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분류:월본 분류:월본의 사건사고 {{월본의 대내외분쟁}} {|class ="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380px;" |-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 300px|가운데 |- | style="color:#757575; text-align:center; width:30%;" | '''정식 명칭''' | style="color:#757575; text-align:left;" | 월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style="color:#757575; text-align:center;" | '''관련자''' |...) |
(차이 없음)
|
2024년 9월 4일 (수) 23:39 판
![]() | |||||
연도 | 정부 | 사건이름 | 관련인 | ||
---|---|---|---|---|---|
2018년 5월 | 구창모 정부 | 앨런, 하늘미르 등 서구와 외교마찰 | 구창모, 앨런, 하늘미르 | ||
2018년 9월 | 모창민 정부 | 대한국의 군사 도발 | 모창민, 대한국 (한비자, 이원 황제) | ||
2019년 2월-3월 | 민주우 정부 | 구창모 게이트 | 구창모, 포장 | ||
혁명공산당 내란 사건 | 혁명공산당 (나카모토 사토시, 멘체스터 등) | ||||
2019년 9월 | 전영록 정부 | 청아그룹 퇴출 사건 | 리한, 청아, 전영록 정부 | ||
2019년 10월 | 리한 사태 | 리한그룹 (리한) | |||
2019년 11월 | 민주우 정부 | 하나국 디자인 분쟁 | 민주우, 장현 | ||
2021년 1월 | 이맹박 정부 | 월본의 가상국제연합 탈퇴 | 이맹박, 가상국제연합 | ||
2021년 1월 | 구창모 권한대행 | 월본사회주의연방 사건 | 나의재, 문대성, 전영록 | ||
2022년 1월 | Mirai 정부 | 월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건 | 전월본공산당 (한비자, 까마귀, 한유 등) | ||
2023년 2월 | 다카기 그네 정부 | 2023년 월본 헌정위기 | 육성준, 다카기 그네, 박헌희, 윤건희, 세이시로 등 | ||
2024년 6월 | 마츠다 하루토라 정부 | 2024년 월본 헌정위기 | 마츠다 하루토라, 에지스, 구창모, 수보, 미라이 등 | ||
6.18 테러 | 마츠다 하루토라, 타츠바나 요쿠온 등 | ||||
2025년 1월 | 아사모토 강치 정부 | 월본 정부와 기업 간 충돌 사태 | 대한청아, 시나노, 경제특수본, 사법부 | ||
2025년 5월 | 아사모토 강치 정부 비상사태 파동 | 아사모토 강치, 하로히토 |
정식 명칭 | 월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관련자 | 한비자 * 우주상수 * 까마귀 * 한유 등 |
카페 주소 | ../joseondynastie[1] |
2022년 1월 24일 전월본공산당과 Mirai 정부의 시민권 분쟁 마찰로 촉발된 불법 점거, 반국가단체 결성 범죄 사건이다. 1년전 유사사례가 있었지만 가벼운 대처로 대응하다가 점점 규모를 확장해 국내외 외교권 마찰과 경제계 침탈 등 상당한 피해를 끼쳤다.
공산당 인사들, "월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확인…
별도 카페 만들고 월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 업로드… 제2의 혁명공산당 사태? — WBS보도
전월본공산당 조직 결성
2022년 1월 23일 전월본공산당으로 하나둘씩 집결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정치에 입성하기 위해서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시민권이 필요한데 당시 Mirai 정부는 국적법 전부개정법률안을 발의하면서 한비자 등 공산당 관련인들에게 국적을 박탈했다. 이에 한비자 대표는 외부인이 아니라며 정부를 비판했다.# WBS보도에 따르면 국적 박탈시점에 이미 반국가단체를 수립했다.
명단사건, 유신회와 공산당의 대립
Mirai 정부와 월본 유신회에서는 국적과 관련해서 국적을 취득할 수 없는 명단을 공개했는데[2] 월본국민당의 여혜진대표의 입장#에 따르면 전직 총리나 의장[3]부터 타국가의 인사[4]들까지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자칫 외교문제로 비화될 수도 있던 부분이다.[5] 정순연은 SNS에서 가국련의 원로 명단에서 들고 온 것 같다#고 했다. 까마귀는 Mirai 내각을 '파쇼 내각'이라며 비판했다.# 이들은 후술할 창작물 도용사태에서도 모든 문제의 원흉으로 Mirai 내각과 유신회를 지목했다.[6]
한국가상커뮤니티와의 3파전
하루가 지나 1월 24일 한가커가 월본을 참칭한 반국가단체를 가입하는 것에 승인했다.# 이는 이들이 국가로 인정한다는 뜻이다. 한가커 사무총장실 까마귀는 곧바로 제2호 명령: 월본국 관련 사태 불간섭 명령을 선언했다.[7]
공산당 세력들이 한가커 가입과정에서 월본의 지도와 설정을 그대로 가져다가 쓴 정황이 보도된다.#
월본국민당 여혜진대표는 한가커 탈퇴를 주장했다. 월본 국황사에서도 사건을 주시하고 있으며 정부와 정치권 핫라인을 통해 사태 해결과 처리를 주문했다. 1월 25일 내각은 대장동을 내란소요사태 특명대신으로 임명해 대응하기 시작했다.# 같은 날 돌연 월민공 세력이 한가커를 탈퇴했다.# 정부는 다시 외국인 비자 발급을 재개하며 사태 복구에 돌입했다.
1월 28일 여혜진 대표는 한가커의 탈퇴를 거듭 주장하며 여론조사를 벌였다.# 이런 이유로 한가커에서 추방되었다.#
1월 29일 Mirai 정부는 내란사태 관련자들을 추방하고 입국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까마귀님 외 10인에 대한 추방 및 입국금지 행정명령 一. 2022년 1월 29일 18시 20분부로 아래에 열거하는 자를 국내에서 추방한다. 그 부계정에 대해서도 같다. |
---|
창작물 도용 사태
[8] |
2022년 2월 2일 월민공으로 창작물들이 도용되어 2차 가공을 하고 있다는 정확이 보도된다.#
카페 운영진은 긴급하게 카페를 비공개로 전환했다.[9] 현성전자의 짭짭한 소금은 고객들에게 무단 전제에 대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는 입장을 냈다.#
WBS 마저 도용을 당했다."WBS는 월본,하늘미르,가상방송 커뮤니티에만 진출한 상황으로 기타 단체/국가에는 진출한적 없습니다." WBS는 사건 대응책으로 워터마크를 도입했다.# 이후 현성전자나 다른 기업들도 워터마크를 도입해 불펌을 방지하고 있다.
더이상 흥미를 잃어 스스로 붕괴한것으로 추정된다. 사건 주동자들은 2022년 11월 사면되어 재입국했다. 이 행위들을 언급하며 사과하기도 했다.
반응
- HaonY : #
국외
각주
- ↑ 현재는 폐쇄되어 접근이 불가능하다.
- ↑ 지금은 삭제한 상태로 찾아 볼 수가 없으나 관련글들에 남아있는 정보로 유추는 가능하다. https://cafe.naver.com/wubongov/8028
- ↑ 나노, 승현, 하은우
- ↑ 하은우(하늘미르), 둘기(대부여국), 윤정한, 정의화 등
- ↑ 로베르토는 자칫 외교적 문제로 비화될까 걱정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월본 측이 현명하게 해결해주실거라 믿습니다.라며 덧붙였다.
- ↑ 본인들의 월본 정계 입성을 거부했기 때문..
- ↑ 현재는 삭제되어 열람할 수 없지만 당시 정순연의 SNS로는 일부 소요세력의 분란 행위를 ´월본국-월본인민공화국 간 정치 소요사태´로 규정했다고 한다.
- ↑ 월본의 IT기업 현성전자의 AQUA S3 제품을 월민공의 우리강산공업소에서 불펌해서 제멋대로 아리랑이라는 제품명을 붙여 2차가공을 하고 심지어 다시 월본국으로 공유한 글을 캡쳐한 사진이다. 제공 짭짭한 소금. 이것은 예시일뿐 현성전자의 제품들과 WBS의 자료들이 무단으로 불펌되었다. 현성그룹도 잠시 카페를 비공개로 돌렸고 이후 워터마크를 도입했다. 월본철도당국은 발빠르게 자료들을 삭제하여 대처했다.
- ↑ 비공개 카페는 가입한자 외에는 볼 수가 없다. 비공개로 전환한 뒤 게시물들을 점검하고 조치를 취한 뒤 공개로 전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