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람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
{{언어}}
 +
 
||||<table align=right><:> {{{+2 '''ארמיא  / ܐܪܡܝܐ '''}}} ||
 
||||<table align=right><:> {{{+2 '''ארמיא  / ܐܪܡܝܐ '''}}} ||
 
||||<:> {{{+1 '''아람어'''}}} ||
 
||||<:> {{{+1 '''아람어'''}}} ||

2024년 6월 13일 (목) 10:30 기준 최신판

30px세계의 언어
[ 펼치기ㆍ접기 ]
▪ 관련 문서: 언어외국어 · 언어 관련 정보
간다어갈리시아어게일어 · 과라니어광동어 · 고아 콘칸어구자라트어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남부 소토어냔자어노르웨이어 · 네덜란드어네팔어
도그리어독일어 · 덴마크어디베히어
라파누이어 · 라다크어 · 러시아어 · 라오어라트비아어라틴어 · 루샤이어룩셈부르크어르완다어루마니아어 · 리투아니아어링갈라어
몰타어 · 몽골어 · 마인어 · 마니푸리어마케도니아어 · 마라티어마오리어마이틸리어만주어맨어말라가시어말라얄람어말레이어몽어
바스크어 · 벵골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불가리아어밤바라어보스니아어북부 소토어
사모아어산스크리트어세르보크로아트어 · 스웨덴어 · 스와힐리어 · 스페인어 · 스코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소닝케어 · 소말리아어서부 프리지아어세부아노어세르비아어소라니 쿠르드어쇼나어순디어싱할라어
영어 · 이디시어 · 일본어 · 아파르어 · 아랍어 · 아람어 · 암하라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에스토니아어 · 우르두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알바니아어 · 아디게어 · 아이누어 · 이탈리아어 · 오어 · 요루바어 · 이보어아삼어아이마라어아이티어아제르바이잔어아칸어아르메니아어아프리칸스어에스페란토어에웨어오로모어오리아어우즈베크어위구르어이그보어이로코어인도네시아어
중국어 · 저지 독일어 · 조지아어 · 자바어줄루어
체코어총가어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콥트어 · 콘월어 · 코만치어칸나다어케추아어카렐어코르시카어코사어쿠르드어크로아티아어크메르어키르기스어크리오
타밀어타지크어타타르어티베트어 · 튀르키예어 · 통가어 · 태국어텔루구어투르크멘어티그리냐어
파슈토어폴란드어 · 핀란드어 · 프랑스어 · 포르투갈어 · 펀자브어 · 페르시아어 · 페로어 · 풀라어 · 프리지아어필리핀어
한국어 · 헝가리어 · 힌디어 · 히브리어 · 하우사어하와이어호즈푸리어
기타 관련 문서 통역 · 번역 · 사전
ארמיא / ܐܪܡܝܐ
아람어
주요사용국시리아, 이라크, 튀르키예
원어민 약 100만 명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부셈어
북서셈어
아람어
문자아람 문자, 시리아 문자
언어 코드
ISO-639-1-
ISO-639-2arc
ISO-639-3arc

목차

개요

중동 지방에서 쓰이는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고대에는 아람 문자로 표기하였고, 기원후부터는 아람 문자에서 파생된 시리아 문자로 표기하였다.

고대 중동 세계의 공용어였으며 아시리아인유대인을 비롯한 근동인들이 이 언어를 사용하였다. 예수가 활동했을 당시 유대인들이 쓰던 모어(mother tongue)는 아람어의 히브리 방언(내지는 아람어화된 히브리어)이며 구약 일부 구절[1] 역시도 아람어로 되어있다. 때문에 기독교 문화권에서 꽤 중요하게 여겨지는 언어다.

오늘날에는 시리아 정교회, 마론파, 아시리아 동방교회, 칼데아 가톨릭 등 동·서시리아 전례를 따르는 동방교회의 전례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1. 에즈 4,8-6,18; 7,12-16; 다니 2,4-7,28; 예레 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