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소련 (동음이의)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 [[소련 (동음이의)]]
+
||<tablewidth=92%><tablebordercolor=#B22222> '''실제 국가를 다루는 문서입니다.'''||
 +
 
 +
{{소련 (실제)}}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cd0000; max-width: 450px; float: right"
 +
! colspan="6" style="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d0000, #cd0000 20%, #cd0000 80%, #cd0000); color: #ffd700; line-height: 1.8em;" | <big>'''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big><br>'''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
|-
 +
! align=center colspan="3" style="background:#fff;" | [[파일:1920px-Flag of the Soviet Union.svg.png|150px]]
 +
! align=center colspan="1" style="background:#fff;" | [[파일:소비에트 연방 국장.png|100px]]
 +
|-
 +
! colspan="3" width="50%" style="background: #DB0000; color: #ffd700" | 국기
 +
! colspan="1" width="50%" style="background: #DB0000; color: #ffd700" | 국장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FFFFFF; color: #DB0000" | '''{{{#cd0000 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br]{{{#F8C300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상징
 +
|-
 +
|-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국가
 +
| colspan="4" align=left | '''[[인터내셔널가]]''' ([[1922년]] ~ [[1944년]])<br>'''[[소련 국가]]''' ([[1944년]] ~ [[1991년]])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국화
 +
| colspan="4" align=left | '''[[해바라기]]'''
 +
|-
 +
! colspan="6"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역사
 +
|-
 +
| colspan="6" style="font-weight:"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style="color:#ffffff; font-size: 100%;" |
 +
|-
 +
| colspan="6" align=center | '''[[1922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우크라이나]]·[[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벨로루시]]·[[자캅카스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자캅카스]]·[[호라즘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호라즘]]·[[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부하라]]의 통합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연방 성립]]''' [br] [[1928년]] 제1차 [[5개년 계획]] 수립 [br] [[1935년]] [[대숙청]] (~[[1938년]]) [br] [[1936년]] 스탈린 헌법 제정 [br]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1945년]])[* [[폴란드 침공]]부터.] [br] [[1956년]] [[니키타 흐루쇼프#s-3.2.1|스탈린의 격하]] [br]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br] [[1969년]] [[중국-소련 국경분쟁]] [br] [[1977년]] 브레즈네프 헌번 제정 [br] [[1979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1989년]]) [br] [[1985년]] [[글라스노스트/페레스트로이카]] [br]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br] [[1991년]]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지리
 +
|-
 +
| colspan="6" style="font-weight:"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영역
 +
| align=left | [[동유럽]], [[중앙아시아]], [[북아시아]]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수도
 +
| align=left | [[모스크바]]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면적
 +
| align=left | 22,402,200km²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접경국
 +
| align=left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5]] ~~[[리투아니아]]~~[br]•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25]] ~~[[라트비아]]~~[br]•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25]] ~~[[에스토니아]]~~[br]•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핀란드]][br]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폴란드]] [br]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체코슬로바키아]][br]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5]] [[헝가리]][br]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5]] [[루마니아]][br]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5]] [[튀르키예]][br]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3]] [[노르웨이]][br] • [[파일:이란 국기.svg|width=25]] [[이란]][br] • [[파일: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국기(1987–1992).svg|width=25]]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br]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화인민공화국]][br]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25]] [[몽골 인민 공화국]][br] • [[파일:북한 국기.svg|width=25]] [[북한]]
 +
|-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인문환경
 +
|-
 +
| colspan="6" style="font-weight:"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colspan="2" width=21%"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인구
 +
| align=left | 286,730,819명^^(1989년)^^ | 세계 3위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민족
 +
| align=left | [[러시아인]] 51%, 우크라이나인 15%, 우즈베크인 6% 등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언어
 +
| align=left | [[러시아어]][* [[블라디미르 레닌]]은 국가 주도의 [[공용어]]라는 개념을 반대했고, [[러시아어]]는 각 민족 간의 소통을 위한 언어였을 뿐이다. 정작 러시아 내에서도 1990년에서야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 | [[라트비아어]] | [[루마니아어]] | [[리투아니아어]] | [[벨라루스어]] | [[아르메니아어]] | [[아제르바이잔어]] | [[에스토니아어]] | [[우즈베크어]] | [[우크라이나어]] | [[조지아어]] | [[카자흐어]] | [[키르기스어]] | [[타지크어]] | [[투르크멘어]] | 각 지역별 언어[* 구성 공화국별로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등 구성 공화국 고유 언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었고, 구성 공화국 내 자치구역에서도 별개 공용어 지정이 가능했다. 하지만 [[러시아어]]가 공용어로서 실질적으로 기능했기 때문에 이 언어들은 제2국어, 제3국어 역할에 그쳤다.]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국교
 +
| align=left | '''국교없음'''(정교분리)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종교 분포
 +
| align=left | [[무종교]] 60%[* 다만 명목상의 수치일 뿐 실제로는 정교회를 믿는 사람들도 적지는 않았다.], [[정교회]] 20%, [[이슬람]] 10% 등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군대
 +
| align=left | [[소련군|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군]]
 +
|-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정치
 +
|-
 +
| colspan="6" style="font-weight:"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colspan="2" width=21%"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정치체제
 +
| align=left | [[공화제]], [[민주집중제]], [[연방제]], [[일당제]] → [[대통령중심제]], [[다당제]][소련 말기에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의해 [[다당제]]가 승인되었다.], [[양원제]][* 인민대표회의가 최고 소비에트를 선출하면서 형식상의 양원제가 아닌 실제 양원제로 운영되었다.]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국가원수
 +
| align=left | 최고회의 주석(서기장)[* 당연하게도 소련은 15개 국가가 뭉친 연합이였기에 각 공화국별로 서기장이 있었다, 여담으로 구소련권 국가지도자들 중 각 공화국의 서기장을 지낸 인물들이 꽤 있었는데, 대표적인 예로 카자흐 SSR 공산당 1서기장 출신이었던 카자흐스탄 전 대통령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가 있다.] → 대통령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정부수반
 +
| align=left | 인민위원장 → 장관회의 주석 → 총리[* 인민대표회의에서 인준되지 않은 단순 임명직이었다.]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역대<br>최고지도자
 +
| align=left | [[블라디미르 레닌]]<br>[[이오시프 스탈린]]<br>[[게오르기 말렌코프]]<sub> (권한대행)</sub><br>[[니키타 흐루쇼프]]<br>[[레오니트 브레즈네프]]<br>[[유리 안드로포프]]<br>[[콘스탄틴 체르넨코]]<br>[[미하일 고르바초프]]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여당
 +
| align=left | [[소련 공산당 (실제)|{{정당박스|'''소련 공산당'''|#Cd0000|#ffd700}}]]
 +
|-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경제
 +
|-
 +
| colspan="6" style="font-weight:"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colspan="2" width=21%"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경제체제
 +
| align=left | 집산주의 및 국유재산제 → 부분적 [[자본주의]] 및 사유재산제[* [[페레스트로이카]] 도입 이후. [[블라디미르 레닌]] 집권 초기에도 [[신경제정책|신경제정책(NEP)]]이라는 이름으로 시장경제적 요소가 도입되었다.]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GDP<br>(명목)
 +
| align=left | $ 2조 2000억^^(1985년, 추정치)^^ | 세계 2위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1인당 GDP
 +
| align=left | $ 6,871^^(1990년)[* 원래는 소련답게 빠르게 올랐으나 공산주의의 한계 때문에 침체되어 6,871달러가 됐다.]^^ $ 9,200^^(GNP)^^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화폐
 +
| align=left | [[소련 루블]]
 +
|-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외교
 +
|-
 +
| colspan="6" style="font-weight:"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px 11px; font-size: 10.5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data-collapsetext="[ 펼치기ㆍ접기 ]" data-expandtext="[ 펼치기ㆍ접기 ]"
 +
|+ style="color:#fff; font-size: 100%;" |
 +
|-
 +
! colspan="2" width=21%"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대한수교현황
 +
| align=left | 대한민국: 1990년 9월 30일 수교<br>북한: 1948년 10월 12일 수교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d0000; color: #ffd700" | UN 가입
 +
| align=left | '''1945년'''
 +
|-
 +
|}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ccTLD
 +
|-
 +
| colspan="6" align=center | '''.su'''[*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가 사용 중이다.]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국가코드
 +
|-
 +
| colspan="6" align=center | '''SU[* Soviet Union의 앞글자를 딴 것이다. 지금까지도 이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 있는데, 바로 러시아 국영 항공사 [[아에로플로트]]의 [[IATA]] 코드가 그것. [[소련 붕괴|소련 해체]] 직후의 러시아 연방도 이 코드를 잠시 사용한 적이 있다.]''', '''SUN''', '''810'''
 +
|-
 +
! colspan="6"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deg, #cd0000 50%, #cd0000 50%); color: #ffd700"  | 국제전화코드
 +
|-
 +
| colspan="6" align=center | '''+7'''[* 이후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이 이 국제 전화 코드를 사용하게 된다.]
 +
|-
 +
|}
 +
 
 +
==개요==
 +
 
 +
==상징==
 +
 
 +
===[[소련/국호|국호]]===
 +
 
 +
{{본문|소련/국호}}
 +
 
 +
===[[소련/국기|국기]]===
 +
 
 +
{{본문|소련/국기}}
 +
 
 +
===[[소련/국장|국장]]===
 +
 
 +
{{본문|소련/국장}}
 +
 
 +
===[[소련 국가|국가]]===
 +
 
 +
{{본문|[[인터내셔널가]], [[소련 국가]]}}
 +
 
 +
==[[소련/역사|역사]]==
 +
 
 +
{{본문|소련/역사}}
 +
 
 +
==지리==
  
||<tablewidth=92%><tablebordercolor=#B22222> '''실제 국가를 다루는 문서입니다.'''||
+
==인문환경==
 +
 
 +
===[[소련/인구|인구]]===
 +
 
 +
{{본문|소련인}}
 +
 
 +
===[[소련/언어|언어]]===
 +
 
 +
{{본문|소련/언어}}
 +
 
 +
===[[소련/종교|종교]]===
 +
 
 +
{{본문|소련/종교}}
 +
 
 +
===[[소련/교통|교통]]===
 +
 
 +
{{본문|소련/교통}}
 +
 
 +
==행정구역==
 +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
 +
 
 +
===구성국===
 +
 
 +
===자치구역===
 +
 
 +
===주요 도시===
 +
 
 +
==[[소련/정치|정치]]==
 +
 
 +
{{본문|소련/정치}}
 +
 
 +
===[[소련 장관회의|행정부]]===
 +
 
 +
{{본문|소련 최고지도자}}
 +
 
 +
{{본문|소련 장관회의}}
 +
 
 +
===[[소련 공산당 (실제)|정당]]===
 +
 
 +
{{본문|[[소련 공산당 (실제)|소련 공산당]]}}
 +
 
 +
===[[소련/외교|외교]]===
 +
 
 +
{{본문|소련/외교}}
 +
 
 +
==[[소련/경제|경제]]==
 +
 
 +
{{본문|소련/경제}}
 +
 
 +
==[[소련/과학|과학]]==
 +
 
 +
===과학 행정===
 +
 
 +
===정권별 특성===
 +
 
 +
==사회==
 +
 
 +
===복지===
 +
 
 +
===주거===
 +
 
 +
{{본문|아파트}}
 +
 
 +
====주거난====
 +
 
 +
===노동===
 +
 
 +
===의료===
 +
 
 +
===치안===
 +
 
 +
==[[소련/문화|문화]]==
 +
 
 +
{{본문|소련/문화}}
 +
 
 +
===관광===
 +
 
 +
===교육===
 +
 
 +
{{본문|소련/교육}}
 +
 
 +
===스포츠===
 +
 
 +
===[[공휴일/소련|공휴일]]===
 +
 
 +
{{본문|공휴일/소련}}
 +
 
 +
==[[소련군|군사]]==
 +
 
 +
{{본문|소련군}}
 +
 
 +
==대중매체에서==
 +
 
 +
===영화===
 +
 
 +
===게임 & 애니메이션===
 +
 
 +
===드라마===
 +
 
 +
===기타===
 +
 
 +
==둘러보기==
 +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
 +
 
 +
{{구 소련 구성 공화국 목록}}
 +
 
 +
{{공산주의}}
 +
 
 +
{{바르샤바 조약 회원국}}
 +
 
 +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
 
 +
{{소련의 대외전쟁}}
 +
 
 +
{{러시아 관련 문서}}
 +
 
 +
[[분류: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
 
 +
----

2024년 6월 11일 (화) 05:44 기준 최신판

실제 국가를 다루는 문서입니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png
소련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상징 국기국장국호노동자 마르세예즈인터내셔널가소련 찬가낫과 망치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소련 공산당소련 공산당 전당대회크렘린레닌 영묘소련 최고회의소련 장관회의헌법
블라디미르 레닌이오시프 스탈린니키타 흐루쇼프레오니트 브레즈네프유리 안드로포프콘스탄틴 체르넨코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서기장) ㆍ 국가수반대통령
군사 소련군(장비 · 소련 육군 · (동음이의어)|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비밀경찰(체카(펠릭스 제르진스키)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냉전(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일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소련 요리
공휴일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 소유즈-아폴로 테스트 프로젝트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1920px-Flag of the Soviet Union.svg.png 소비에트 연방 국장.png
국기 국장
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상징
국가 인터내셔널가 (1922년 ~ 1944년)
소련 국가 (1944년 ~ 1991년)
국화 해바라기
역사
19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벨로루시·자캅카스·호라즘·부하라의 통합 연방 성립
1928년 제1차 5개년 계획 수립
1935년 대숙청 (~1938년)
1936년 스탈린 헌법 제정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1945년)[1]
1956년 스탈린의 격하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1969년 중국-소련 국경분쟁
1977년 브레즈네프 헌번 제정
1979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1989년)
1985년 글라스노스트/페레스트로이카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1991년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지리
영역 동유럽, 중앙아시아, 북아시아
수도 모스크바
면적 22,402,200km²
접경국 25px 리투아니아
25px 라트비아
25px 에스토니아
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25px 폴란드
25px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25px 루마니아
25px 튀르키예
Flag of Norway.svg 노르웨이
25px 이란
25px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25px 중화인민공화국
25px 몽골 인민 공화국
25px 북한
인문환경
인구 286,730,819명(1989년) | 세계 3위
민족 러시아인 51%, 우크라이나인 15%, 우즈베크인 6% 등
언어 러시아어[2]라트비아어루마니아어리투아니아어벨라루스어아르메니아어아제르바이잔어에스토니아어우즈베크어우크라이나어조지아어카자흐어키르기스어타지크어투르크멘어 | 각 지역별 언어[3]
국교 국교없음(정교분리)
종교 분포 무종교 60%[4], 정교회 20%, 이슬람 10% 등
군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군
정치
정치체제 공화제, 민주집중제, 연방제, 일당제대통령중심제, 다당제[소련 말기에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의해 다당제가 승인되었다.], 양원제[5]
국가원수 최고회의 주석(서기장)[6] → 대통령
정부수반 인민위원장 → 장관회의 주석 → 총리[7]
역대
최고지도자
블라디미르 레닌
이오시프 스탈린
게오르기 말렌코프 (권한대행)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여당 소련 공산당
경제
경제체제 집산주의 및 국유재산제 → 부분적 자본주의 및 사유재산제[8]
GDP
(명목)
$ 2조 2000억(1985년, 추정치) | 세계 2위
1인당 GDP $ 6,871(1990년)[9]$ 9,200(GNP)
화폐 소련 루블
외교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1990년 9월 30일 수교
북한: 1948년 10월 12일 수교
UN 가입 1945년
ccTLD
.su[10]
국가코드
SU[11], SUN, 810
국제전화코드
+7[12]

개요

상징

국호

국기

국장

국가

역사

지리

인문환경

인구

언어

종교

교통

행정구역

틀: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

구성국

자치구역

주요 도시

정치

행정부

정당

외교

경제

과학

과학 행정

정권별 특성

사회

복지

주거

주거난

노동

의료

치안

문화

관광

교육

스포츠

공휴일

군사

대중매체에서

영화

게임 & 애니메이션

드라마

기타

둘러보기

틀: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

틀:구 소련 구성 공화국 목록

Hammer and sickle.svg공산주의
[ 이념 전반 ]
분파 레닌주의

1.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주체 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 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2.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
룩셈부르크주의 · 좌파공산주의 · 사회적 아나키즘 · 자율주의
그 외: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펠릭스 제르진스키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 ·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 ·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카를 리프크네히트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 ·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 사회주의 문화
정당 공산당
상징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탈공산주의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레닌 투명.svg레닌주의 · 스탈린 투명.webp틀:스탈린주의 · 마오쩌둥 투명.svg틀:마오주의
[ 공산주의 역사 ]
역사
  1. 독일농민전쟁 (1524년)
  2.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3. 프랑스 혁명 (1789년)
  4. 의인동맹 창설 (1836년)
  5. 공산주의자 동맹 창설 (1847년)
  6. 제1인터내셔널 성립 (1864년)
  7. 파리 코뮌 (1871년)
  8. 메이데이 총파업 (1886년)
  9. 제2인터내셔널 성립 (1889년)
  10. 10월 혁명 (1917년)
  11. 러시아 내전 (1917년)
  12. 스파르타쿠스 봉기 (1919년 2월)
  13. 코민테른 성립 (1919년 3월)
  14. 소비에트 연방 성립 (1922년)
  15. 제1차 국공 내전 (1927년)
  16.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28년)
  17. 스페인 내전 (1936년)
  18. 대숙청 (1937년 7월)
  19. 제2차 국공 합작 (1937년 9월)
  20. 그리스 내전 (1946년 3월 30일)
  21. 제2차 국공 내전 (1946년 3월 31일)
  22. 냉전 (1947년)
  23. 한국 전쟁 (1950년)
  24. 베트남 전쟁 (1955년)
  25.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26. 대약진 운동 (1958년)
  27. 쿠바 혁명 (1959년)
  28. 문화대혁명 (1966년)
  29. 니카라과 혁명 (1978년)
  30. 페레스트로이카 (1985년)
  31. 동유럽 혁명 (1989년 6월)
  32. 소련의 붕괴 (1991년)

틀:바르샤바 조약 회원국

틀: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틀:소련의 대외전쟁

틀:러시아 관련 문서


  1. 폴란드 침공부터.
  2. 블라디미르 레닌은 국가 주도의 공용어라는 개념을 반대했고, 러시아어는 각 민족 간의 소통을 위한 언어였을 뿐이다. 정작 러시아 내에서도 1990년에서야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
  3. 구성 공화국별로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등 구성 공화국 고유 언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었고, 구성 공화국 내 자치구역에서도 별개 공용어 지정이 가능했다. 하지만 러시아어가 공용어로서 실질적으로 기능했기 때문에 이 언어들은 제2국어, 제3국어 역할에 그쳤다.
  4. 다만 명목상의 수치일 뿐 실제로는 정교회를 믿는 사람들도 적지는 않았다.
  5. 인민대표회의가 최고 소비에트를 선출하면서 형식상의 양원제가 아닌 실제 양원제로 운영되었다.
  6. 당연하게도 소련은 15개 국가가 뭉친 연합이였기에 각 공화국별로 서기장이 있었다, 여담으로 구소련권 국가지도자들 중 각 공화국의 서기장을 지낸 인물들이 꽤 있었는데, 대표적인 예로 카자흐 SSR 공산당 1서기장 출신이었던 카자흐스탄 전 대통령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가 있다.
  7. 인민대표회의에서 인준되지 않은 단순 임명직이었다.
  8. 페레스트로이카 도입 이후. 블라디미르 레닌 집권 초기에도 신경제정책(NEP)이라는 이름으로 시장경제적 요소가 도입되었다.
  9. 원래는 소련답게 빠르게 올랐으나 공산주의의 한계 때문에 침체되어 6,871달러가 됐다.
  10.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가 사용 중이다.
  11. Soviet Union의 앞글자를 딴 것이다. 지금까지도 이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 있는데, 바로 러시아 국영 항공사 아에로플로트IATA 코드가 그것. 소련 해체 직후의 러시아 연방도 이 코드를 잠시 사용한 적이 있다.
  12. 이후 러시아카자흐스탄이 이 국제 전화 코드를 사용하게 된다.