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누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개요)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언어}}
||||<table align=right><:> {{{-1 '''アィヌイタㇰ | Айну Итак | Aynu itak'''}}} ||
||||<table align=right><:> {{{-1 '''アィヌイタㇰ | Айну Итак | Aynu itak'''}}} ||
||||<:> {{{+1 '''아이누어'''}}} ||
||||<:> {{{+1 '''아이누어'''}}} ||

2024년 6월 13일 (목) 10:32 판

지구 아이콘(흰색).svg 세계의 언어
[ 펼치기ㆍ접기 ]
▪ 관련 문서: 언어외국어 · 언어 관련 정보
간다어갈리시아어게일어 · 과라니어광동어 · 고아 콘칸어구자라트어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남부 소토어냔자어노르웨이어 · 네덜란드어네팔어
다리어도그리어독일어돌간어 · 덴마크어디베히어
라파누이어 · 라다크어 · 러시아어 · 라오어라트비아어라틴어 · 루샤이어룩셈부르크어르완다어루마니아어 · 리투아니아어링갈라어루툴어
몰타어 · 몽골어 · 마인어 · 마니푸리어마케도니아어 · 마푸체어 · 마라티어마오리어마이틸리어만주어맨어말라가시어말라얄람어말레이어몽어미얀마어마리어모르드비어
바스크어 · 벵골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불가리아어밤바라어보스니아어북부 소토어바시키르어부랴트어
사모아어산스크리트어세르보크로아트어 · 스웨덴어 · 스와힐리어 · 스페인어 · 스코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소닝케어 · 소말리어서부 프리지아어세부아노어세르비아어소라니 쿠르드어쇼나어순디어싱할라어
영어 · 이누이트어 · 이디시어 · 일본어 · 아파르어 · 아랍어 · 아람어 · 암하라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에스토니아어 · 우르두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알바니아어 · 아디게어 · 아이누어 · 이탈리아어 · 오어 · 요루바어 · 이보어아삼어아이마라어아이티어아제르바이잔어아칸어아르메니아어아프리칸스어에스페란토어에웨어오로모어오리아어우즈베크어위구르어이그보어이로코어인도네시아어 · 알류트어 · 압하스어오세트어야쿠트어인구시어아굴어
중국어 · 저지 독일어 · 조지아어 · 자바어줄루어
체코어총가어추바시어차후르어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콥트어 · 콘월어 · 코만치어칸나다어케추아어카렐어코르시카어코사어쿠르드어크로아티아어크메르어키르기스어크리오칼미크어코미어카바르디어카라차이-발카르어카라칼파크어
타밀어타지크어타타르어티베트어 · 튀르키예어 · 통가어 · 태국어텔루구어투르크멘어투바어티그리냐어타타르어
파슈토어폴란드어 · 핀란드어 · 프랑스어 · 포르투갈어 · 펀자브어 · 페르시아어 · 페로어 · 풀라어 · 프리지아어필리핀어
한국어 · 헝가리어 · 힌디어 · 히브리어 · 하우사어하와이어호즈푸리어
기타 관련 문서 통역 · 번역 · 사전
Айну Итак
아이누어
주요사용국일본, 러시아
원어민약 5명
어족-
문자가타카나 문자, 키릴 문자, 로마자
언어 코드
ISO-639-2ain
ISO-639-3ain
주요 사용 지역
동북아시아(사할린 섬, 훗카이도, 쿠릴 열도)

개요

일본 북부(홋카이도)와 러시아 사할린 남부 지방, 쿠릴 열도에 분포하는 소수민족 아이누족이 사용하는 언어.

아이누인은 현대의 일본인(야마토 민족)이 홋카이도에 도래하기 전부터 선주하고 있던 민족으로 추정되며, 아이누인이 주거하고 있는 홋카이도, 사할린, 쿠릴 열도뿐만 아니라 도호쿠 일대와 간토 지방에서도 아이누인들이 살았고, 헤이안 시대까지도 아이누 계통의 부족들이 일본과 별개의 세력을 이뤘다. 일본이 혼슈를 전부 차지하고 해당 지역에 살던 아이누족들도 오랜 시일이 흘러 일본인으로 동화되면서 혼슈의 아이누 방언은 사멸되었다. 대략 18세기경까지 쓰였다고는 하지만 도호쿠나 간토 아이누어는 수백 년이 넘도록 전면적으로 기록되기 전에 사멸했기 때문에 재구할 수는 없다. 아이누어가 기록된 문헌은 16세기의 것이 최초이고, 그 이전에 아이누어에 대해 기록되어있는 서적들은 현존하지 않는다. 다만 도호쿠 지방의 많은 지명이나 도호쿠 방언 어휘의 상당수가 아이누어 단어와 연관성을 보이기 때문에 도호쿠 지방에서 아이누어에 대한 관심도는 비교적 높다. 또한 도호쿠와 간토뿐만 아니라 이보다 서쪽 지역에서도 아이누어 계통의 단어가 발견된다거나 하는 얘기가 있으며, 실제로 도호쿠벤이 산인방언과 연관성이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이즈모 일대에서 쓰이던 이즈모어와 아이누어와의 연관성도 진지하게 검토되고 있기도 하다. 다만 같은 어족의 언어인지는 자료가 많이 남아 있지는 않기 때문에 유보되는 상황이다.

크게 홋카이도(北海島) 방언 일본어의 홋카이도 지역 방언인 홋카이도 방언과는 별개이다., 가라후토(樺太; 사할린) 방언, 치시마(千島; 쿠릴) 방언의 셋으로 나뉜다. 아이누를 통일한 정치 세력은 없었기 때문에 세 방언 아래에 속해 있는 많은 하위 방언들이 존재했지만 치시마 방언 화자는 20세기 초반에 거의 사라졌고 사할린 방언은 1994년 사할린 방언 아이누어를 유창하게 할 수 있는 마지막 화자였던 다흐코난나(Tahkonanna, 일본어식으로는 아사이 다케(浅井タケ))가 사망하면서 사라졌다. 따라서 홋카이도 방언만 남은 셈인데, 1980년대 후반 홋카이도에서 일상적으로 아이누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15명이었고, 아이누어를 제2언어로 쓰는 사람들도 대개 자료가 많이 남아 있는 홋카이도 방언을 공부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배우기 힘든 언어이다. 한국어로 된 사전, 문법서가 거의 없다. 한국인으로서는 일본어, 영어, 러시아어 중 하나를 선행으로 배워야 한다. 물론 김공칠 교수의 '아이누어 연구'같이 한국어로 된 책이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학술서적이라 언어학에 조예가 없는 사람이 읽기엔 좀 난해하다. 배우고 싶다면 Play 스토어에서 앱을 찾아보면 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