지 않듯 Noam도 ‘노엄’으로 표기하지 않는다. Noam의 어원은 [[히브리어]]'즐거움'을 의미하는 '노암(נֹעַם / nó'am)'이다.]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20%, #000 40%, #000 60%, #000 80%, #000)" | {{글씨 크기|14|슬라보예 지젝}}<br>Slavoj Žižek [* [[슬로베니아어]]와 가까운 [[세르보크로아트어]] 표기법에 맞는 표기는 '''슬라보이 지제크'''이다. 참고로 슬로베니아어의 ž는 [[프랑스어]]의 j와 같은 발음이다(IPA로 [ʒ]).]
 
|-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노엄 촘스키.webp]]</div>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Slavoj Žižek 2015 (cropped).jpg|1000px]]</div>
 
|-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출생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출생
| 1928년 12월 7일 (95세)
+
| 1949년 3월 21일 (75세)
 
|-
 
|-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
|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류블랴나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국적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국적
| 미국
+
| 슬로베니아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직업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모교
| 언어학자, 철학자, 인지과학자, 사회평론가
+
| 베지그라드 문법 학교
 +
류블랴나 대학교<sub> (BA, MA, DA)</sub>
 +
파리 제8대학교<sub> (PhD)</sub>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학력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경력
| 필라델피아 중앙 고등학교<sub> (졸업, 1941~45)</sub>
+
| 류블랴나 대학교 교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sub> (언어학 / B.A.) (1949년)</sub>
+
뉴욕 대학교 교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sub> (언어학 / M.A.) (1951년)</sub>
+
버크벡 런던 대학교 교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sub> (언어학 / Ph.D.) (1955년)</sub>
 
 
|-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경력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학파
| 現 MIT<sub> (언어학과 / 명예교수)[* 연구소 명예교수]</sub>
+
| [[대륙철학]], 류블랴나 정신분석학파[* 슬로베니아 학파라고도 부른다.], [[라캉주의]], 포스트 헤겔주의, 프로이트-[[마르크스주의]],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영문 위키 참조 [https://en.wikipedia.org/wiki/Slavoj_%C5%BDi%C5%BEek #] Post-Hegelianism, Freudo-Marxism][* 일반적으로 '포스트 마르크스주의'라고 분류되지만, 지젝은 포스트 마르크스주의를 여러 차례 비판해 온 바 있으며, 또한 학문으로서의 포스트 마르크스주의는 보통 라클라우와 무페만을 포함한다. 이것은 포스트 마르크스주의가 넓은 범주이기 때문이다.]
現 애리조나 대학교<sub> (언어학과 / 정교수)</sub>
 
 
|-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가족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직업
| 아버지 [[윌리엄 촘스키]] ^^(1896~1977)[* 러시아 제국 볼린현 스타로콘스탄티노프군 쿠펠(현재 우크라이나 흐멜니츠키주 흐멜니츠키구 쿠필) 출신으로, 1913년에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
| 철학자, 작가
어머니 엘시 시모노프스키 ^^(1903~1972)[* 윌리엄 촘스키와 1927년 결혼.]^^
 
의붓어머니 루스 셴델^^[* 윌리엄 촘스키와 1973년 결혼.]^^
 
동생 데이비드 일라이 촘스키 ^^(1934~2021)^^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배우자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배우자
| 캐럴 도리스 샤츠 ^^(1930~2008, 사별)[* 1949년 결혼.]^^
+
| [[리나타 샬레클]]
밸러리아 와서먼 ^^(1963~)[* 2014년 결혼.]^^
+
[[옐라 크레치치]]<sub> (2013 - )</sub>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자녀
 
| 3명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종교
 
| [[무종교]]<sub> ([[무신론]])</sub>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링크
 
| [https://chomsky.info/ 홈페이지]
 
 
|-
 
|-
 
|}</div></div>
 
|}</div></div>
53번째 줄: 43번째 줄:
 
==개요==
 
==개요==
  
미국의 [[언어학자]], [[철학자]], 인지 과학자, 역사가, 사회비평가, 정치운동가, [[아나키스트]], 저술가이며, [[좌파]] 학자이다. [[유대계 미국인]]으로, [[무신론자]]로서 [[과학적 방법론]]을 중시한다 현대 언어학의 아버지로 묘사되기도 한다.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명예교수이며, 애리조나 대학교의 교수이다.
+
'''슬라보예 지젝'''은 유고슬라비아 출신의 [[대륙철학자]]이자 [[헤겔]], [[카를 마르크스|마르크스]], [[자크 라캉]] [[정신분석학]],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기반한 비판이론가이다. 그는 정치이론, 영화이론, 이론정신분석학에 공헌을 해왔다.
  
1945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철학과 언어학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1950년대에 기존의 행동주의 철학에 기반한 구조주의 언어학을 대체하는 생성문법을 창안하였다. 1967년 40세에 [[베트남 전쟁]] 비판과 반전운동을 시작으로 미국의 대외 정책에 대한 비판을 계속하고 있는 미국 [[좌파]][* 현대 미국 민주당의 주류 [[리버럴]]과는 분명히 구분되는 입장이다.]의 상징이다. 본인은 '계속 병원에 간다'고 이야기하지만 건강에 전혀 이상이 없어 보이고, 쉼 없이 강연을 다니고 언론 인터뷰를 하고 수많은 책들을 저술하고 있다.
+
그와 그의 철학을 따르는 학파를 류블랴나 정신분석학파 혹은 슬로베니아 학파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중에게는 철학자로서도 유명하지만 정치에 대해 여러 논평을 남기는 것으로서 더 유명하다. '[[MTV]] 철학자'라는 수식어가 붙을 만큼 대중 친화적인 행보 덕에 다른 대륙철학자들에 비해서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꽤 높은 편이다.
  
 
==각주==
 
==각주==
 
[각주]
 
[각주]
 
==둘러보기==
 
{{사회주의(1)}}
 
{{자유지상주의}}
 

2024년 6월 5일 (수) 09:09 기준 최신판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사회주의 통합
[ 인물 펼치기 ㆍ 접기 ]
[ 기타 펼치기 ㆍ 접기 ]
[ 역사 펼치기 ㆍ 접기 ]
슬라보예 지젝
Slavoj Žižek [1]
Slavoj Žižek 2015 (cropped).jpg
출생 1949년 3월 21일 (75세)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류블랴나
국적 슬로베니아
모교 베지그라드 문법 학교

류블랴나 대학교 (BA, MA, DA)
파리 제8대학교 (PhD)

경력 류블랴나 대학교 교수

뉴욕 대학교 교수
버크벡 런던 대학교 교수

학파 대륙철학, 류블랴나 정신분석학파[2], 라캉주의, 포스트 헤겔주의, 프로이트-마르크스주의, 포스트 마르크스주의[3][4]
직업 철학자, 작가
배우자 리나타 샬레클

옐라 크레치치 (2013 - )

개요

슬라보예 지젝은 유고슬라비아 출신의 대륙철학자이자 헤겔, 마르크스, 자크 라캉 정신분석학,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기반한 비판이론가이다. 그는 정치이론, 영화이론, 이론정신분석학에 공헌을 해왔다.

그와 그의 철학을 따르는 학파를 류블랴나 정신분석학파 혹은 슬로베니아 학파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중에게는 철학자로서도 유명하지만 정치에 대해 여러 논평을 남기는 것으로서 더 유명하다. 'MTV 철학자'라는 수식어가 붙을 만큼 대중 친화적인 행보 덕에 다른 대륙철학자들에 비해서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꽤 높은 편이다.

각주

  1. 슬로베니아어와 가까운 세르보크로아트어 표기법에 맞는 표기는 슬라보이 지제크이다. 참고로 슬로베니아어의 ž는 프랑스어의 j와 같은 발음이다(IPA로 [ʒ]).
  2. 슬로베니아 학파라고도 부른다.
  3. 영문 위키 참조 # Post-Hegelianism, Freudo-Marxism
  4. 일반적으로 '포스트 마르크스주의'라고 분류되지만, 지젝은 포스트 마르크스주의를 여러 차례 비판해 온 바 있으며, 또한 학문으로서의 포스트 마르크스주의는 보통 라클라우와 무페만을 포함한다. 이것은 포스트 마르크스주의가 넓은 범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