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제퍼슨" 문서와 "인민민주주의" 문서 사이의 차이

(문서 사이의 차이)
잔글
 
(새 문서: {{공산주의}} {{목차}} == 개요 == '''인민민주주의''' 또는 '''민중민주주의'''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이론상 개념 중 하나이다. 인민민...)
 
1번째 줄: 1번째 줄:
||<tablewidth=92%><tablebordercolor=#B22222> '''실제 인물을 다루는 문서입니다.'''||
+
{{공산주의}}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0d164a; float: right; max-width: 420px; font-size: 10.5pt;"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c224; 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1635, #0d164a 20%, #0d164a 80%, #0D1635)" | 미합중국 제3대 대통령<br>{{글씨 크기|14|토머스 제퍼슨}}<br>Thomas Jefferson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Thomas Jefferson by Rembrandt Peale, 1800.jpg]]</div>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d164a; color: #ffc224;" | 출생
 
| 1743년 4월 13일
 
|-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버지니아 식민지 구치랜드 군[br](現 버지니아 주 구치랜드카운티)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d164a; color: #ffc224;" | 사망
 
| 1826년 7월 4일<ref>[[존 애덤스]]와 같은 날. 세상을 떠났다.</ref> (향년 83세)
 
|-
 
| 버지니아 주 마운트 샬러츠빌
 
|-
 
! rowspan="4" style="background: #0d164a; color: #ffc224;" | 재임기간
 
| style="background: #F5F5F5;" | 제2대 부통령
 
|-
 
| 1797년 3월 4일 ~ 1801년 3월 3일
 
|-
 
| style="background: #F5F5F5;" | 제3대 대통령
 
|-
 
| 1801년 3월 4일 ~ 1809년 3월 4일
 
|-
 
| style="background: #0d164a; color: #ffc224" align=middle | '''서명'''
 
| colspan="4"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div style="margin: -2px -3px">  [[파일:토머스 제퍼슨 서명.svg|150px]]</div>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yoonjm"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 auto; padding: 6px -1px 11px; padding-left: 7px; width: 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none;"><div style="margin: -2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yoonjm"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bottom: -13px; margin-top: -1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d164a; color: #ffc224;" | 부모
 
| '''아버지''' 피터 제퍼슨 ,,(1708 ~ 1757),,[br]'''어머니''' 제인 랜돌프 제퍼슨 ,,(1720 ~ 1776),,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d164a; color: #ffc224;" | 형제자매
 
| 8남매 중 셋째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d164a; color: #ffc224;" | 배우자
 
| 마사 웨일스 스켈턴 제퍼슨 ,,(1748 ~ 1782),,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d164a; color: #ffc224;" | 자녀
 
| 마사 제퍼슨 랜돌프, 제인 랜돌프, 메리 웨일스, 루시 엘리자베스, 엘리자베스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d164a; color: #ffc224;" | 학력
 
| 하버드 대학교 ,,(학사),,[br]하버드 대학교 ,,(석사),,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d164a; color: #ffc224;" | 종교
 
| [[무종교]]([[이신론]])<ref>[[예수]]를 스승으로 믿었지만, 조지 워싱턴처럼 명목상만으로도 성공회 신자가 아니고 그냥 예수의 신성, 기적, 삼위일체 모든 것을 부정한 이신론자이다.</ref>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d164a; color: #ffc224;" | 신체
 
| '''190cm'''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0d164a; color: #ffc224;" | 최종 당적
 
| {{정당박스|'''민주공화당'''|#030381|#fff}}
 
|-
 
|}</div></div>
 
|}
 
 
{{목차}}
 
{{목차}}
  
==개요==
+
== 개요 ==
  
[[분류:대통령]]
+
'''인민민주주의''' 또는 '''민중민주주의'''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이론상 개념 중 하나이다.
 +
 
 +
인민민주주의는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엘리트 전위정당인 [[공산당]]의 지배적 우위하에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반대하는 반동세력은 폭력 및 각종 수단을 이용해 말살하고, 순응하며 동조하는 세력들에는 다당제를 시행하여 형식상 정치참여를 허용하였다. 그러나 혁명의 주체와 수뇌부는 오직 프롤레타리아 계급만이 가능하므로, 프롤레타리아들의 엘리트 전위정당인 공산당 이외의 세력은 집권할 수 없다.

2024년 6월 5일 (수) 18:13 기준 최신판

Hammer and sickle.svg공산주의
[ 이념 전반 ]
분파 레닌주의

1.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주체 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 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2.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
룩셈부르크주의 · 좌파공산주의 · 사회적 아나키즘 · 자율주의
그 외: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펠릭스 제르진스키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 ·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 ·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카를 리프크네히트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 ·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 사회주의 문화
정당 공산당
상징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탈공산주의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레닌 투명.svg레닌주의 · 스탈린 투명.webp틀:스탈린주의 · 마오쩌둥 투명.svg틀:마오주의
[ 공산주의 역사 ]
역사
  1. 독일농민전쟁 (1524년)
  2.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3. 프랑스 혁명 (1789년)
  4. 의인동맹 창설 (1836년)
  5. 공산주의자 동맹 창설 (1847년)
  6. 제1인터내셔널 성립 (1864년)
  7. 파리 코뮌 (1871년)
  8. 메이데이 총파업 (1886년)
  9. 제2인터내셔널 성립 (1889년)
  10. 10월 혁명 (1917년)
  11. 러시아 내전 (1917년)
  12. 스파르타쿠스 봉기 (1919년 2월)
  13. 코민테른 성립 (1919년 3월)
  14. 소비에트 연방 성립 (1922년)
  15. 제1차 국공 내전 (1927년)
  16.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28년)
  17. 스페인 내전 (1936년)
  18. 대숙청 (1937년 7월)
  19. 제2차 국공 합작 (1937년 9월)
  20. 그리스 내전 (1946년 3월 30일)
  21. 제2차 국공 내전 (1946년 3월 31일)
  22. 냉전 (1947년)
  23. 한국 전쟁 (1950년)
  24. 베트남 전쟁 (1955년)
  25.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26. 대약진 운동 (1958년)
  27. 쿠바 혁명 (1959년)
  28. 문화대혁명 (1966년)
  29. 니카라과 혁명 (1978년)
  30. 페레스트로이카 (1985년)
  31. 동유럽 혁명 (1989년 6월)
  32. 소련의 붕괴 (1991년)

목차

개요

인민민주주의 또는 민중민주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의 이론상 개념 중 하나이다.

인민민주주의는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엘리트 전위정당인 공산당의 지배적 우위하에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반대하는 반동세력은 폭력 및 각종 수단을 이용해 말살하고, 순응하며 동조하는 세력들에는 다당제를 시행하여 형식상 정치참여를 허용하였다. 그러나 혁명의 주체와 수뇌부는 오직 프롤레타리아 계급만이 가능하므로, 프롤레타리아들의 엘리트 전위정당인 공산당 이외의 세력은 집권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