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붕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미하일 고르바초프}}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cc0000; float: right; max-width: 420px; font-size: 10.5pt;" |- ! colspan="2" style="font...)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파일: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png| 20px]] {{{-1 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소련 붕괴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cc0000; float: right; max-width: 420px; font-size: 10.5p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cc0000; float: right; max-width: 420px; font-size: 10.5pt;"
15번째 줄: 16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cc0000; color: #ffd700; | 발생일시
 
! style="background: #cc0000; color: #ffd700; | 발생일시
| [[1991년]] [[12월 26일]] 오전 2시[br](소련 해체로부터 32년 경과)
+
| [[1991년]] [[12월 26일]] 오전 2시[br](소련 해체로부터 {{Age nts|1991|12|26}}년 경과)
 
|-
 
|-
 
! style="background: #cc0000; color: #ffd700; | 내용
 
! style="background: #cc0000; color: #ffd700; | 내용
21번째 줄: 22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cc0000; color: #ffd700; | 관련 선언
 
! style="background: #cc0000; color: #ffd700; | 관련 선언
| '''[[미하일 고르바초프|고르바초프]] 대통령의 연방 해체 연설'''[br]^^([[1991년]] [[12월 25일]] 발표)^^[br][[파일:유튜브 아이콘.svg|25px|link=https://youtube/q0VNoAIts6M?si=iTUlY9c-P-MB9TsL]]^^(러시아어)^^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5px|link=https://youtube/JUoZqAGqhzI?si=67NxPBmyz0Mmyx_h]]^^(한국어)^^
+
| '''[[미하일 고르바초프|고르바초프]] 대통령의 연방 해체 연설'''[br]^^([[1991년]] [[12월 25일]] 발표)^^[br][[파일:유튜브 아이콘.svg|25px|link=https://m.youtube.com/watch?v=q0VNoAIts6M&feature=youtu.be]]^^(러시아어)^^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5px|link=https://m.youtube.com/watch?v=JUoZqAGqhzI&feature=youtu.be]]^^(한국어)^^
 
|-
 
|-
 
! style="background: #cc0000; color: #ffd700; | 관련 조약
 
! style="background: #cc0000; color: #ffd700; | 관련 조약
31번째 줄: 32번째 줄:
 
==개요==
 
==개요==
 
{{인용문1|Совет Республик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констатирует, что с созданием Содружества Независимых Государств Союз ССР как государство и субъект международного права прекращает свое существование.[br][[소련 최고회의|소련 최고회의 공화국 평의회]]는 [[독립국가연합]] 창설과 함께 [[소련]]이 국가로서 그리고 국제법의 주체로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한다.|[[1991년]] [[12월 26일]] [[소련 최고회의|소련 최고회의 공화국회의]] 선언 142-N호.}}
 
{{인용문1|Совет Республик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констатирует, что с созданием Содружества Независимых Государств Союз ССР как государство и субъект международного права прекращает свое существование.[br][[소련 최고회의|소련 최고회의 공화국 평의회]]는 [[독립국가연합]] 창설과 함께 [[소련]]이 국가로서 그리고 국제법의 주체로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한다.|[[1991년]] [[12월 26일]] [[소련 최고회의|소련 최고회의 공화국회의]] 선언 142-N호.}}
 +
[[1922년]] [[12월 30일]]에 건국된 [[소련]]은 건국 69주년을 4일 앞둔 [[1991년]] [[12월 26일]] 붕괴하였다. 소련이 무너지면서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국가들은 새롭게 국제 사회에 등장하였다. 소련이 해체되면서 [[공산권|공산진영]] 또한 막을 내리며 20세기 후반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세력이 이념적으로 대립하던 '''[[냉전]] 시대가 공식적으로 완전히 막을 내렸다.'''[* 사실 이미 2년 전인 [[1989년]] [[12월 2일]] [[조지 H.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의 [[몰타 회담|몰타 정상회담]]에서 [[냉전]] 종식을 선언하기는 했다. 하지만 [[데탕트]] 같은 사례처럼 당시 소련 지도부의 입장은 소련 정치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유동적으로 변할 위험이 있었으며 이는 완전한 냉전 종식이라고 보기 어려웠다.]
  
[[분류:공산주의]][[분류:사회주의]]
+
1985년 3월 취임한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은 1970년대부터 지속된 [[동구권]]의 경제 침체와 체제의 한계 속에서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페레스트로이카]]를 시행하였고 정치개혁을 통해 소련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는데 소련의 개혁은 소련의 잠재되어 있던 민족 문제가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고, 1989년 7월 분리독립을 원하는 [[발트 3국]]에서 주권 선언을 하게 되었으며 고르바초프는 [[소련 존속에 관한 전연방 국민투표|연방 존속을 묻는 국민투표]]를 하여 연방 유지파에게 유리한 결과가 나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권국가연합]]을 설립하여 연방 해체를 막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는 [[8월 쿠데타]]가 발발하여 무산되었으며 쿠데타를 진압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한 옐친이 실권자가 되었고 옐친은 [[벨라베자 조약]]을 체결하여 소련을 탈퇴하였으며 마지막 구성원인 [[카자흐스탄]]이 탈퇴하고 결국 고르바초프 서기장이 사임하면서 소련은 그 막을 내리게 되었다.
 +
 
 +
==역사==
 +
 
 +
==탈퇴 순서==
 +
 
 +
==각주==
 +
[각주]
 +
 
 +
[[분류:공산주의]][[분류:사회주의]][[분류:1990년/사건사고]][[분류:1991년/사건사고]]
 +
 
 +
==둘러보기==
 +
{{공산주의}}

2024년 4월 29일 (월) 15:15 기준 최신판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png 이름이 같은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소련 붕괴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하일 고르바초프 투명.svg
[ 펼치기 · 접기 ]
생애 생애 
가족

아버지:세르게이 안드레예비치 고르바초프
어머니:마리야 판텔레예브나 고르바초바
아내:라이사 막시모브나 고르바초바
딸:이리나 미하일로브나 비르간스카야

관련 인물 블라디미르 레닌 · 보리스 옐친
평가 평가
고르바초프 시대
사건 · 사고 마티아스 루스트 사건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관련 전쟁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1979~1989)
정책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기타 전략무기감축협정 · 주권국가연맹
link사회주의
소련 붕괴
Распад СССР
Collapse of the USSR

VK6Arf79Oi-n9xIxWRhr0XynAud4GIY87ttLl63OxmgZ fok1FqsY-uoGVx5S0K6h4MO1 iDlFnDjDNfkO46M5NGrCvLyUszQhNH5HPXVCTFtz- 1-OdIeFEH5CM9UMVs8-F2TI sppoRq8g0KH0Xw.webp
PeY tymePx529lpW8v1OZRtyxO6M6mDwh0OPga0nRESBiWrzRVNpHREUH9ufIx5K7-8Ht8h6ILJMdTx 5Qx D7wd9M6OZj9M2WiXXyExC56LN9uzGbxaZSUDeWS95gMoqi6eZT-LYJX7SiyTWoByMQ.webp
레닌제르진스키의 동상 철거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와 러시아 연방의 등장
발생일시 1991년 12월 26일 오전 2시
(소련 해체로부터 32년 경과)
내용 소련의 공식 해체
러시아 등 소련 구성국 15개국의 독립
독립국가연합 창설
주권국가연맹 무력화
완전한 냉전 종결
관련 선언 고르바초프 대통령의 연방 해체 연설
(1991년 12월 25일 발표)
feature=youtu.be(러시아어)feature=youtu.be(한국어)
관련 조약 벨라베자 조약
(1991년 12월 8일 체결)
알마아타 조약
(1991년 12월 21일 체결)

개요

Совет Республик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констатирует, что с созданием Содружества Независимых Государств Союз ССР как государство и субъект международного права прекращает свое существование.
소련 최고회의 공화국 평의회독립국가연합 창설과 함께 소련이 국가로서 그리고 국제법의 주체로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한다.
1991년 12월 26일 소련 최고회의 공화국회의 선언 142-N호.

1922년 12월 30일에 건국된 소련은 건국 69주년을 4일 앞둔 1991년 12월 26일 붕괴하였다. 소련이 무너지면서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국가들은 새롭게 국제 사회에 등장하였다. 소련이 해체되면서 공산진영 또한 막을 내리며 20세기 후반 자본주의공산주의 세력이 이념적으로 대립하던 냉전 시대가 공식적으로 완전히 막을 내렸다.[1]

1985년 3월 취임한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은 1970년대부터 지속된 동구권의 경제 침체와 체제의 한계 속에서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페레스트로이카를 시행하였고 정치개혁을 통해 소련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는데 소련의 개혁은 소련의 잠재되어 있던 민족 문제가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고, 1989년 7월 분리독립을 원하는 발트 3국에서 주권 선언을 하게 되었으며 고르바초프는 연방 존속을 묻는 국민투표를 하여 연방 유지파에게 유리한 결과가 나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권국가연합을 설립하여 연방 해체를 막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는 8월 쿠데타가 발발하여 무산되었으며 쿠데타를 진압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한 옐친이 실권자가 되었고 옐친은 벨라베자 조약을 체결하여 소련을 탈퇴하였으며 마지막 구성원인 카자흐스탄이 탈퇴하고 결국 고르바초프 서기장이 사임하면서 소련은 그 막을 내리게 되었다.

역사

탈퇴 순서

각주

  1. 사실 이미 2년 전인 1989년 12월 2일 조지 H.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의 몰타 정상회담에서 냉전 종식을 선언하기는 했다. 하지만 데탕트 같은 사례처럼 당시 소련 지도부의 입장은 소련 정치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유동적으로 변할 위험이 있었으며 이는 완전한 냉전 종식이라고 보기 어려웠다.

둘러보기

Hammer and sickle.svg공산주의
[ 이념 전반 ]
분파 레닌주의

1.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주체 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 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2.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
룩셈부르크주의 · 좌파공산주의 · 사회적 아나키즘 · 자율주의
그 외: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펠릭스 제르진스키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루이 오귀스트 블랑키·카를 리프크네히트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 사회주의 문화
정당 공산당
상징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탈공산주의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레닌 투명.svg레닌주의 · 스탈린 투명.webp틀:스탈린주의 · 마오쩌둥 투명.svg틀:마오주의
[ 공산주의 역사 ]
역사
  1. 독일농민전쟁 (1524년)
  2.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3. 프랑스 혁명 (1789년)
  4. 의인동맹 창설 (1836년)
  5. 공산주의자 동맹 창설 (1847년)
  6. 제1인터내셔널 성립 (1864년)
  7. 파리 코뮌 (1871년)
  8. 메이데이 총파업 (1886년)
  9. 제2인터내셔널 성립 (1889년)
  10. 10월 혁명 (1917년)
  11. 러시아 내전 (1917년)
  12. 스파르타쿠스 봉기 (1919년 2월)
  13. 코민테른 성립 (1919년 3월)
  14. 소비에트 연방 성립 (1922년)
  15. 제1차 국공 내전 (1927년)
  16.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28년)
  17. 스페인 내전 (1936년)
  18. 대숙청 (1937년 7월)
  19. 제2차 국공 합작 (1937년 9월)
  20. 그리스 내전 (1946년 3월 30일)
  21. 제2차 국공 내전 (1946년 3월 31일)
  22. 냉전 (1947년)
  23. 한국 전쟁 (1950년)
  24. 베트남 전쟁 (1955년)
  25.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26. 대약진 운동 (1958년)
  27. 쿠바 혁명 (1959년)
  28. 문화대혁명 (1966년)
  29. 니카라과 혁명 (1978년)
  30. 페레스트로이카 (1985년)
  31. 동유럽 혁명 (1989년 6월)
  32. 소련의 붕괴 (199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