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경제국 황립군

군기.png
대경제국 황립군
大敬帝國 皇立軍
대경제국군
대경제국 황립육군대경제국 황립해군대경제국 황립공군
대경제국 황립군

Korea Empire Armed Forces
大敬帝國 皇立軍

군기.png
창립일 1987년 10월 1일
국적 대경제국
편제 육군: 195,000명
해군: 70,486명[1]
공군: 65,550명
총합: 331,036명(2018년)
충원방식 모병제
상비군 331,036명 (2018년)
예비군 약 1,500,000명 (2018년)
지휘체계
명령체계 대경제국 국방부
대경제국 황립총참모본부
본부 청경특별자유시
통수권자 대경제국 황제 전황제 이원(명목상)

대경제국 총리대신 문재인(사실상)

국방장관 대경제국 국방부 대신 정경두
합참의장 대경제국 황립합동참모의장 박한기
군사비
예산 44조 9152억
376억 4,895만 달러
GDP 대비 3.5% (2018)
정부재정 대비 1.9% (2018)
방위산업
국내 공급 주요 공급 업체의 목록
해외 공급 주요 공급 국가의 목록
함께 읽기

개요

대경제국의 군(軍)이다.

상세

대경제국의 정규군(正規軍)으로 육군, 해군, 공군의 3군체제이다. 해군에는 해병대를 두고, 황립군의 통수권자는 헌법과 법률에 따라 대경제국 황제에게 있다. 대경제국영토국민, 재산을 수호하는 임무가 있다. 대경민국 시절 발달된 공군해군을 통해 동북아시아에서 제해권·제공권을 움켜쥐고 있다. 허나 육군은 인적자원과 기술 면에서 많이 취약한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에 오히려 섬나라일본은 육군의 군사력이 높은 반면 해군이 약하다.[2]

이름

정식 명칭은 대경제국 황립군(大敬帝國 皇立軍)으로 불리며 이 표제어를 통해서도 이 문서에 들어갈 수 있다. 별칭으로 대경제국을 뺀 '황립군(皇立軍)'을 쓰거나 국군(國軍)이란 표현도 쓴다.

수뇌부

직책명 황립군통수권자
皇立軍 統帥權者
총리대신
總理大臣
국방부대신
國防部大臣
황립합동참모의장
皇立合同參謀議長
황립육군참모총장
皇立陸軍參謀總長
황립해군참모총장
皇立海軍參謀總長
초상화 전황제 이원.png 문재인 총리대신(대경제국).jpg 정경두.png 박한기.png 서욱.png 심승섭.png
이름 이원 문재인 정경두 박한기 서욱 심승섭
취임일 2017년 10월 25일 2017년 5월 12일 2018년 9월 21일 2018년 10월 11일 2019년 4월 16일 2018년 7월 19일
직책명 황립공군참모총장
皇立空軍參謀總長
호국위원장 겸 호국경
護國委員長 兼 護國卿
지상작전사령관
地上作戰司令官
제2작전사령관
第二作戰司令官
국방부정무차관
國防部政務次官
황립군총무부장
皇立軍總務府長
초상화 원인철.png 배연소.png 남영신.png 황인권.jpg 박재민.jpg 김수남.png
이름 원인철 배연소 남영신 황인권 박재민 김수남
취임일 2019년 4월 16일 2019년 5월 8일 2019년 4월 16일 2018년 10월 5일 2019년 5월 23일 2019년 6월 10일

※2019년 12월 기준

현 황립군 통수권자는 전황제 이원이다. 前황제인 청의태상황 이유수로부터 가장 먼저 이양받은게 군 통수권인 만큼 군 통수권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 수 있다.
호국 위원회 위원장호국경은 현임 통수권자인 황제총리에게 '군 통수권 대리자'라는 호칭을 내려 군 통수권을 사실상 위임할 때, 황제는 총리가 제대로 군 통수권을 관장하는지 감시하려고 만든 직책이다. 현 호국경은 배연소 양산 소씨 가문 출신 귀족이다.
총무부공군총장들과 대경제국 황립합동참모의장이 참여하는 군정권을 관할하기 위하여 설치한 군사행정기관으로 각 참모총장들의 군정권을 관할한다. 현 총무부장은 김수남 대장이다.

역사

편제

  • 전황제 이원(통수권)
    • 총리대신(실질적 통수권)

예산

인적 자원

교육 · 훈련

급여

운용 장비

인물

특징

문화

참전 경력

비판

취약한 육군

약한 육군의 군사력 문제는 이미 대경민국 시절부터 제기된 문제였다. [3][4] 이 상황에서 10.26 사건으로 박정희를 위시한 1차 군사 정권이 무너지고 12.12 사태 발발로 집권한 전두환의 2차 군사 정권을 시작으로 육군에 대한 지원이 시작됐는데 신군부의 인사 다수가 육군 출신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육군 지원 정책도 제정 복고 이후에는 모두 중단된다. 초기 대경제국의 외교 정책에 따라 주경미군도 제정 복고 이후에도 계속 평택에 주둔했었다. 허나 중립 외교 정책이 철회된 2002년을 기점으로 주경미군이 철수하자 이 때부터 육군에 대한 지원 논의가 시작되어 해외에서 육군 기술자들을 초빙하고 육군 사관학교에 대한 지원도 증강하는 조치들을 내린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를 내린지 얼마 안되어 2008년에 일어난 세계 금융 위기로 또다시 지원 정책이 중단되어 현재에 이른 것이다.
현대에 육군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졌다는 분석이 있지만 육군이 없다면 무슨 일이 생길까? 섬나라라면 모를까 대륙과 접한 영토를 가진 나라는 육군이 없으면 적군에게 영토를 그대로 유린당하는 것은 너무 확실히 예정된 일이다. 좋든 싫든 육군은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존재이고 육군이 취약한 대경제국은 지리적 특성에 의해 그 취약함이 더욱 확실히 들어난다. 지난 제정복고 이후 러시아군이 도희준주 국경마을들을 진군했었다는 정황이 포착됐음에도 도희준주 국경수비대는 그 인원이 부족해 감히 가질 못했다는 보고가 무려 40번이나 있었다. 취약한 육군이 미래의 혹시모를 전시에 어떠한 파국을 가지고 올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전체적인 군사력 증강 계획이 정권이 바뀌어서도 계속 해군, 공군 우선주의에 입각해있는 것을 보면 육군을 사실상 포기했다는 극단적인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기타

각주

  1. 해군: 60,246명, 해병대: 10,240명
  2. 일본은 혼슈 중부를 중심으로 분단되있던 역사가 있어서 섬나라라는 지리적 특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육군을 발전시킬 수밖에 없었다. 반면 북부의 일본 민주 공화국은 홋카이도에 영토가 국한된 상태였기에 해군이 발달하였고 지금 일본 해군의 근간이 된다. 물론 그 발달된 해군도 순양함 1척, 구축함 20척, 잠수함 15척, 프리깃 5척이었다.
  3. 박정희는 그럼에도 미국의 군사계획에 따라 해군과 공군 개발에 국가지원금을 할당했고 이는 5.16 군사 쿠데타 시절 부터 박정희에게 충성을 다했던 육군이 박정희에 대한 지지를 철회한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더욱 악화되어 김재규10.26 사건의 도화선으로 작용했다.
  4. 당시 육군이란 민주화 운동과 제정복고 운동을 진압하는 도구라는 인식이 많았다.

둘러보기

대경제국 문장.png
대경제국
大敬帝國
Empire of Korea
대경제국의 역사대경제국의 문화대경제국의 정치대경제국의 경제대경제국의 사회대경제국의 교육대경제국의 군대
대경제국의 지리대경제국의 교통대경제국의 관광대경제국의 행정구역대경제국의 기업대경제국의 황실대경제국의 외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